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역사 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말의역사 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어사의 시대 구분방법
2. 각 시대별 개요 및 특징
2.1. 고대국어
2.2. 중세국어
2.3. 근대국어

본문내용

음절로 확대된다. 중세 국어에 있었던 성조(聲調)가 없어졌고 17세기와 18세기의 교체기에 \'ㄷ,ㅌ\'의 구개음화가 일어나 \'ㅈ,ㅊ\'으로 된 사실과 18세기 중엽에 어두음절의 \'ㆍ\'마저 \'ㅏ\'로 변화했고, 그 뒤를 이어 이중모음 \'ㅐ\'와 \'ㅔ\'의 단모음(單母音)화가 일어난 것은 특기할 만하다.
어휘
한자어가 확대되어 고유어들이 소멸되기도 한다. 그 대신 한자어는 더욱 증가했는데, 당시의 한자어에는 현대 국어의 그것과 의미가 다른 것도 적지 않았다. \'방송(放送)\'은 석방(釋放)을, \'발명(發明)\'은 변명(辨明)을 의미했다. 서양의 문물이 중국을 통해 들어왔기 때문에 이들도 새로운 한자어를 추가시켰다. 대개 천문ㆍ지리ㆍ종교 등에 관한 어휘들인데, 예를 들면 북경으로부터 흘러들어온 자명종(自鳴鐘)ㆍ천리경(千里鏡) 등이 있다. 그리고 정치적ㆍ문화적 교류에 의한 차용어(借用語)가 중국어ㆍ몽고어ㆍ만주어에 걸쳐 많이 유입된 것도 근대 국어 어휘의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문법
근대 국어의 문법 체계를 중세 국어의 그것과 비교해 볼 때 간소화, 즉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체계에의 지향을 가장 뚜렷한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선어말어미 \'-오/우-\'가 없어졌으며 경어법도 중세 국어의 존경법ㆍ겸양법ㆍ 공손법의 체계에서 존경법과 공손법의 체계로 바뀌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근대 국어의 특징을 대략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방점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는 16세기 후반부터 동요를 보이던 성조가 사라져 우리나라의 중앙어에 성조가 완전히 없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남 방언에는 오늘날까지 성조가 남아 있다. 또, 상성(上聲)은 대체로 장음(長音)으로 변화하였다.
2) 문자 \'ㆁ\', \'ㆆ\', \'ㅿ\' 등이 사라지는 등 문자 체계에 변화가 생겼다.
3) 음운 \'ㆍ(아래 아)\'가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미 후기 중세 국어 시기에 두 번째 음절에서부터 소실되기 시작한 \'ㆍ\'는 이 시기에 들어 첫 번째 음절에서도 소실되었다. 단, 표기법상에는 계속 남아 있어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년)에 의해서 폐지될 때까지 쓰였다.
4) 한글 사용의 폭이 확대되었다.
한글로 쓴 소설 문학이 대중들에게 인기를 모으고, 한글을 사용하던 계층의 사회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참고 문헌 및 사이트 -
「국어학의 이해」, 최재희 외
「우리말의 역사」, 권재일
「개정 국어사 개설」, 이기문
  • 가격4,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3.08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