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 계획
* 대상자에게 파킨슨 병의 예후에 대해 교육하고 질문한다.
- 파킨슨 병의 진행양상에 대해서 교육한다.
- 파킨슨 병이 진행되면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서 교육한다.
- 교육한 것을 재질문하여 교육효과를 파악한다.
*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를 통해 근경축으로 인한 신체의 쇠약의 정도를
평가한다.
* 대상자에게 맞는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증진시켜 근육의 조정과
근육 경축의 완화 및 경축의 예방을 가져온다.
- 현재의 몸 상태에 대해 대상자에게 질문한다.
- 관절기능을 부드럽게 하기위한 운동방법을 교육한다.
- 파킨슨 병의 운동장애에 효과적인 걸음걸이에 대해 교육한다.
- 수행
* 대상자가 병식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파킨슨 병의 예후에 대해 교육 후 질문했다.
(by SN)
- 몸이 불편하냐는 질문에 대상자 스스로 작은 목소리로 “파킨슨 병”이라고 말했
다.
- 대상자에게 파킨슨 병은 잠행성이어서 진단과 치료가 늦고 증상은 병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심해지고 마침내 환자는 와상상태가 되며, 일상생활 활동에 전적인 도움
이 필요로하게 된다는 것을 교육
- 대상자는 손으로 필기하는 데의 변화, 목소리를 내는 것의 어려움, 경직, 비정상적
피로, 동작이 느려짐, 보행 장애, 낙상, 침대에서 몸을 돌리거나 일으키는 데 어려
움 등을 호소하게 된다고 교육
*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를 통해 근경축으로 인한 신체의 쇠약의 정도를
평가한다. (by SN)
문 항
혼자서
할 수 있다
(2)
약간의 도움이 필요하다
(1)
전혀
할 수 없다
(0)
1. 옷 입기 - 옷장이나 서랍장에서 옷을 꺼내어 입기
0
2. 세수하기 - 세수, 양치질, 머리감기
0
3. 목욕 - 욕조 내에서 목용이나 샤워하기
0
4. 식사하기
0
5. 거동하기 - 잠자리에 눕고 일어나고 의자에 앉고
일어나기
0
6, 용변보기 - 화장실에 가서 용변을 보고 뒤를 닦고
옷을 추스리기
0
7. 대소변 가리기
0
- 일상생활활동의 대부분이 약간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전혀 할 수 없다가 나옴.
* 대상자에게 맞는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증진시켜 근육의 조정과
근육 경축의 완화 및 경축의 예방을 가져오도록 교육한다. (미실시)
- 현재의 몸 상태에 대해 대상자에게 질문한다.
- 관절기능을 부드럽게 하기 우해 신전운동을 시행하며 바른 자세 유지를 위해 머리
와 목을 후방으로 향하도록 훈련시킨다.
- 걷는 동안 동결현상이 있는 대상자에게 걸을 때 가상의 선을 그리고 따라 걷고, 걸
을 때 발가락을 들게하고, 한걸음 후퇴하고 두 걸음 진행하듯이 걷는 법을 훈련시
킨다.
- 평가
* 대상자는 스스로 파킨슨 병에 대한 병식이 있었다. (8/7)
* 대상자는 일상생활활동의 대부분이 부분적인 보조나 도움이 필요했다. (K-ADL)
* 대상자는 병원 생활의 무료함 때문에 몸이 더욱 약해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 대상자는 물리치료를 제외한 다른 ROM 운동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2. 질병으로 인한 오랜 입원 생활과 관련된 절망감
주관적자료 : 1. “예전에 집에 있을 때는 운동도하고 그랬는데 병원에만 있으니 그런 것
도안하고 희망이 없어요”
2. “간병사 아줌마만 고생하지... 이렇게 살아봐야 뭐하겠어?”
3. “(집에가고 싶냐는 질문에) 당연히 집에 가고싶지. 병원은 지긋지긋하지”
객관적자료 :
1. 과거력에 Depression (+) 기록이 있음 (충분히 mood 쪽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
됨)
2. 말을 걸 때를 제외하고 한마디도 안하는 것을 관찰 (mood 쪽에 영향)
3. 대상자의 안위변화 정리목록
절망감(1위)
앞으로 병원에서만 지내야한다는 절망감
우울(2위)
왜 이런 신세가 됐는지에 대한 우울
부담감(3위)
길어지는 입원생활로 늘어나는 병원비에 대한 걱정.
- 단기목표 : 대상자는 자신이 절망감을 느끼는 것을 구체화하고 말로 표현하여 그 정도를
감소시킨다.
