본문내용
태워 흔들어주기
휴지격파, 휴지 눈 놀이
5단계. 엄마로서의 효능감 높이기
자신의 장점찾기, 운동, 일기 쓰기 등을 통해 효능감을 높인다.
많은 엄마들이 유아기 때의 엄마 역할, 즉 아이의 모든 것을 보호하고 도와줘야 좋은 엄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엄마의 역할은 무엇이든 아이를 위해 맞춰야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성장과 함께 변해야 한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각 시기에 맞는 발달을 한다. 아이의 성장에 맞춰 때로는 지켜보거나 기다려 주는 것만으로도 엄마로서 제 역할을 충분히 하는 것이다.
아이의 성공을 위해 헌신하는 엄마라고 자평하지만 어쩌면 아이에게 성공을 암묵적으로 요구하며 엄마의 노력에 보상하라고 숨통을 조이고 있지는 않았을까? 먹는 것, 입는 것, 건강, 학습 등 눈에 띄는 엄마의 역할에만 치중한 나머지 아이의 정서나 아이가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들여다 볼 여유를 놓친 건 아닌지 곰곰이 생각해보자
모성의 관점에서 봤을 때 내가 아이에게 최선을 다하는 것이 정말 아이를 위하는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때론 아이의 인생에 나의 30년 인생이 투영되어 아이가 엄마의 30년 인생의 무게로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봐야 한다. 이건 오히려 아이에게 커다란 마음의 짐이 되어 아이를 불안하게 만든다. 내가 한 행동이 아이가 중심인 것인지, 정말 내가 아이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존중하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엄마의 정서적 안정감이 아이의 정서 발달을 돕는다. 엄마의 정서가 안정되려면 나쁜 엄마라는 죄책감으로부터 좀 더 유연해져야 한다.
아이에 대한 죄책감으로 엄마로서 자연스러운 감정 표현을 못한 채 책에서 지시한 대로만 움직인다면 오히려 아이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엄마로서의 자신감을 회복해야한다. 엄마가 자신감을 회복하면 아이에 대한 미안함이나 죄책감이 들더라도 아까 엄마가 그렇게 말한 것은 미안해, 엄마가 앞으로 조심할게 하며 솔직하게 사과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자연스러운 감정의 소통은 엄마와 아이 모두의 정서를 치유학 발달시킨다.
모성은 희생과 헌신하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모성은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사회가 강요하는 모성의 모습에 내 행복을 담보로 얽어맬 필요는 없다. 모성은 내가 가장 자연스럽게 표현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나 자신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어줘야한다. 엄마가 행복해야 아이가 행복하게 자랄 수 있기 때문이다.
휴지격파, 휴지 눈 놀이
5단계. 엄마로서의 효능감 높이기
자신의 장점찾기, 운동, 일기 쓰기 등을 통해 효능감을 높인다.
많은 엄마들이 유아기 때의 엄마 역할, 즉 아이의 모든 것을 보호하고 도와줘야 좋은 엄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엄마의 역할은 무엇이든 아이를 위해 맞춰야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성장과 함께 변해야 한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각 시기에 맞는 발달을 한다. 아이의 성장에 맞춰 때로는 지켜보거나 기다려 주는 것만으로도 엄마로서 제 역할을 충분히 하는 것이다.
아이의 성공을 위해 헌신하는 엄마라고 자평하지만 어쩌면 아이에게 성공을 암묵적으로 요구하며 엄마의 노력에 보상하라고 숨통을 조이고 있지는 않았을까? 먹는 것, 입는 것, 건강, 학습 등 눈에 띄는 엄마의 역할에만 치중한 나머지 아이의 정서나 아이가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들여다 볼 여유를 놓친 건 아닌지 곰곰이 생각해보자
모성의 관점에서 봤을 때 내가 아이에게 최선을 다하는 것이 정말 아이를 위하는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때론 아이의 인생에 나의 30년 인생이 투영되어 아이가 엄마의 30년 인생의 무게로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봐야 한다. 이건 오히려 아이에게 커다란 마음의 짐이 되어 아이를 불안하게 만든다. 내가 한 행동이 아이가 중심인 것인지, 정말 내가 아이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존중하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엄마의 정서적 안정감이 아이의 정서 발달을 돕는다. 엄마의 정서가 안정되려면 나쁜 엄마라는 죄책감으로부터 좀 더 유연해져야 한다.
아이에 대한 죄책감으로 엄마로서 자연스러운 감정 표현을 못한 채 책에서 지시한 대로만 움직인다면 오히려 아이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엄마로서의 자신감을 회복해야한다. 엄마가 자신감을 회복하면 아이에 대한 미안함이나 죄책감이 들더라도 아까 엄마가 그렇게 말한 것은 미안해, 엄마가 앞으로 조심할게 하며 솔직하게 사과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자연스러운 감정의 소통은 엄마와 아이 모두의 정서를 치유학 발달시킨다.
모성은 희생과 헌신하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모성은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사회가 강요하는 모성의 모습에 내 행복을 담보로 얽어맬 필요는 없다. 모성은 내가 가장 자연스럽게 표현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나 자신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어줘야한다. 엄마가 행복해야 아이가 행복하게 자랄 수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다운증후군의 모든것
젠더와 섹슈얼리티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성의 신화)
[모성간호][임신중절수술(낙태)][태아감시][미혼모][임신초기출혈][자궁근종]모성간호와 임신...
마더쇼크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모성의 개념과 특징] 모성 (母性) - 모성의 개념, 동양의 모성, 서양의 모성, 모성에 대한 이해
미혼모청소년을 위한 복지정책(외국의 미혼모 복지제도, 청소년미혼모사례, 미혼모문제, 미혼...
[성 사랑 사회 E형] 한국 사회에서 엄마 역할을 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한국사...
[성사랑사회E형] 한국 사회에서 엄마 역할을 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한국사회...
여성친화도시의 개념 배경 및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