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01. 수사학>
01-1. 수사학의 개념
01-2. 고전적 수사학 5가지 규범
01-3. 오늘날의 수사학
01-4. 광고에 쓰이는 수사학
01-4-1. 언어적 표현(수사학적 표현)의 특징
01-4-2. 시각적 표현의 특징
<PART02. 유튜브>
02-1. 유튜브 개념과 현황
02-2. 유튜브의 목적
02-3. 바이럴마케팅의 정의와 특징
<PART03. 유튜브의 문제점(수사적 관점에서)>
03-1. 언어적 수사표현의 문제점
03-1-1. 자극적인 표현
03-1-2. 가짜뉴스
03-2. 시각적 수사표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03-2-1. 자극적인 사진
03-2-2. 내용과의 무관성
03-2-3. 영상의 폭력성
03-3. 비윤리, 도덕적 문제 혹은 사상적 문제
03-3-1. 다크웹문제
PART04. 참고문헌
01-1. 수사학의 개념
01-2. 고전적 수사학 5가지 규범
01-3. 오늘날의 수사학
01-4. 광고에 쓰이는 수사학
01-4-1. 언어적 표현(수사학적 표현)의 특징
01-4-2. 시각적 표현의 특징
<PART02. 유튜브>
02-1. 유튜브 개념과 현황
02-2. 유튜브의 목적
02-3. 바이럴마케팅의 정의와 특징
<PART03. 유튜브의 문제점(수사적 관점에서)>
03-1. 언어적 수사표현의 문제점
03-1-1. 자극적인 표현
03-1-2. 가짜뉴스
03-2. 시각적 수사표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03-2-1. 자극적인 사진
03-2-2. 내용과의 무관성
03-2-3. 영상의 폭력성
03-3. 비윤리, 도덕적 문제 혹은 사상적 문제
03-3-1. 다크웹문제
PART0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더욱더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유는 시청할 영상과 전혀 상관없는 내용의 사진을 섬네일로 사용하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킬링타임용의 영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킬링타임이라고 하면 속칭 시간을 순식간에 삭제(순삭)할 정도로 클릭해서 보는 순간 시간이 언제 갔는지 모를 정도로 빠져들 정도의 내용이 영상을 담고 있는 콘텐츠이다. 이 경우 영상이 한번에 연결된다기 보다는 여러 영상을 이어서 붙인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보통 내용의 선정성이나 폭력성과 같은 자극성은 1번의 자극적인 사진 파트와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편이라는 점이 그나마 위안을 삼을 수 있는 부분이다.
2-3)영상의 폭력성 -이점은 1인 미디어 트랜드방식이 유튜브에서 성황을 이루면서 발생하게된 부작용이다.즉 일반인이 자신의 취미나 특기 혹은 관심사를 앞세워 그러한 자신의 관심사와 비슷한 류의 흥미를 가진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이 운영하는 채널을 구독하여 지속적으로 업로드되는 영상을 시청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1인 미디어의 콘텐츠의 경우 서로 앞다투어 시청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보다 자극적인 내용의 영상을 사용한다는데 있어서 그로부터 문제점이 야기 된다. 물론 기존에 기획된 영상을 업로드하는 경우도 문제가 되긴하지만 이것보다 더욱더 큰 문제는 바로 실시간 방송에 있다. 생방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러한 방송은 특정 선정적인 내용을 소재로 하는 경우 성인인증과 같은 인증시스템을 거쳐야 하지만 그러한 내용이 아니라 하더라도 충분히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내용이 얼마든지 생방송 중에 방송될 수 있다는 변수가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안정적으로 바라볼 수 는 없다.
<3>비윤리, 도덕적 문제 혹은 사상적 문제
3-1)다크웹 문제
인터넷의 세부사항을 살펴보자. 첫 번째는 표면웹이다. 이 경우 네이버, 다음, 구글, 각종 SNS, 뉴스, 사이트가 이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표면웹은 40억개 이상의 웹사이트를 포함한다. 이는 인터넷 전체정보의 1% 미만의 정보에 해당한다. 다음은 딥웹이다. 이 경우 인덱싱되지 않은 콘텐츠 등이 주를 이룬다. 표면웹과 달리 딥웹의 경우 특정제한이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내지는 스냅챗이나 드롭박스 구글 드라이브가 이에 해당한다고 한다. 표면웹의 크기보다 약 400에서 500배 정도 큰 사이즈를 보유하고 있다. 마지막은 이러한 딥웹에 의도적으로 숨겨진 영역인 다크웹이다. 이 경우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은 바로 블로그 포스트이다.인터넷에는 존재하지만 발견되지 않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 인터넷 콘텐츠의 90%이상이 딥웹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다크웹의경우 0.01%에 해당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이즈 차이에도 불구하고 문제시 되는 점은 다크웹에 접속하는 방법 그리고 무엇을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 경우 TOR이라는 브라우저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브라우저는 IP주소를 무작위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익명성을 보호하므로 추적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다크웹을 사용하여 비윤리적이고 반사회적인 내용의 콘텐츠가 유통된 적이 있었는데, 그러한 콘텐츠를 사고파는 수단이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 폐시장의 화폐라는 점이 밝혀지면서 더욱더 사회적으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고한다. 이러한 다크웹은 현재는 유튜브와는 직접적인 연결고리는 없는 것 같다. 하지만 네이버 지식인에 검색만 해봐도 유튜브에 다크웹이라는것을 검색한 것만으로도 수사당국으로 부터 추적을 당할 것을 염두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악의적인 의도 뿐만 아니라 그저 호기심에 의한 검색이라 하더라도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라는데 있다. 관련 전문가는 아니지만 추후에 이러한 부분이 유튜브에도 자리잡을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다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가 야기될 것으로 예상 된다. [인터넷의~예상된다.5-6p](박웅신 저.2019)
