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⑴매슬로우 욕구 위계론의 개념 및 특징
⑵욕구 위계론의 한계와 비판점
본론 - 각 욕구 단계 및 특징을 기반으로 한 현재의 욕구 상태 파악
⑴생리적 욕구
⑵안전욕구
⑶소속 욕구
⑷존경 욕구
⑸자아실현 욕구
결론 - 시사점
참고문헌
⑴매슬로우 욕구 위계론의 개념 및 특징
⑵욕구 위계론의 한계와 비판점
본론 - 각 욕구 단계 및 특징을 기반으로 한 현재의 욕구 상태 파악
⑴생리적 욕구
⑵안전욕구
⑶소속 욕구
⑷존경 욕구
⑸자아실현 욕구
결론 -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살면서 보고 들은 결과 축적된 경험적인 데이터에 의해서 그러한 관용적 표현 즉 옛말이 틀린 것이 없다 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 것이 주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같이 집단적인 공동체 문화를 중시하는 나라는 그러한 부분에서 더욱더 민감한 것 같다.
⑷존경 욕구
이는 자아존중과 더불어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이다. 나는 이 둘 중에서 후자에 대한 욕구가 더욱더 강한 것 같다. 남들은 내가 보이는 겸손한 태도 혹은 신중한 태도 혹은 남을 더 치켜세워주고 칭찬해주는 등의 행위를 보고 그러한 태도는 먼저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할 줄 아는 이로부터 비롯된다 라고 표현하곤 한다. 하지만 내 생각은 반대다. 난 항상 내가 부족한 것 같고 그러므로 남들보다 한층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을 기울여야 한다고 내 자신을 몰아세우는 편이다. 그나마 이렇게 열중하고 노력해야 어느 정도 남들과 비슷한 수준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즉 자아존중감은 적다고 느껴진다. 이러한 자아존중감으로서의 욕구가 적기 때문에 그러한 빈 공백을 후자 즉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로 대신 채우고 싶은 마음이 큰 것 같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인간이 자기 자신에대해서 판단할 때는 타인을 평가할 때 보다 객관화 수치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떨어진다는 내 사고에 기인한다.
⑸자아실현 욕구
이는 자아발전과 이상적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포함된다. 딱히 이상적 자아라는 것을 생각해본 적은 없다. 난 그저 튀지 않고 남들 하는 만큼만 하면서 무난하게 살면서 남들과 융화되는 삶을 원한다. 하지만 자아발전 적인 욕구는 생각보다 중시하는 편이다. 그것이 내 자신에 대한 지나친 자기객관화 적인 성격적인 특성에 기인한 것 일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결론 - 시사점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론에 정의된 5단계의 욕구는 실제 그 종류가 더 다양할 수도 있고, 위계질서도 뒤죽박죽일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 개인적인 인간 그 자체로서의 존재에서 사회적 구성원으로서의 존재로서의 개인이 가질 욕구를 자기 자신의 주관적인 사고에 입각하여 그래도 어느 정도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일반적·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정의한 점은 생각보다 과감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매슬로의 욕구이론에 대한 비판 - 과잉긍정 문제 해결을 위한 ‘철학함’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_(이경인, 이진남 저.2018.02)
⑷존경 욕구
이는 자아존중과 더불어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이다. 나는 이 둘 중에서 후자에 대한 욕구가 더욱더 강한 것 같다. 남들은 내가 보이는 겸손한 태도 혹은 신중한 태도 혹은 남을 더 치켜세워주고 칭찬해주는 등의 행위를 보고 그러한 태도는 먼저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할 줄 아는 이로부터 비롯된다 라고 표현하곤 한다. 하지만 내 생각은 반대다. 난 항상 내가 부족한 것 같고 그러므로 남들보다 한층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을 기울여야 한다고 내 자신을 몰아세우는 편이다. 그나마 이렇게 열중하고 노력해야 어느 정도 남들과 비슷한 수준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즉 자아존중감은 적다고 느껴진다. 이러한 자아존중감으로서의 욕구가 적기 때문에 그러한 빈 공백을 후자 즉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로 대신 채우고 싶은 마음이 큰 것 같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인간이 자기 자신에대해서 판단할 때는 타인을 평가할 때 보다 객관화 수치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떨어진다는 내 사고에 기인한다.
⑸자아실현 욕구
이는 자아발전과 이상적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포함된다. 딱히 이상적 자아라는 것을 생각해본 적은 없다. 난 그저 튀지 않고 남들 하는 만큼만 하면서 무난하게 살면서 남들과 융화되는 삶을 원한다. 하지만 자아발전 적인 욕구는 생각보다 중시하는 편이다. 그것이 내 자신에 대한 지나친 자기객관화 적인 성격적인 특성에 기인한 것 일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결론 - 시사점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론에 정의된 5단계의 욕구는 실제 그 종류가 더 다양할 수도 있고, 위계질서도 뒤죽박죽일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 개인적인 인간 그 자체로서의 존재에서 사회적 구성원으로서의 존재로서의 개인이 가질 욕구를 자기 자신의 주관적인 사고에 입각하여 그래도 어느 정도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일반적·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정의한 점은 생각보다 과감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매슬로의 욕구이론에 대한 비판 - 과잉긍정 문제 해결을 위한 ‘철학함’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_(이경인, 이진남 저.2018.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