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 컴퓨터네트워크IP QoS(Quality of Servic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컴퓨터 ) 컴퓨터네트워크IP QoS(Quality of Servic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2. 본론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QoS라 함은 중요한 패킷 (IPTV, VoIP, Business Traffic)과 그렇지 않은 패킷(일반 인터넷 트래픽)을 구분하고 망에 Congestion이 발생하였을 때 중요한 패킷을 먼저 보내 주고, 중요하지 않은 패킷은 drop하는 행위를 말한다.

패킷 분류는 아래 그림과 같이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먼저 Multi-Field (MF) Classification은 패킷 헤더 내에 포함된 다양한 필드들을 참조하여 그 패킷이 중요한 패킷인지 아닌지를 분류한다.
Behavior-Aggregate (BA) Classification은 패킷에 이미 QoS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간단히 그 필드만 보면 패킷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는 분류 방법이다.
통상적으로 가입자가 망쪽으로 패킷을 송신하면, 그 패킷을 수신하는 첫 번째 라우터가 MF Classification을 수행하고 이후 라우터 (Core Router)는 BA Classification을 수행하게 된다.
Behavior-Aggregate (BA) Classification은 Ethernet 패킷의 경우 VLAN Tag가 붙을 수 있고, 이 VLAN Tag 내에 3비트의 802.1p (CoS) 필드가 있어, Ethernet 망에서는 이 802.1p를 통해 패킷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MPLS 패킷의 경우 4바이트의 MPLS header가 붙게 되는데, 이 헤더 내에 EXP라는 3bit 필드가 있다. 그래서 MPLS 망을 하는 망, 요즘 대부분의 통신사업자의 backbone은 MPLS에서는 EXP 필드를 통해 패킷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IPv4 패킷의 경우 8bit 크기의 TOS(Type of Service)라는 필드가 있으며, RFC 2474에서 이 중에 상위 6bit를 DSCP(DiffServ Code Point)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총 14개의 DSCP 값을 미리 정의하고(EF, AF41, AF42, AF43, AF31, AF32, AF33, AF21, AF22, AF23, AF11, AF12, AF13, BE), 각 값마다 QoS의 중요도에 대한 표준을 정의할 수 있다. 그래서 IP 라우팅 망(IP 패킷의 Destination IP 주소 기반으로 패킷을 포워딩하는 망)에서는 이 DSCP를 통해 패킷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1.06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1121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