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행정론 E형) 비교행정 이론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교행정론 E형) 비교행정 이론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이스턴(Easton)의 이론과 그에 대한 평가
2) 알몬드(Almond)의 이론과 그에 대한 평가
3) 리그스(Riggs)의 이론과 그에 대한 평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이 모든 국가에 적용 가능한 보편적인 모델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김용직, 2012 : 119쪽).
3) 리그스(Riggs)의 이론과 그에 대한 평가
리그스는 현대사회를 농업사회와 산업사회, 그리고 그 중간형인 전이사회로 나누어 보는 발전된 체제론적 접근법을 제시하였으며, 그의 모델은 프리즘적 모형으로 불린다. 리그스에 따르면 사회는 정치적, 문화적 분화가 일어나지 않는 융합 사회, 분화와 통합이 잘 이루어지는 분화사회, 분화는 되지만 통합이 미흡한 프리즘적 사회로 구분되며 대다수의 국가가 프리즘적 사회에 해당한다. 현대 사회는 다차원적으로 변모하면서 사회 각 부분이 자율성을 고도로 요구하였기에 분화는 매우 잘 이루어지는 편이나 균형과 조화가 적절하기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리그스가 보기에 현대 사회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 이러한 조화, 즉 사회적 통합이며, 그 통합은 정부와 국민 간의 균형 있는 조화로 이룩할 수 있다(강성남, 2016 : 66쪽).
이러한 리그스의 모델은 개발도상국의 관료제와 행정 현상을 파악하는 매우 정교한 이론으로 평가받는다. 예컨대, 개발도상국은 전이사회단계의 프리즘적 사회로서 타 집단에 비교적 배타적이며 행정편의주의와 잦은 혼란을 경험한다. 리그스의 프리즘적 모형은 이러한 개발도상국의 정치 성향과 관료제의 실상을 잘 파악하게 해 주었다.
3. 결론
사회과학의 타 분야와 마찬가지로 비교행정 연구에서는 어떤 이론을 취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하나의 이론적 방향성을 고수할 경우, 신생국과 개발도상국의 발전 가능성을 제한적으로 파악하거나 한 국가의 사례를 마치 모범답안으로 생각하고 모든 국가에 적용하려는 잘못된 시도가 야기될 수 있다. 실제로 전통적 이론들은 일부 선진국에나 타당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많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따라서 가능한 한 다양한 비교행정의 이론을 학습하고 적용해 보면서, 각 사례에 가장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은 무엇일지 고민해 보아야 하겠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강성남(2016), 『비교행정론』, KNOU Press(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60~66쪽.
김신복, 강성남(2011), 『비교행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4~13쪽.
김용직(2012), 『현대한국정치와 체계이론 분석: 이론과 적용사례 검토』,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4 No.1, 한국정치외교사학회, 115~119쪽.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3.08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9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