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시술방법
3) 준비사항
4) 제왕절개 장·단점
5) 수술 전·후 간호
6) 경과 / 합병증
7) 부작용
2. 간호사정
1) 자료수집
2) 투약
3) 임상검사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1) 정의
2) 시술방법
3) 준비사항
4) 제왕절개 장·단점
5) 수술 전·후 간호
6) 경과 / 합병증
7) 부작용
2. 간호사정
1) 자료수집
2) 투약
3) 임상검사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를 착용하여 복부를 지지한다.
④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고 통증에 대해 말로 표현하도록 설명한다.
⑤ PCA 사용법과 부작용을 교육한다.
⑥ 보호자에게 대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했다.
⑦ 습열요법, 냉요법을 시행한다.
⑧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① 진통제는 신경을 둔하게 하여 동통을 완화시키거나 해소시켜준다.
② 활력징후는 신체통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③ 복대는 복부근육을 지지하여 자궁수축을 돕는다.
④ 통증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통증사정척도를 통해 객관적으로 사정하여 통증정도를 알아낼 수 있다.
⑤ PCA(자가조절진통제)는 마약성 진통제로 대상자가 직접 통증 정도에 따라 진통제 투여를 조절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⑥ 가족의 지지체계가 통증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⑦ 분만직후에는 냉요법을 해주고, 후에 안정이 되었을 때 온열요법을 해주어 부종과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⑧ 편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킨다.
간호수행
① 환자 요구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약하고,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서 교육했
다. ( SN관찰 )
→ 관찰내용 : DIFEAMINE(디페아민 진통제) INJ 2ml 1AMP #1
② 한 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AM
10:30
148/104
36.4
96
11:30
148/104
36.8
86
PM
12:30
161/105
37.2
89
③ 대상자가 복대를 제대로 적용하고 있는지 확인했다.
④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고 통증에 대해 말로 표현하도록 설명했다.
→ 대상자에게 통증을 말로 표현하라고 하고 통증사정척도로 통증을 사정하였다.
- 12월 16일 통증사정척도 점수 = 8점
- 12월 17일 통증사정척도 점수 = 6점
- 12월 18일 통증사정척도 점수 = 5점
- 12월 19일 통증사정척도 점수 = 4점
⑤ PCA 사용법과 부작용을 교육했다.
→ IV PCA 의 사용법 ( 버튼 기능 , 용량, 간격) 에 대해 설명한다.
1) 주입펌프에 달린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용량이 주입된다.
2) 정해진 용량이 투여된 후 일정기간(보통 10~15분간 ) 버튼을 눌러도 진통제가 투여되지 않음을 설명한다.
IV PCA의 부작용( 오심, 구토, 소양증 등)에 대해 설명하고 이런 부작용이 있으면 즉시 알려줄 것을 교육한다.
⑥ 보호자에게 대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했다.
→ 가족에게 환자의 통증완화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보호자가 대상자의 옆에서 정서적인 지지를 하는 것을 확인했다. *통증완화방법 교육 : 이완요법(심호흡, 상상요법 등)
⑦ 습열요법, 냉요법에 대하여 대상자에게 교육하고 설명했다.
→ 습열요법 - 가장 흔한 적용은 좌욕으로, 한번에 20분씩 하루 두세 번 좌욕하고 물의 온도는 38~41℃가 적당하다.
냉요법 - 얼음주머니는 30~60분 정도의 간격을 두고 30분 정도 적용할 때에 가장
효과가 좋다. 냉요법은 24~48시간까지 적용 가능한데, 그 이상 적용하면 상처의 회
복을 저해할 수 있다.
⑧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주었다.
평가
대상자는 4일 이내에 Nrs 통증 척도검사 사정 시 8점에서 4점 이하로 측정되었다. (목표달성)
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화장실에 가기도 힘들어요”
“움직일 때 마다 욱신거려서 못 걷겠어요.”
객관적 자료
움직일 때마다 통증 호소하는 것을 관찰함.
보호자 없이는 보행할 수 없음을 관찰함.
조기이상 중요성에 대해 잘 알지 못함.
Nrs 통증정도가 8점으로 체크됨
간호진단
(일시)
복부절개로 인한 통증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일상생활 활동에 제약이 없을 것이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4일 이내 조기보행의 중요성을 교육받고 조기이상한다.
