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COPD case stud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COPD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원인 및 병태생리
2. 임상증상
3. 진단검사
4. 치료


Ⅱ. 간호과정
1. 간호진단
#1 호기 시 기도폐쇄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의식수준저하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3 치료과정과 관련된 불안
2. 간호계획
3. 간호수행
4. 간호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l이 올라가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였다.
call bell이 손에 닿는지 확인하였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call bell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낙상위험푯말이 걸려있는지 확인하였다.
주변에 낙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물들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대상자가 어지럼증을 호소하는지 V/S, 산호포화도를 잴때마다 확인하였다.
대상자 침상 난간에 베게를 끼어넣어 낙상 위험성을 줄였다.
대상자의 상태를 수시로 관찰하였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법을 교육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상황과 위험을 인식하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대상자만 혼자 남겨두고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어지러움을 호소할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진단
번호
수행
날짜
평가내용
# 2
- 단기목표 ‘대상자와 보호자가 7일 이내에 낙상예방법의 중요성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는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모두 교육시켰고,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는 대상자를 위해 폐쇄형 질문을 했고 낙상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침대 난간 항상 오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 장기목표 ‘대상자는 손상이 없을 것이다.’는 대상자가 낙상 위험에 노출되지 않았고 보호자와 간호사의 낙상위험관리로 낙상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다.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호진단
해결
날짜
서명
#3
#3 치료과정과 관련된 불안
<과학적 근거>
불안은 막연하고, 확인되지 않은 위협에 의한 불편한 감정이다. 불안은 경한 정도, 중등도, 또한 심한 정도일 수 있고, 아주 심하면 공황 수준에 달할 수도 있다. 불안은 급성이거나 만성일 수 있다. 불안은 다른 연령층 보다 노인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며 지속적이고 높은 수준의 불안은 대상자가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을 방해한다. 불안의 행동변화뿐 아니라 교감신경계의 자극은 두려움에서 보였던 똑같은 신체변화를 초래한다.
<참고문헌>
노인간호학/신경림 외/현문사
<합리적 근거>
객관적근거
- 과거력 dementia
- 불안장애 치료제 ‘Alpram’ 복용중
- 입원당시 Coma 상태
- 보호자 없이 대상자 혼자 있는 모습을 확인함
- 나이: 77세
-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음
- 웃는 모습을 보지 못함
- 가끔 비명소리를 지름
- Suction시 상당한 저항이 있고 극도로 불안한 표정 관찰됨.
- HADS 검사 점수 20점으로 ‘중증도 이상의 불안과 우울증상이 있는 상태’ 임
주관적근거
- “하지마!!”
진단
번호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불안이 사라졌다고 표현한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에 감소된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자세, 얼굴표정, 몸짓, 활동수준을 보인다.
#3
<간호계획>
-진단적 지시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대상자의 지지체계를 확인한다.
3. 안면 불안 척도를 고려한다.
4. 치료과정에 대한 환자 인식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지시
1.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2. 치료적 접촉 기법을 사용한다.
3. 항불안 약물을 복용한다.
4.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5. 과도한 자극을 줄인다.
6. 경청과 정서적지지를 수행한다.
-교육적 지시
1. 불안에 직면한 대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2. 대상자와 가족이 의료적 처방을 적절하게 실행하도록 돕는다.
3. 대상자에게 간호수행에 대해 설명한다.
4. 환자와 관련된 모든 활동, 절차, 문제를 설명한다.
5. 대상자에게 심호흡과 이완요법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
번호
수행
날짜
수 행
# 3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혈압
맥박(회/분)
호흡(회/분)
체온(℃)
4/30
10:30
120/70
88
19
37.2
5/1
10:30
110/60
92
20
37.3
5/2
16:30
120.60
102
21
37.2
5/3
10:30
110/70
90
20
36.8
5/4
10:30
120/70
98
20
37.4
대상자의 지지체계를 확인하였다.
주 2회 손자가 병문안을 왔다.
- 안면 불안 척도를 고려하였다.
대부분 무표정, 찡그린 표정, 불편한 표정이었다.
- 치료과정에 대한 환자의 인식정도를 사정하였다.
Suction에 상당히 부정적이였다.
- 치료적 접촉 기법을 사용하였다.
팔, 어깨에 가볍게 스킨쉽을 하였다.
- 과도한 자극을 줄인다.
활력징후를 최대한 조용하고 신속하게 측정하였다.
- 경청과 정서적지지를 수행했다.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점을 고려하여 폐쇄형 질문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였다.
- 대상자에게 치료과정에 대해 설명했다.
Suction은 구강, 비강, 기도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제거하여 숨을 원활히 쉴 수 있게 하기위함을 설명했다.
- 대상자에게 심호흡과 이완요법에 대해 교육했다.1. 숨을 천천히 깊게 들어 마신다.
2. 숨을 천천히 내쉬면서 근육을 이완시킨다.
3. 편안한 속도로 천천히, 규칙적으로 호흡한다.
4. 천천히 박자를 맞춰 ‘하나, 둘, 셋’ 하면서 들이 마시고, ‘둘, 둘, 셋’ 하면서 내쉰다. 내쉴 때 ‘평화롭다’ 고 말해본다.
5. 3번과 4번을 20분 반복한다.
6. 천천히 깊게 호흡하면서 끝마친다. 숨을 내쉬면서 ‘나는 정신이 맑고 이완되었다’ 라고 말해본다.
진단
번호
수행
날짜
평가내용
# 3
-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감소된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자세, 얼굴표정, 몸짓, 활동수준을 보인다.’ 는 간호중재 후 환자와 대면시 웃는 모습을 취했고 활력징후 측정시 저항을 하지 않았으므로 단기 목표가 달성되었다.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불안이 사라졌다고 표현한다.’는 대상자가 Suction을 할때마다 저항을 하였으므로 치료과정에 대한 환자의 인식정도와 대상자에게 치료과정에 대한 설명을 다시 수행해야한다.
참고문헌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성인간호학(상) 신경림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하) 신경림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 송경애 외, 계축문화사
martini 핵심 해부생리학 제5판 윤호/박경한 외, 바이오사이언스
노인간호학 신경림 외, 현문사
오세만 외, 병원 불안-우울 척도에 관한 표준화 연구(1999), 296p
Morse falls scale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20.02.22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4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