- 장기목표 : 대상자는 스스로 절망감이나 우울과 같은 안위변화를 control 할 수 있는 방
법을 습득한다.
- 계획
* 대상자의 안위변화에 대해 사정하여 구체화 시킨다.
- 현재 안위변화를 느끼게 하는 것들에 대해 스스로 말로 표현해보게 한다.
- 말로 표현하는 것들을 보기쉽게 표로 만들어 시각화 한다.
* 대상자의 안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마주하게 하고, 만약 필요하다면
상담이나 의뢰를 받게 도와준다.
- 시각화 자료를 보여주며 대상자 스스로가 대강 추려내어 생각하고 있던 불안감들을
마주하게 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들 세 가지를 선택하게 한다.
* 대상자의 절망감을 완화하기 위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지지적 간호가 필요함을
인지시킨다.
수행
* 병원 생활과 재정적인 면에서의 변화, 또는 또 다른 것들로 불안한 것이나 안위변화
가 될만한 문제가 있는지 말로 표현해보게 격려하였다. (by SN)
* 말로 표현한 것들을 일목요연하게 적어 노트로 보여주며 안위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
을 선택하라고 격려하였다. (by SN)
절망감(1위)
앞으로 병원에서만 지내야한다는 절망감
우울(2위)
왜 이런 신세가 됐는지에 대한 우울
부담감(3위)
길어지는 입원생활로 늘어나는 병원비에 대한 걱정.
* 대상자의 안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마주하게 하고, 만약 필요하다면
상담이나 의뢰를 받게 해줄 수 있다고 설득했다.(미수행)
* 대상자의 절망감을 완화하기 위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지지적 간호가 필요함을
인지시킨다. (by SN)
- 대상자에게 침대에만 가만히 누워있는 것은 절망감을 악화시키는 것이라고 교육
- 주변의 다른 친한 환자가 있는지 알아보고 조금씩 그 환자들과 함께 병원생활을 공
유해보면 좋지 않겠냐고 이야기함.
- 평가
* 대상자는 자신의 걱정 중에 가장 큰 것이 절망감이란 사실을 알게 되었다. (8/8)
* 대상자는 기운이 없어서 다른 환자들과 이야기하는 것도 귀찮다고 말했다. (8/8)
* 대상자는 신체적인 문제로 인해 심리적인 문제에 대한 대처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
이지 않았다.
- 계획
* 대상자에게 파킨슨 병의 예후에 대해 교육하고 질문한다.
- 파킨슨 병의 진행양상에 대해서 교육한다.
- 파킨슨 병이 진행되면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서 교육한다.
- 교육한 것을 재질문하여 교육효과를 파악한다.
*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를 통해 근경축으로 인한 신체의 쇠약의 정도를
평가한다.
* 대상자에게 맞는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증진시켜 근육의 조정과
근육 경축의 완화 및 경축의 예방을 가져온다.
- 현재의 몸 상태에 대해 대상자에게 질문한다.
- 관절기능을 부드럽게 하기위한 운동방법을 교육한다.
- 파킨슨 병의 운동장애에 효과적인 걸음걸이에 대해 교육한다.
- 수행
* 대상자가 병식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파킨슨 병의 예후에 대해 교육 후 질문했다.
(by SN)
- 몸이 불편하냐는 질문에 대상자 스스로 작은 목소리로 “파킨슨 병”이라고 말했
다.
- 대상자에게 파킨슨 병은 잠행성이어서 진단과 치료가 늦고 증상은 병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심해지고 마침내 환자는 와상상태가 되며, 일상생활 활동에 전적인 도움
이 필요로하게 된다는 것을 교육
- 대상자는 손으로 필기하는 데의 변화, 목소리를 내는 것의 어려움, 경직, 비정상적
피로, 동작이 느려짐, 보행 장애, 낙상, 침대에서 몸을 돌리거나 일으키는 데 어려
움 등을 호소하게 된다고 교육
*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를 통해 근경축으로 인한 신체의 쇠약의 정도를
평가한다. (by SN)
문 항
혼자서
할 수 있다
(2)
약간의 도움이 필요하다
(1)
전혀
할 수 없다
(0)
1. 옷 입기 - 옷장이나 서랍장에서 옷을 꺼내어 입기
0
2. 세수하기 - 세수, 양치질, 머리감기
0
3. 목욕 - 욕조 내에서 목용이나 샤워하기
0
4. 식사하기
0
5. 거동하기 - 잠자리에 눕고 일어나고 의자에 앉고
일어나기
0
6, 용변보기 - 화장실에 가서 용변을 보고 뒤를 닦고
옷을 추스리기
0
7. 대소변 가리기
0
- 일상생활활동의 대부분이 약간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전혀 할 수 없다가 나옴.
