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전통적 관리시대
1.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2. 포트 시스템
II. 인간성 추구시대
III. 인간행동 중시시대
IV. 환경적응 관리시대
V. 최근의 동향
1. 리엔지니어링의 시대
2. 지식경영 관리시대
* 참고문헌
1.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2. 포트 시스템
II. 인간성 추구시대
III. 인간행동 중시시대
IV. 환경적응 관리시대
V. 최근의 동향
1. 리엔지니어링의 시대
2. 지식경영 관리시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직원칙에 입각하여 조직형태를 취하여 왔으나, 이러한 보편타당주의를 부정하고 나온 것이 환경적응을 중시해야 한다는 상황이론. 즉 상황적응이론(contingency theory)의 입장인 것이다.
모든 환경에 대하여 유일최선의 조직은 있을 수 없고, 환경이 다르면 조직도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 컨틴전시(contingency)의 입장인 것이다.
V. 최근의 동향
1) 리엔지니어링의 시대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이란 용어는 1990년 마이클 해머(Michael Hammer)가 사용한 이래 우리 사회에서 주목받는 단어가 되어 왔다.
리엔지니어링이란 우리말로 \'경영혁신\'이란 말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리엔지니어링이란 기존의 조직단위나 규칙, 순서를 완전히 무시하고 일의 방법을 근본적으로 뜯어 고처서 모든 사업활동을 프로세스중심으로 재편하는 경영혁신의 기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리엔지니어링은 모든 경영의 총체적인 혁신을 주도해 나가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 이미지통합(corporate identity : CI), 다운사이징 (downsizing),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벤치마킹(benchmarking) 등의 새로운 기법들과 종합적으로 활용되어져야만 그 기대효과를 올릴 수 있다.
미국의 기업들은 1990년대에 들어 앞 다투어 리엔지니어링을 도입하고 철저하게 실행했기 때문에 기업들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하여 미국경제가 근 10년간 상승일로에 있었던 것이다.
2) 지식경영 관리시대
드럭커(P. F. Drucker)가 지식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래 현대사회를 지식사회, 정보사회, 국제화사회 등 여러 가지의 표현들을 하고 있다.
지식사회를 맞이하여 최근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이라는 것이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다. 그러면 지식경영이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말하자면 지식경영은 지식을 획득하고 획득된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경영활동을 말한다.
지식경영과 혁신경영은 개념적으로 중복되는 부분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다르다. 혁신경영이란 혁신을 경영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지만 지식경렇은 지식이 경영의 대상이다. 혁신 자체의 개념은 무엇인가를 새롭게 만들거나 새롭게 시도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지식경영에서는 지식 및 지식의 활용이 부가가치 창출의 주요 원천이기 때문에 엄밀히 다르다.
지식경영에 대해서 드럭커(P. F. Drucker)는 정보기술로 조직을 바꾸고, 중간관리층을 파괴하고, 정보기반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미래에 도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노나카(野中)는 리엔지니어링의 한계를 초월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경쟁력의 원천으로 지식의 창조와 관리 그리고 지식의 공유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 참고문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모든 환경에 대하여 유일최선의 조직은 있을 수 없고, 환경이 다르면 조직도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 컨틴전시(contingency)의 입장인 것이다.
V. 최근의 동향
1) 리엔지니어링의 시대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이란 용어는 1990년 마이클 해머(Michael Hammer)가 사용한 이래 우리 사회에서 주목받는 단어가 되어 왔다.
리엔지니어링이란 우리말로 \'경영혁신\'이란 말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리엔지니어링이란 기존의 조직단위나 규칙, 순서를 완전히 무시하고 일의 방법을 근본적으로 뜯어 고처서 모든 사업활동을 프로세스중심으로 재편하는 경영혁신의 기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리엔지니어링은 모든 경영의 총체적인 혁신을 주도해 나가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 이미지통합(corporate identity : CI), 다운사이징 (downsizing),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벤치마킹(benchmarking) 등의 새로운 기법들과 종합적으로 활용되어져야만 그 기대효과를 올릴 수 있다.
미국의 기업들은 1990년대에 들어 앞 다투어 리엔지니어링을 도입하고 철저하게 실행했기 때문에 기업들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하여 미국경제가 근 10년간 상승일로에 있었던 것이다.
2) 지식경영 관리시대
드럭커(P. F. Drucker)가 지식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래 현대사회를 지식사회, 정보사회, 국제화사회 등 여러 가지의 표현들을 하고 있다.
지식사회를 맞이하여 최근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이라는 것이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다. 그러면 지식경영이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말하자면 지식경영은 지식을 획득하고 획득된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경영활동을 말한다.
지식경영과 혁신경영은 개념적으로 중복되는 부분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다르다. 혁신경영이란 혁신을 경영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지만 지식경렇은 지식이 경영의 대상이다. 혁신 자체의 개념은 무엇인가를 새롭게 만들거나 새롭게 시도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지식경영에서는 지식 및 지식의 활용이 부가가치 창출의 주요 원천이기 때문에 엄밀히 다르다.
지식경영에 대해서 드럭커(P. F. Drucker)는 정보기술로 조직을 바꾸고, 중간관리층을 파괴하고, 정보기반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미래에 도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노나카(野中)는 리엔지니어링의 한계를 초월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경쟁력의 원천으로 지식의 창조와 관리 그리고 지식의 공유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 참고문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