PART04. 참고문헌
⑴ 유튜브 바이럴 영상광고의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2012년 이후 공유회수 높은 바이럴 영상광고를 중심으로-(김성군 저.2015.08)
⑵ 생산자-조직가의 매개체로서 유튜브 플랫폼-지식순환 네트워크와 대안적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_(변현지 저.07)
⑶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광고효과 연구-수사적 표현을 중심으로_(이지우 저.2018.06)
⑷ 아동음란물 규제를 위한 신종 수사기법 검토-다크웹상 아동음란물 수사를 중심으로_(박웅신 저.2019)
2-3)영상의 폭력성 -이점은 1인 미디어 트랜드방식이 유튜브에서 성황을 이루면서 발생하게된 부작용이다.즉 일반인이 자신의 취미나 특기 혹은 관심사를 앞세워 그러한 자신의 관심사와 비슷한 류의 흥미를 가진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이 운영하는 채널을 구독하여 지속적으로 업로드되는 영상을 시청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1인 미디어의 콘텐츠의 경우 서로 앞다투어 시청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보다 자극적인 내용의 영상을 사용한다는데 있어서 그로부터 문제점이 야기 된다. 물론 기존에 기획된 영상을 업로드하는 경우도 문제가 되긴하지만 이것보다 더욱더 큰 문제는 바로 실시간 방송에 있다. 생방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러한 방송은 특정 선정적인 내용을 소재로 하는 경우 성인인증과 같은 인증시스템을 거쳐야 하지만 그러한 내용이 아니라 하더라도 충분히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내용이 얼마든지 생방송 중에 방송될 수 있다는 변수가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안정적으로 바라볼 수 는 없다.
<3>비윤리, 도덕적 문제 혹은 사상적 문제
3-1)다크웹 문제
인터넷의 세부사항을 살펴보자. 첫 번째는 표면웹이다. 이 경우 네이버, 다음, 구글, 각종 SNS, 뉴스, 사이트가 이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표면웹은 40억개 이상의 웹사이트를 포함한다. 이는 인터넷 전체정보의 1% 미만의 정보에 해당한다. 다음은 딥웹이다. 이 경우 인덱싱되지 않은 콘텐츠 등이 주를 이룬다. 표면웹과 달리 딥웹의 경우 특정제한이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내지는 스냅챗이나 드롭박스 구글 드라이브가 이에 해당한다고 한다. 표면웹의 크기보다 약 400에서 500배 정도 큰 사이즈를 보유하고 있다. 마지막은 이러한 딥웹에 의도적으로 숨겨진 영역인 다크웹이다. 이 경우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은 바로 블로그 포스트이다.인터넷에는 존재하지만 발견되지 않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 인터넷 콘텐츠의 90%이상이 딥웹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다크웹의경우 0.01%에 해당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이즈 차이에도 불구하고 문제시 되는 점은 다크웹에 접속하는 방법 그리고 무엇을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 경우 TOR이라는 브라우저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브라우저는 IP주소를 무작위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익명성을 보호하므로 추적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다크웹을 사용하여 비윤리적이고 반사회적인 내용의 콘텐츠가 유통된 적이 있었는데, 그러한 콘텐츠를 사고파는 수단이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 폐시장의 화폐라는 점이 밝혀지면서 더욱더 사회적으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고한다. 이러한 다크웹은 현재는 유튜브와는 직접적인 연결고리는 없는 것 같다. 하지만 네이버 지식인에 검색만 해봐도 유튜브에 다크웹이라는것을 검색한 것만으로도 수사당국으로 부터 추적을 당할 것을 염두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악의적인 의도 뿐만 아니라 그저 호기심에 의한 검색이라 하더라도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라는데 있다. 관련 전문가는 아니지만 추후에 이러한 부분이 유튜브에도 자리잡을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다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가 야기될 것으로 예상 된다. [인터넷의~예상된다.5-6p](박웅신 저.2019)
PART04. 참고문헌
⑴ 유튜브 바이럴 영상광고의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2012년 이후 공유회수 높은 바이럴 영상광고를 중심으로-(김성군 저.2015.08)
⑵ 생산자-조직가의 매개체로서 유튜브 플랫폼-지식순환 네트워크와 대안적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_(변현지 저.07)
⑶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광고효과 연구-수사적 표현을 중심으로_(이지우 저.2018.06)
⑷ 아동음란물 규제를 위한 신종 수사기법 검토-다크웹상 아동음란물 수사를 중심으로_(박웅신 저.201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