* 대상자에게 맞는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증진시켜 근육의 조정과
근육 경축의 완화 및 경축의 예방을 가져오도록 교육한다. (미실시)
- 현재의 몸 상태에 대해 대상자에게 질문한다.
- 관절기능을 부드럽게 하기 우해 신전운동을 시행하며 바른 자세 유지를 위해 머리
와 목을 후방으로 향하도록 훈련시킨다.
- 걷는 동안 동결현상이 있는 대상자에게 걸을 때 가상의 선을 그리고 따라 걷고, 걸
을 때 발가락을 들게하고, 한걸음 후퇴하고 두 걸음 진행하듯이 걷는 법을 훈련시
킨다.
- 평가
* 대상자는 스스로 파킨슨 병에 대한 병식이 있었다. (8/7)
* 대상자는 일상생활활동의 대부분이 부분적인 보조나 도움이 필요했다. (K-ADL)
* 대상자는 병원 생활의 무료함 때문에 몸이 더욱 약해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 대상자는 물리치료를 제외한 다른 ROM 운동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2. 질병으로 인한 오랜 입원 생활과 관련된 절망감
주관적자료 : 1. “예전에 집에 있을 때는 운동도하고 그랬는데 병원에만 있으니 그런 것
도안하고 희망이 없어요”
2. “간병사 아줌마만 고생하지... 이렇게 살아봐야 뭐하겠어?”
3. “(집에가고 싶냐는 질문에) 당연히 집에 가고싶지. 병원은 지긋지긋하지”
객관적자료 :
1. 과거력에 Depression (+) 기록이 있음 (충분히 mood 쪽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
됨)
2. 말을 걸 때를 제외하고 한마디도 안하는 것을 관찰 (mood 쪽에 영향)
3. 대상자의 안위변화 정리목록
절망감(1위)
앞으로 병원에서만 지내야한다는 절망감
우울(2위)
왜 이런 신세가 됐는지에 대한 우울
부담감(3위)
길어지는 입원생활로 늘어나는 병원비에 대한 걱정.
- 단기목표 : 대상자는 자신이 절망감을 느끼는 것을 구체화하고 말로 표현하여 그 정도를
감소시킨다.
- 장기목표 : 대상자는 스스로 절망감이나 우울과 같은 안위변화를 control 할 수 있는 방
법을 습득한다.
- 계획
* 대상자의 안위변화에 대해 사정하여 구체화 시킨다.
- 현재 안위변화를 느끼게 하는 것들에 대해 스스로 말로 표현해보게 한다.
- 말로 표현하는 것들을 보기쉽게 표로 만들어 시각화 한다.
* 대상자의 안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마주하게 하고, 만약 필요하다면
상담이나 의뢰를 받게 도와준다.
- 시각화 자료를 보여주며 대상자 스스로가 대강 추려내어 생각하고 있던 불안감들을
마주하게 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들 세 가지를 선택하게 한다.
* 대상자의 절망감을 완화하기 위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지지적 간호가 필요함을
인지시킨다.
수행
* 병원 생활과 재정적인 면에서의 변화, 또는 또 다른 것들로 불안한 것이나 안위변화
가 될만한 문제가 있는지 말로 표현해보게 격려하였다. (by SN)
* 말로 표현한 것들을 일목요연하게 적어 노트로 보여주며 안위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
을 선택하라고 격려하였다. (by SN)
절망감(1위)
앞으로 병원에서만 지내야한다는 절망감
우울(2위)
왜 이런 신세가 됐는지에 대한 우울
부담감(3위)
길어지는 입원생활로 늘어나는 병원비에 대한 걱정.
* 대상자의 안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마주하게 하고, 만약 필요하다면
상담이나 의뢰를 받게 해줄 수 있다고 설득했다.(미수행)
* 대상자의 절망감을 완화하기 위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지지적 간호가 필요함을
인지시킨다. (by SN)
- 대상자에게 침대에만 가만히 누워있는 것은 절망감을 악화시키는 것이라고 교육
- 주변의 다른 친한 환자가 있는지 알아보고 조금씩 그 환자들과 함께 병원생활을 공
유해보면 좋지 않겠냐고 이야기함.
- 평가
* 대상자는 자신의 걱정 중에 가장 큰 것이 절망감이란 사실을 알게 되었다. (8/8)
* 대상자는 기운이 없어서 다른 환자들과 이야기하는 것도 귀찮다고 말했다. (8/8)
* 대상자는 신체적인 문제로 인해 심리적인 문제에 대한 대처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
이지 않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