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대한 발전방향과 생각을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대한 발전방향과 생각을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령부의 지시와 일본 헌법에 의해 민간 사회복지 사업에 대하여 공적보조를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공동모금에 의한 재정지원이 긴급한 상황이었다. 둘째, 전후 혼란기에 생활빈곤자를 사회연대, 상호부조의 의식에 기초하여 돕고자 하는 국민돕기운동이 계획되고 있었다. 셋째, 민간사회복지사업의 지원을 위해 미국의 공동모금 시스템을 배워 도입하기 시작한 것이다.
(1)조직
회장, 부회장, 이사회 및 자문위원회, 사무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문위원회는 모금, 조직, 배분, 홍보 등 4개의 분과위원회로 나누어 업무를 수행하고 결정상항을 이사회에 부의함으로써 정책에 반영된다.
(2)모금
미국과 달리 후생대신의 고시에 의해 정해진 기간 동안 주로 이루어지며, 전통적으로 호별모금이 주된 모금활동이다. 현재는 특정사회복지법인을 지정하여 기탁하는 지정기탁금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을 활용하여 모금사업이 이루어진다.
(3)배분
방식은 도도부현 차원에서의 복지계획에 의거한 배분과 시구정촌 차원의 지역복지 계획에 의거하여 행해지는 배분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시구정촌 사회복지협의회를 대상으로 지역의 재가복지서비스 등을 위한 지역배분, 장애인 및 지적장애인 단체를 위한 단체배분, 특별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특별배분의 형태로 운영된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발전방안
1)중앙과 지회 간의 역할 명확화
중앙은 교육과 훈련, 자료제공, 기준이나 방침의 설정 등의 지원 역할을 수행해야 하고, 모금과 배분의 실질적인 사업주체는 각 지회가 될 수 있도록 조정이 필요하다.
2)전문인력 보강
사회복지모금회의 사업 취에 맞는 운영에 있어서 그 양적 확대와 함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3)지원사업의 명확화
사회복지 공동모금은 사회복지사업에 한정되어 배분될 수 있도록 법령에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를 바탕으로 공동모금이 전개된 만큼 다른 지역사회 사업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폭넓고 융통성 있는 해석이 필요하다.
3. 결론
여전히 사회복지제도의 안에서마저 지원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방송이나 신문 등 언론을 통해 알려진 사람들은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미처 지원받지 못하는 사람들, 알려지지 않아 소외된 이웃들에게 도움이 전해져야 한다. 공동모금회는 성격과 특성에 맞는 평가방식을 개발하여 합리적인 기준에 맞춰 적재적소에 나눠야 하는데 그 기준에 설정과 의사결정 절차의 정당성이 매우 중요하다. 모쪼록 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 내에 평가를 위한 형식적인 틀을 지원의 효과를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사회에 올바른 위상을 펼치도록 다방면에서 노력하여야 한다.
본 과제를 작성하면서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해 작성하였다. 배분사업의 평가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 한번더 생각하는 기회가 되었다.
4.참고문헌
-위키백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랑의 열매
-복지로 (http://www.bokjiro.go.kr/nwel/bokjiroMain.do)
-제주관광대학사회복지과교수 전영록(http://www.dream6240.com/)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3.03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