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천 붉은 수돗물 사태는 인간의 권리처럼 생각되었던 깨끗한 물과 그것을 마실 권리를 상품화시킨 것이다. 참 아이러니 하다.
우리가 더럽힌 자연은 그대로 우리에게 돌아온다. 바로 리턴 되는 것이다. 누구를 탓해야하는가? 국가? 회사? 대기업? 옆 집 철수? 사실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 아닐까? 기업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좋은 제품을 만들었다고 해서 그것이 정말로 100%의 장점만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이 세상에 그런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상호작용하고 있다. 생태계의 시스템을 보아라. 바로 알 수 있다.
사실 국가도 깨끗한 물을 상품화하여 거래하는 시대에 수돗물을 더욱 더 홍보하고자 했다. 전 세계적인 기준에서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수돗물 음용률은 극히 낮기 때문이다. 인구의 2%라니 말이 되는가? 국가의 수돗물은 사실 깨끗하나 그 수돗물을 각 가정과 필요한 곳으로 옮기면서 필요한 수도관이 사실은 진자 문제라고 했다. 국가도 그것을 인지하고 노후 된 수도관을 교체하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넓고 사는 국민은 많다고 아직까지 교체 사업은 그렇게 체감되지 않는 실정이다.
심지어 이러한 노후 된 수도관에 대한 이슈를 이용하여 샤워기 및 샤워기필터를 상품화하는 사람도 생겼다. 유명한 제품 중 하나는 바이럴 마케팅으로서 엄청난 광고 영상을 찍었는데 누렇고 더러운 한강물을 받아서 샤워기를 통해서 걸러내는 영상이었다. 그리고 한강 물을 걸러내어 깨끗하게 나오는 샤워기 물을 가지고 바로 그 자리에서 샴푸를 하고 샤워를 하는 재미있고도 충격적인 영상이었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 제품을 산 것으로 알고 있다. 인간의 욕심은 점점 커지고 있다. 깨끗한 공기를 마시고 싶고, 깨끗한 물을 마시며, 깨끗한 물로 몸을 씻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적으로 자란 동식물로 만든 깨끗한 음식을 먹고 싶어 한다. 그러나 참으로 모순적이게도 깨끗한 공기는 인간이 더럽혔고, 깨끗한 물도 인간이 더럽혔으며, 동식물들이 깨끗한 환경에서 자랄 수 없게 만든 것도 인간이었다. 인간은 지금 너무 욕심이 과하다. 정말 깨끗한 공기와 물을 원한다면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것들을 어느 정도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 우리의 생활과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수많은 공산품들은 우리가 원래 가지고 있던 깨끗한 대기와 공기 그리고 물을 더럽게 만들면서 나온 물건들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연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우리가 더럽힌 자연은 그대로 우리에게 돌아온다. 바로 리턴 되는 것이다. 누구를 탓해야하는가? 국가? 회사? 대기업? 옆 집 철수? 사실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 아닐까? 기업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좋은 제품을 만들었다고 해서 그것이 정말로 100%의 장점만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이 세상에 그런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상호작용하고 있다. 생태계의 시스템을 보아라. 바로 알 수 있다.
사실 국가도 깨끗한 물을 상품화하여 거래하는 시대에 수돗물을 더욱 더 홍보하고자 했다. 전 세계적인 기준에서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수돗물 음용률은 극히 낮기 때문이다. 인구의 2%라니 말이 되는가? 국가의 수돗물은 사실 깨끗하나 그 수돗물을 각 가정과 필요한 곳으로 옮기면서 필요한 수도관이 사실은 진자 문제라고 했다. 국가도 그것을 인지하고 노후 된 수도관을 교체하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넓고 사는 국민은 많다고 아직까지 교체 사업은 그렇게 체감되지 않는 실정이다.
심지어 이러한 노후 된 수도관에 대한 이슈를 이용하여 샤워기 및 샤워기필터를 상품화하는 사람도 생겼다. 유명한 제품 중 하나는 바이럴 마케팅으로서 엄청난 광고 영상을 찍었는데 누렇고 더러운 한강물을 받아서 샤워기를 통해서 걸러내는 영상이었다. 그리고 한강 물을 걸러내어 깨끗하게 나오는 샤워기 물을 가지고 바로 그 자리에서 샴푸를 하고 샤워를 하는 재미있고도 충격적인 영상이었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 제품을 산 것으로 알고 있다. 인간의 욕심은 점점 커지고 있다. 깨끗한 공기를 마시고 싶고, 깨끗한 물을 마시며, 깨끗한 물로 몸을 씻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적으로 자란 동식물로 만든 깨끗한 음식을 먹고 싶어 한다. 그러나 참으로 모순적이게도 깨끗한 공기는 인간이 더럽혔고, 깨끗한 물도 인간이 더럽혔으며, 동식물들이 깨끗한 환경에서 자랄 수 없게 만든 것도 인간이었다. 인간은 지금 너무 욕심이 과하다. 정말 깨끗한 공기와 물을 원한다면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것들을 어느 정도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 우리의 생활과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수많은 공산품들은 우리가 원래 가지고 있던 깨끗한 대기와 공기 그리고 물을 더럽게 만들면서 나온 물건들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연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추천자료
(인간과사회 A형) 교재 1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자신의 일상생활 중 하나를 골라 그에 관여...
[인간과사회 A형] 교재 1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자신의 일상생활 중 하나를 골라 그에 관여...
인간과사회A형 2019년-교재 1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자신의 일상생활 중 하나를 골라 그에 ...
인간과사회 a교재 1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자기일상생활 중 하나를 골라 그에 관여하고 있는...
2019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시험과제물 A형(그에 관여하고 있는 사회구조적 요인)
[2019 인간과사회1A][출처표기] 교재 1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자신의 일상생활 중 하나를 골...
교재 1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자신의 일상생활 중 하나를 골라 그에 관여하고 있는 사회구조...
인간과사회 ) 자신의 일상생활 중 하나를 골라 그에 관여하고 있는 사회구조적 요인들은 어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