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감자재배방법과 현황(pp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감자재배방법과 현황(pp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감자재배방법
1-1. 감자 생장단계와 재배환경
1-2. 감자 생장단계별 재배방법
1-3. 일반 감자 표준 재배기술
1-4. 감자의 작형별 재배방법

2. 국내 감자의 주요병

3. 감자의 시장동향
3-1. 감자의 활용
3-2. 우리나라 감자의생산량
3-3. 우리나라 감자의 소비량

본문내용

봄 재배 : 장마 전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함  PE투명 멀칭으로 지온을 높임
출현기(2~3월) 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 출현 후 늦서리 피해가 빈번함
생육초기~덩이줄기 비대기(4월~5월)  물주기 작업
성숙기 이후 6~7월 장마로 수확기 상품성 불량의 원인이 됨
※ 덩이줄기 비대가 완료되는 시기에는 물을 주면 부패 우려가 있음

여름 재배 : 재배지역이 고랭지대이기 때문에 주야간 온도차가 크고 생육기간이 길어
덩이줄기의 비대가 잘됨
경사지가 많고 잡초발생을 막기 위해 흑색필름 멀칭 사용함
잡초의 발생이 빠르므로 파종 후 발아억제용 제초제 살포해야함
6~7월 장마기에 과습·일조부족  과번무·역병발생으로 수량이 감소 주의
재배기간 중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역병 발병 전에 약제를 살포하여 예방
※ 평지보다 진딧물 발생밀도가 낮아 씨감자 채종지로 적합함

가을 재배 : 우리나라 가을철 기온(특히 남부지방: 9~11월)은 감자의 생육조건에 유리함
하지만, 파종기인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은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씨감자
부패가 많아 출현율 확보가 어려움

파종~출현기  늦장마, 태풍, 고온·다습한 환경에 의한 부패 우려가 있음
잡초발생을 막기 위해 흑색필름 멀칭 사용함
※ 절단한 씨감자를 사용할 경우, 절단면이 고온·다습한 환경에 의한 부패 우려
절단하지 않고 심을 수 있는 30~60g 크기가 좋음
파종기에 기후조건이 나빠므로 파종 전에 싹틔움상을 설치하는 것이 좋음
남부지역은 직파가 가능하나 산광싹튀우기를 한 후 심는 것이 좋음
덩이줄기 비대가 완료되는 시기에는 물을 주면 부패 우려가 있음

생육기  저온, 가뭄이 지속되면 생육과 괴경 비대가 늦어짐

생육후기  갑작스러운 서리, 냉해, 동해의 피해를 받을 수 있음

겨울 재배 : 감자의 생육적온은 14~23℃도 비교적 저온에 강함
겨울철 남부지역에서 무가온으로 시설재배가 가능함
단경기에 출하되어 소득이 높음
※ 겨울철 주간에 하우스 내부 온도가 30℃ 이상되지 않도록 관리 
환기; 겨울철 야간에 하우스 내부 온도가 낮지 않도록 보온관리 철저

키워드

감자,   potato,   재배
  • 가격4,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20.03.04
  • 저작시기2020.07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125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