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학)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약학)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살충제
살충제의 분류
살충제의 종류

- 살균제
국내의 주요 병균
살균제의 종류

- 제초제
국내의 잡초 발생 및 종류

본문내용

기 전에 토양에 처리하는 약제인 발아전 처리제와 잡초 발아초기에서 생육기간 중에 토양이나 경엽에 처리하는 방아후 처리제로 구분한다. 이렇나 분류는 제초제의 처리방법에 따fms 작물과 잡초간 선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 살초기작에 따른 분류
제초제의 작용기작에 따른 분류는 제초제의 유효성분 조성에 따른 분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식물의 생리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식물호르몬의 생체내 균형을 교란시켜 잡초를 살멸시키는 호르몬형 제초제와 그렇지 않는 비호르몬형 제초제로 크게 분류하고 처리된 제초제가 식물체내에 침투, 이행하여 살초활성을 보이는 접촉형 제초제로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제초제의 적용잡초에 따라 특정한 잡초만을 살초시키고 그 이외의 잡초에는 활성이 없는 선택성 제초제와 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식물에 살초활성을 보이는 비선택성 제초제가 있으며 선택성 제초제 중에서도 동일 식물종내에서 속간에 선택성을 보이는 속간 선택성 제초제도 있다. 또한 식물체에 대한농약의 살초기작에 따라서 광합성 저해제, 에너지대사 저해제, 단백질 생합성 저해제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라.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
제초제 유효성분의 화학적 조성에 따른 분류하는 방법으로 크게 무기제초제와 유기제초제로 분류하고 다시 제초제의 분자구조내에서 살초활성을 나타내는 활성기 또는 활성원자단의 종류에 따라서 acetanilide계, aryloxyalkankic acid계, aryloxyphenoxypropionic asid계, bipyridylium계, dinitroaniline계, diphenyl ether계, sulfonylurea계, triazine계, urea계 등으로 분류한다.
10. 주용 제초제의 특성
치환 aniline과 저급지방산과의 amide체인 acetanilide계 제초제는 모두 carbonrl기의 알파-carbon 위치에 하나의 염소원자를 갖고 있는 알파-chloroacetamide 형대라는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 벼과식물에 대한 선택적 활성이 높고 살초기작은 단밸질의 생합성 저해이다. 이들 화합물은 대부분이 잡초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는 특성을 보이며 토양에 흡착성이 매우 강하고 잔효성이 긴 특징이 있다.
가. Acetanilide계
Alachlor는 주로 벼과 잡초의 발아 억제제로 적은 양으로 살초활성을 나타낸다. 잡초의 유아 및 유근으로부터 흡수되어 체내 단백질의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세포분열을 억제하여 살초시킨다. Alachlor는 밭잡초 방제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잡초의 생육기에 경엽으로부터 흡수는 되지 않는다. 토양 중 이동성은 낮아 식양토에서 1~2cm 정도 이동하며 잔효기간은 10~12주간 지속된다. 그 외에 Butachlor, Metolachlor, Pretilachlor이 있다.
나. Amide계
Amide계 제초제는 그 구조가 acetanilide계와 비슷하나 carbonyl기에 chloromethl기가 결합되어 않은 점에서 서로 구별된다.
Isoxaben 주로 뿌리로부터 흡수되어 단밸질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살초활성을 보인다. 본제는 토양처리제로서 봄 및 가을에 발아하는 광범위한 광엽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이다. 토양 중에서는 비교적 낮은 이동성을 보이며 토양 중 반감기는 약 3~4개월이다. 작물에 대한 약해는 없다. 그 외에 Propanil, Mefenacet이 있다.
다. Aryloxyalkanoic acid계
Aryloxyalkanoic acid계는 phenoxy계로도 잘 알려져 있는 홀몬형 제초제이다. 대표적인 약제는 2,4-D로서 Zimmerman이 합성 auxin의 연구과정에서 2,4-D가 고농도에서 살초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한 이래 많은 종류의 aryloxyalkanoic acid계 제초제가 개발, 실용화되었다. aryloxyalkanoic acid계 제초제는 선택성의 침투이행성으로 잎이나 뿌리로부터 흡수되어 분열조직으로 이동, 축적된다. Aryloxyalkanoic acid계 제초제의 작용특성은 생체내 auxin의 균형을 교란시키는 것이 주된 작용으로 분열조직의 활성화, 이상 분열, 형태적 이상, 흡수 증진, 엽록소 형성 저해, 세포막의 삼투압 중 대등 식물의 기본적 생리기능을 굣란시킴으로써 살초 활성을 나타낸다. 종류로는 2,4-D, MCPB, Mecoprop, Triclopyr이있다
라. Aryloxyphenoxypropionic acid계
이 제초제는 선택성의 침투이행성 약제로 diclofop의 살초활성이 처음 밝혀진 이후 많은 종류의 제초제가 개발, 실용화되었다. 이들 제초제는 화학구조적으로 aryloxyalkanoic acid계와 매우 유사하나 제초활성이 매우 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즉 aryloxyalkanoic acid계가 주로 광엽잡초를 살초하나 이 계통의 제초제는 광엽작물에는 안전하고 주로 화본과 잡초에 매우 강한 살초작용을 나타내어 일명 graminicide라고 불리기도 한다. 따라서 광엽의 밭작물 재배시 화본과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이들 제초제는 propionic acid 또는 ester의 알파-carbon이 비대칭 탄소로서 모두 광학활성을 나타내는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R-isomer의 제초활성이 보다 우수하여 별도의 제초제로서 개발되고 있다. 종류로는 Diclofop,Fenoxaprop-P, Fluazifop, Haloxyfop, Propaquizafop, Haloxyfop, Propaquizafop, Quizalofop가 있다.
그 다음으로 크게 Benzoic acid 및 Benzonitrile계, Benzothiadiazole계, Bipyridylium계, Dinitroaniline계, Diphenyl ether계, Imidazolinone계, Organophosphate계, Phosphono amino acid계, Pyridazinone 및 pyridinone계, Sulfonylurea계, Thiocarbamate계, Uracil계, 기타(Benfuresate,Dithiopyr,Perfluidone,Pyribenzoxim)으로 나누어진다.

키워드

  • 가격10,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0.02.09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40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