대상자는 4일 이내에 Nrs 통증 척도 검사 사정 시 8점에서 4점 이
하로 측정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 기동성 양상을 사정한다.
② 조기이상 및 운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교육하고, 운동을 실시하도록 돕는다.
(ROM을 이용하여 초기운동을 돕는다.)
③ 필요시,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교육하고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 후 부작용을 관찰한다.
④ 보호자에게 조기이상을 위한 운동법을 알려주고, 교육시킨다.
⑤ 보행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조기이상을 돕는다.
① 기동성장애를 사정함으로써 운동방향
을 결정 할 수 있다.
② 조기 이상으로 인해 정맥성 혈전을 예방한다. (ROM으로 초기운동을 시행한다.)
③ 진통제의 부작용인 호흡억제가 나타나
는지 관찰한다.
④ 보호자에게 운동법을 교육하여 대상자의 운동을 돕는다.
⑤ 보행보조기구는 정상적으로 걷지 못할 때 체중을 지탱해주어 조기이상에 도움을 준다.
간호수행
①기동성 양상을 관찰하였다.
- 관찰내용 : 보호자 없이는 보행할 수 없음을 관찰하고, 걸을 때마다 자세가 불안 정함을 관찰함.
②,④,⑤ 조기이상 및 운동의 필요성을 교육하여 실시하도록 도왔다.
- 조기이상의 장점
: 자궁수축, 정맥염 방지
(건강한 느낌을 가지게 되며 조기 이상을 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혈전
성 정맥염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방광과 장의 기능을 호전시켜 방광
합병증이나 복부팽만, 변비등을 예방시켜준다 교육)
- 필요시 보조기구인 압박밴드나 붕대를 사용하여 운동하였다.
③ 처방된 진통제를 투약하고,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 SN 관찰내용 : DIFEAMINE(디페아민 진통제) INJ 2ml 1AMP #1
평가
대상자는 4일이내 통증 Nrs 측정 결과 8점에서 4점으로 측정되었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4일이내 보조기구 없이도 일상생활 능력에 문제없이 혼자 보행이 가능하였다. (목표달성)
적절한 보조기구의 사용은 기동성을 증가시켰다. (목표달성)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 백과 http://terms.naver.com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성미혜 강정희 등.
여성건강간호학 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공저). 수문사
이법이 외 알기쉬운 의학용어 - 메디컬 사이언스
제왕절개 분만 [cesarean deliver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④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고 통증에 대해 말로 표현하도록 설명한다.
⑤ PCA 사용법과 부작용을 교육한다.
⑥ 보호자에게 대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했다.
⑦ 습열요법, 냉요법을 시행한다.
⑧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① 진통제는 신경을 둔하게 하여 동통을 완화시키거나 해소시켜준다.
② 활력징후는 신체통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③ 복대는 복부근육을 지지하여 자궁수축을 돕는다.
④ 통증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통증사정척도를 통해 객관적으로 사정하여 통증정도를 알아낼 수 있다.
⑤ PCA(자가조절진통제)는 마약성 진통제로 대상자가 직접 통증 정도에 따라 진통제 투여를 조절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⑥ 가족의 지지체계가 통증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⑦ 분만직후에는 냉요법을 해주고, 후에 안정이 되었을 때 온열요법을 해주어 부종과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⑧ 편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킨다.
간호수행
① 환자 요구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약하고,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서 교육했
다. ( SN관찰 )
→ 관찰내용 : DIFEAMINE(디페아민 진통제) INJ 2ml 1AMP #1
② 한 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AM
10:30
148/104
36.4
96
11:30
148/104
36.8
86
PM
12:30
161/105
37.2
89
③ 대상자가 복대를 제대로 적용하고 있는지 확인했다.
④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고 통증에 대해 말로 표현하도록 설명했다.
→ 대상자에게 통증을 말로 표현하라고 하고 통증사정척도로 통증을 사정하였다.
- 12월 16일 통증사정척도 점수 = 8점
- 12월 17일 통증사정척도 점수 = 6점
- 12월 18일 통증사정척도 점수 = 5점
- 12월 19일 통증사정척도 점수 = 4점
⑤ PCA 사용법과 부작용을 교육했다.
→ IV PCA 의 사용법 ( 버튼 기능 , 용량, 간격) 에 대해 설명한다.
