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기본 개념
1. 이중구속 메시지
2. 피드백 고리
3. 가족항상성과 가족규칙
4. 권력(힘겨루기)과 통제
5. 순환적 인식론
II. 자유 기법 : 역설적 개입기법
1. 재정의
2. 증상처방
3. 제지 기법
4. 고된 체험 기법
5. 지시 기법
6. 가장 기법
* 참고문헌
1. 이중구속 메시지
2. 피드백 고리
3. 가족항상성과 가족규칙
4. 권력(힘겨루기)과 통제
5. 순환적 인식론
II. 자유 기법 : 역설적 개입기법
1. 재정의
2. 증상처방
3. 제지 기법
4. 고된 체험 기법
5. 지시 기법
6. 가장 기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하십시오.\'라고 가족에게 경고한다. 이는 가족이 변화에 저항할 것을 미리 예견하고 시작된 변화를 더욱 지속시키고 견고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4/ 고된 체험 기법
고된 체험 기법은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원래 증상의 고통보다 더 괴로운 일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기법이다. 불면증이 있는 가족원에게 밤새워 책을 읽으라는 것, 낮 동안 우울증상이 있을 때 밤중에 일어나서 격렬하게 운동해야 하는 것 등이다. 이는 내담자가 증상을 포기하는 것보다 증상을 유지하는 것이 더 고통스럽다는 것을 알게 하여 증상을 포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5/ 지시 기법
지시 기법은 내담자와 가족에게 할 일을 처방하는 것으로 직접적 지시와 은유적 지시가 있다. 직접적 지시는 어떤 행동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거나 다른 행동을 하도록 직접 처방하는 것이다.
은유적 지시는 가족이 자신의 문제를 밝히길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언급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 비유를 통해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부부가 말하기를 꺼려하는 부부 성문제에 대한 것을 부부간 식사에 비유하여 이야기를 끌고 가는 것 등이다.
6/ 가장 기법
가장 기법은 하지 않던 행동을 상상과 놀이로 생각하면 좀 더 잘할 것이라는 전제를 갖고, 실제 가족원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증상을 \'가진 척\'하고 상대방을 \'돕는 척\'하라고 지시하는 것이다. 통제되지 않는 분노감과 거친 행동을 가진 아들에게 \'화가 나고 거친 행동을 하는 척\'하라고 지시하고 가장 행동의 수행에 대해서 칭찬한다. 위장하는 과제를 실행한 어머니와 자녀는 긴장된 상황이 아닌 연극적인 놀이를 하게 되어 통제할 수 없는 증상을 자발적으로 통제할 수 있음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4/ 고된 체험 기법
고된 체험 기법은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원래 증상의 고통보다 더 괴로운 일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기법이다. 불면증이 있는 가족원에게 밤새워 책을 읽으라는 것, 낮 동안 우울증상이 있을 때 밤중에 일어나서 격렬하게 운동해야 하는 것 등이다. 이는 내담자가 증상을 포기하는 것보다 증상을 유지하는 것이 더 고통스럽다는 것을 알게 하여 증상을 포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5/ 지시 기법
지시 기법은 내담자와 가족에게 할 일을 처방하는 것으로 직접적 지시와 은유적 지시가 있다. 직접적 지시는 어떤 행동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거나 다른 행동을 하도록 직접 처방하는 것이다.
은유적 지시는 가족이 자신의 문제를 밝히길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언급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 비유를 통해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부부가 말하기를 꺼려하는 부부 성문제에 대한 것을 부부간 식사에 비유하여 이야기를 끌고 가는 것 등이다.
6/ 가장 기법
가장 기법은 하지 않던 행동을 상상과 놀이로 생각하면 좀 더 잘할 것이라는 전제를 갖고, 실제 가족원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증상을 \'가진 척\'하고 상대방을 \'돕는 척\'하라고 지시하는 것이다. 통제되지 않는 분노감과 거친 행동을 가진 아들에게 \'화가 나고 거친 행동을 하는 척\'하라고 지시하고 가장 행동의 수행에 대해서 칭찬한다. 위장하는 과제를 실행한 어머니와 자녀는 긴장된 상황이 아닌 연극적인 놀이를 하게 되어 통제할 수 없는 증상을 자발적으로 통제할 수 있음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