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사실, 인문학은 가치라는 공식을 전제하여 과학과 인문학은 반대되는 영역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인간을 중심으로 사실과 가치의 관계를 바라본다면 이 두 개념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과학과 인문학의 영역은 그대로 보존되면서도 소통을 용이하게 하는 접점들이 분명히 존재한다.
과학은 단순히 발전만을 향해가는 것이 아닌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점검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위험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사실과 가치의 관계는 중요한 문제이다. 발전의 결과를 내는 위험 평가의 과정과 이 결과에 기반으로 이에 얽힌 이해당사자들이 사회가 이 위험을 어떻게 수용하거나 할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위험 관리의 두 단계가 그것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두 개로 분리된 상태에서 사실과 가치 판단을 나누는 모델에서 벗어나 인문학적 관점이 융합된 형태의 모델을 사용한다. 즉, 사실과 가치가 혼합된 현대 과학의 문제점들을 해결함에 있어 인문학적 가치 고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과학이 가치를 배제한 인간의 호기심에서 시작했을지라도 그 연구가 진행되고 발전해가는 과정에서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를 적용하여 고려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게 대부분인 상황에서 과학기술은 그 자체로 이미 인문학적 가치가 융합된 산물이기 때문이다.
물론 과학과 인문학의 결합이 하나가 다른 하나로 흡수되거나 둘이 합쳐져 새로운 하나의 학문 분야를 만드는 식의 논리는 올바른 방향이 아니다. 단지, 과학의 발전만을 분리하여 따로 고려하는 기존의 틀을 타개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애초에 순수한 자연, 순수한 인간과 같은 개념 존재 자체가 게 불가능한 상황에서 인공물을 매개로 복잡하게 얽힌 자연과 인간의 네트워크에 대한 인문학적 관점의 이해를 발전시키는 게 중요하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사실만이 존재하는 세상을 연구하고, 인문학자는 인간 세상의 본질에 대한 연구라는 극명한 분리가 이전 사회의 관점이라면 현대에 적합한 관점은 이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즉, 현대 과학의 영역에 해당되는 문제가 인문학적 논점이 혼재된 복합물임을 인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더 나은 방향으로의 결합하여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인류가 직면하게 될 미래는 인문학적 창의성에 기반을 두고 잘 발달된 과학을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출처
과학은 이것을 상상력이라고 한다, 이상욱, Humanist, 2019
과학은 단순히 발전만을 향해가는 것이 아닌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점검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위험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사실과 가치의 관계는 중요한 문제이다. 발전의 결과를 내는 위험 평가의 과정과 이 결과에 기반으로 이에 얽힌 이해당사자들이 사회가 이 위험을 어떻게 수용하거나 할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위험 관리의 두 단계가 그것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두 개로 분리된 상태에서 사실과 가치 판단을 나누는 모델에서 벗어나 인문학적 관점이 융합된 형태의 모델을 사용한다. 즉, 사실과 가치가 혼합된 현대 과학의 문제점들을 해결함에 있어 인문학적 가치 고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과학이 가치를 배제한 인간의 호기심에서 시작했을지라도 그 연구가 진행되고 발전해가는 과정에서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를 적용하여 고려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게 대부분인 상황에서 과학기술은 그 자체로 이미 인문학적 가치가 융합된 산물이기 때문이다.
물론 과학과 인문학의 결합이 하나가 다른 하나로 흡수되거나 둘이 합쳐져 새로운 하나의 학문 분야를 만드는 식의 논리는 올바른 방향이 아니다. 단지, 과학의 발전만을 분리하여 따로 고려하는 기존의 틀을 타개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애초에 순수한 자연, 순수한 인간과 같은 개념 존재 자체가 게 불가능한 상황에서 인공물을 매개로 복잡하게 얽힌 자연과 인간의 네트워크에 대한 인문학적 관점의 이해를 발전시키는 게 중요하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사실만이 존재하는 세상을 연구하고, 인문학자는 인간 세상의 본질에 대한 연구라는 극명한 분리가 이전 사회의 관점이라면 현대에 적합한 관점은 이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즉, 현대 과학의 영역에 해당되는 문제가 인문학적 논점이 혼재된 복합물임을 인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더 나은 방향으로의 결합하여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인류가 직면하게 될 미래는 인문학적 창의성에 기반을 두고 잘 발달된 과학을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출처
과학은 이것을 상상력이라고 한다, 이상욱, Humanist, 2019
키워드
추천자료
포르노와 컴퓨터의 연결고리
유아 사회 교육
생태위기(생태계파괴)의 원인과 심각성, 생태위기(생태계파괴)의 현황, 생태위기(생태계파괴)...
현대 인문학(현대 인문과학)과 전쟁, 현대 인문학(현대 인문과학)과 포스트모더니즘, 현대 인...
1960년대 자유와 불안의 경험 - 김승옥의 「생명연습」, 「무진기행」, 「서울, 1964년 겨울」
[인간과사회C형] 사회학이란 무엇이고 사회학하기란 어떤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2000년대에 들...
넷플릭스(Netflix)의 성공전략과 한국진출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 우리 사회에서 집단지성이 발현된 대표적 사례를 골라 그 사례에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