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2019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세상읽기와 논술] MeToo 운동의 의의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2019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세상읽기와 논술] MeToo 운동의 의의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MeToo 운동의 정의와 배경
2. #MeToo 운동의 전개 과정
3. #MeToo 운동의 의의
4. #MeToo 운동의 미래
1) 모두를 위한 #MeToo 운동
2) 옳지 않은 권력 관계 근절
3) 침묵은 곧 가해자라는 인식 확산
4) 언론의 보도 윤리 준수
5) 적극적인 교육 실시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 송문희(2018). 펭귄 날다. 행복에너지. 64쪽
#MeToo 운동이 전개되고 보도되는 과정에서 언론은 가해자에 대한 문제제기보다는 피해사실에 더욱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극적인 기사를 쓰기 위한 언론의 행동이 피해자들을 더욱 고통스럽게 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MeToo 운동과 관련된 올바른 보도 윤리를 확립 및 준수해야 할 것이다.
5) 적극적인 교육 실시
결국 모든 문제의 해결은 교육으로 끝이 난다. 우리 사회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성추행 상황에 부딪혔을 때 ‘NO\'라고 크게 외칠 수 있도록 제대로 교육해야 한다. 성추행의 피해는 결코 수치스러워하며 숨겨야 할 것이 아니라 중대한 인권 침해이며 단죄해야 할 범죄라는 사실을 가르쳐줘야 한다.” 송문희(2018). 펭귄 날다. 행복에너지. 124쪽
또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법률적, 제도적으로 피해자를 지원해줄 수 있는 정책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을 통해 문제를 예방하고 제도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정책해나가야 할 때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MeToo 운동의 정의와 배경, 전개과정 및 의의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또한 앞으로 #MeToo 운동이 우리 사회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였다. “미투 운동이 성폭력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로 이어지려면 이를 향한 지지와 연대의 목소리에 다수 시민이 힘을 실어 줘야 한다. 더 이상 권력이나 지위 등의 힘을 앞세워 약자인 여성의 성을 ‘대상화’하고 ‘도구화’할 수 없다는 것을 공동체의 합의로 만들어야 한다.” 송문희(2018). 펭귄 날다. 행복에너지. 200쪽
2018년 #MeToo 운동이 확산될 수 있었던 것은 그동안 공론화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한 사회적 파장이 컸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지난 1년 간 #MeToo 운동이 지속될 수 있었다. 실제로 #MeToo 운동은 우리 사회의 잘못된 문화를 개선하는데 크게 이바지해왔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나서는 안 된다. 이제는 여전히 사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제들이 폭로될 수 있는 창구를 만들고 다시는 이와 같은 문제들이 되풀이되지 않는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환경을 갖추어 나가야 할 때이다.
참고문헌
- 송문희(2018). 펭귄 날다. 행복에너지
- 이나영(2018). 성평등의 전환기, #MeToo 운동의 과제. 젠더리뷰 2018 가을호

키워드

#MeToo,   미투 운동,   metoo,   미투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2.18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4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