1) 주입펌프에 달린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용량이 주입된다.
2) 정해진 용량이 투여된 후 일정기간(보통 10~15분간 ) 버튼을 눌러도 진통제가 투여되지 않음을 설명한다.
IV PCA의 부작용( 오심, 구토, 소양증 등)에 대해 설명하고 이런 부작용이 있으면 즉시 알려줄 것을 교육한다.
⑥ 보호자에게 대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했다.
→ 가족에게 환자의 통증완화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보호자가 대상자의 옆에서 정서적인 지지를 하는 것을 확인했다. *통증완화방법 교육 : 이완요법(심호흡, 상상요법 등)
⑦ 습열요법, 냉요법에 대하여 대상자에게 교육하고 설명했다.
→ 습열요법 - 가장 흔한 적용은 좌욕으로, 한번에 20분씩 하루 두세 번 좌욕하고 물의 온도는 38~41℃가 적당하다.
냉요법 - 얼음주머니는 30~60분 정도의 간격을 두고 30분 정도 적용할 때에 가장
효과가 좋다. 냉요법은 24~48시간까지 적용 가능한데, 그 이상 적용하면 상처의 회
복을 저해할 수 있다.
⑧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주었다.
평가
대상자는 4일 이내에 Nrs 통증 척도검사 사정 시 8점에서 4점 이하로 측정되었다. (목표달성)
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화장실에 가기도 힘들어요”
“움직일 때 마다 욱신거려서 못 걷겠어요.”
객관적 자료
움직일 때마다 통증 호소하는 것을 관찰함.
보호자 없이는 보행할 수 없음을 관찰함.
조기이상 중요성에 대해 잘 알지 못함.
Nrs 통증정도가 8점으로 체크됨
간호진단
(일시)
복부절개로 인한 통증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일상생활 활동에 제약이 없을 것이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4일 이내 조기보행의 중요성을 교육받고 조기이상한다.
대상자는 4일 이내에 Nrs 통증 척도 검사 사정 시 8점에서 4점 이
하로 측정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 기동성 양상을 사정한다.
② 조기이상 및 운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교육하고, 운동을 실시하도록 돕는다.
(ROM을 이용하여 초기운동을 돕는다.)
③ 필요시,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교육하고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 후 부작용을 관찰한다.
④ 보호자에게 조기이상을 위한 운동법을 알려주고, 교육시킨다.
⑤ 보행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조기이상을 돕는다.
① 기동성장애를 사정함으로써 운동방향
을 결정 할 수 있다.
② 조기 이상으로 인해 정맥성 혈전을 예방한다. (ROM으로 초기운동을 시행한다.)
③ 진통제의 부작용인 호흡억제가 나타나
는지 관찰한다.
④ 보호자에게 운동법을 교육하여 대상자의 운동을 돕는다.
⑤ 보행보조기구는 정상적으로 걷지 못할 때 체중을 지탱해주어 조기이상에 도움을 준다.
간호수행
①기동성 양상을 관찰하였다.
- 관찰내용 : 보호자 없이는 보행할 수 없음을 관찰하고, 걸을 때마다 자세가 불안 정함을 관찰함.
②,④,⑤ 조기이상 및 운동의 필요성을 교육하여 실시하도록 도왔다.
- 조기이상의 장점
: 자궁수축, 정맥염 방지
(건강한 느낌을 가지게 되며 조기 이상을 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혈전
성 정맥염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방광과 장의 기능을 호전시켜 방광
합병증이나 복부팽만, 변비등을 예방시켜준다 교육)
- 필요시 보조기구인 압박밴드나 붕대를 사용하여 운동하였다.
③ 처방된 진통제를 투약하고,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 SN 관찰내용 : DIFEAMINE(디페아민 진통제) INJ 2ml 1AMP #1
평가
대상자는 4일이내 통증 Nrs 측정 결과 8점에서 4점으로 측정되었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4일이내 보조기구 없이도 일상생활 능력에 문제없이 혼자 보행이 가능하였다. (목표달성)
적절한 보조기구의 사용은 기동성을 증가시켰다. (목표달성)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 백과 http://terms.naver.com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성미혜 강정희 등.
여성건강간호학 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공저). 수문사
이법이 외 알기쉬운 의학용어 - 메디컬 사이언스
제왕절개 분만 [cesarean deliver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