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구려어의 특징
2. 백제어의 특징
3. 고대국어
● 신라어의 특징
● 신라어의 연구 자료
● 신라어의 표기법
● 신라어의 음운
● 신라어의 문법
● 신라어의 어휘
4. 중세국어
1) 전기 중세국어
● 전기 중세국어의 연구 자료
● 전기 중세국어의 표기법
● 전기 중세국어의 음운
● 전기 중세국어의 어휘
2) 후기 중세국어
● 후기 중세국어의 연구 자료
● 후기 중세국어의 표기법
● 후기 중세국어의 음운
● 후기 중세국어의 성조
● 후기 중세국어의 문법
● 후기 중세국어의 활용
4. 근대국어
● 근대국어의 연구 자료
● 근대국어의 표기법
● 근대국어의 문법
2. 백제어의 특징
3. 고대국어
● 신라어의 특징
● 신라어의 연구 자료
● 신라어의 표기법
● 신라어의 음운
● 신라어의 문법
● 신라어의 어휘
4. 중세국어
1) 전기 중세국어
● 전기 중세국어의 연구 자료
● 전기 중세국어의 표기법
● 전기 중세국어의 음운
● 전기 중세국어의 어휘
2) 후기 중세국어
● 후기 중세국어의 연구 자료
● 후기 중세국어의 표기법
● 후기 중세국어의 음운
● 후기 중세국어의 성조
● 후기 중세국어의 문법
● 후기 중세국어의 활용
4. 근대국어
● 근대국어의 연구 자료
● 근대국어의 표기법
● 근대국어의 문법
본문내용
의도법 : 근대국어나 현대국어에서는 볼 수 없는 중세국어의 문법 범주로 특기할 만한 것 이다. 의도법은 선어말 어미 ‘-오/우-’로 표시되어있다.
2) 경어법 : 겸양법, 존경법, 공손법의 세 종류 모두 선어말 어미로 표시되었다.
3) 시상법
4) 감동법 : ‘-도다, -도소니, -도소이다’ 등의 ‘-도-’, ‘-돗-’이 있었다.
5) 배열순서 : 일정한 배열순서가 있다. ‘겸양법-과거-존경법-현재-의도법-미래-감탄법-공 손법’으로 공식화 할 수 있다.
3. 어말 어미
1) 동명사 어미 : ‘-ㄴ’, ‘-ㄹ(ㄹㅎ)\', \'-ㅁ\', \'-기’등이 있었다.
2) 부동사 어미 : 현대국어의 그것과 같이 매우 다양하였다.
3) 정동사 어미 : 서법을 나타내는데, 설명법, 명령법, 의문법, 감탄법의 네 가지 사법이 있었 다.
4. 계사의 활용 : 매우 특이하였다. 형태는 표기상으로는 주격과 같았으나, 매우 특수할 자질을 가지고 있었다. 중세어의 계사는 연결이 자못 자유로웠다. 동사의 선어말 어미와 부동사 어미에 연결된 예들이 특히 주목된다.
5. 첨사 : 특수조사 속에 포함시키는 것이 현대국어 문법의 관례로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다로 독립시켜 다루기로 한다. 체언이나 용언에 붙어 강세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 음소 도는 한 음절로 되어있음이 특징이다.
6. 문장구조
1) 종속절의 변형 : 중요한 차이의 하나가 종속절의 변형이다. 주어가 속격형으로 변형된 것 이다.
2) 집단 곡용 : 한 문장에서 동격으로 사용된 명사들은 마지막 것만이 필요한 조사를 가진다.
알타이 제어의 한 특색이다.
3) 용언의 특수한 지배 : 현대국어와 다르게 특수한 격을 지해하였다.
4) 형식명사 : 순전히 통상적인 기능만을 맡고 있다.
5) 명사문 : 알타이 제어에서 기원적으로 모든 문장은 명사문이었다. 문장의 서술어는 체언이 나 동명사에 첨사가 연결된 것이 많이 있다.
6) 한문 문장의 영향 : 단문은 거의 없고 복합문과 합성문이 뒤얽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7. 어휘
1) 고유어
-음운대립에 의한 의미 분화 : 모음의 대립이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된 예들이 후기 중세어에서 확인된다.
-어휘에 의한 경어법 : 중세국어에서도 어휘에 의한 경어법이 발달되어 있었는데, 현대어의 그것과는 약간 차이가 있었다.
2) 한자어 : 한자어는 이미 대량으로 침투하여 있었다. 원시적 고유자산에는 없었던 문화적 개념에 충당된 단어들은 말할 것도 없고, 일반적인 명사나 동사도 한자어가 고유어를 격퇴하는 경향이 현저하게 되었다.
3) 중국어 차용어 : 한자어의 대량 유입뿐만 아니라 중국어의 어휘도 차용되었다.
4. 근대국어
17세기 초에서 19세기 말까지 3세기에 걸친다.
근대국어의 연구 자료
1. 언해서
『언해태산집요』,『언해두창집요』,『동국신속삼강행실도』등.
2.역학서 : 오늘날 남아있는 이 방명의 책은 대부분 17세기 이후에 간행 된 것들이다.
『노걸대언해』,『박통사언해』,『첩해신어』등.
3. 윤음 : 임금이 백성에게 내린 조칙을 말하는데, 널리 민간에 알리기 위하여 언해의 형식을 취하였다. 영조 이후로 많은 윤음이 언해되어 있어 국어사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된다.
4. 문학서 : 근대국어의 시기에 들어서 한국 문학이 크게 일어났음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다. 특히 18세기와 19세기에는 언문 소설이 눈에 띄게 활발해졌다.
5. 학술서 : 많은 실학자가 백과사전류의 책들도 저술하였고 국어와 국문, 한자음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도 행한 바 있어 근대국어의 실상을 엿볼 수 있다.
후기 중세국어의 표기법
임진왜란 이전의 문헌과 이후의 문헌들 사이에는 문자 체계와 표기법에 확연한 차이가 있다.
1. 방점이 사라졌다.
2. ‘ㅇ’자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3. ‘△’자가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근대에서의 맞춤법은 중세로부터의 전통의 잔재를 완전히 씻어버리지 못하고, 많건 적건 그것을 유지하면서 그 기초위에서 표음 적이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근대국어의 문법
1. 조어법 : 중세어에서 지적되었던 용언 어간의 유리적 성격이 근대어에 와서 없어졌다.
그 결과 용언 어간이 그대로 부사로 쓰인다거나, 두 용언 어간의 합성이라든가 하는 현상은 근대어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2. 곡용 : 중세어의 ‘ㅎ’말음 명사들은 근대어에 와서도 전기에는 말음을 유지했으나, 후기에는 그것이 탈락되었다.
3. 특수조사 : 근대어에 와서 특수조사는 상당히 간소화되었다.
2) 경어법 : 겸양법, 존경법, 공손법의 세 종류 모두 선어말 어미로 표시되었다.
3) 시상법
4) 감동법 : ‘-도다, -도소니, -도소이다’ 등의 ‘-도-’, ‘-돗-’이 있었다.
5) 배열순서 : 일정한 배열순서가 있다. ‘겸양법-과거-존경법-현재-의도법-미래-감탄법-공 손법’으로 공식화 할 수 있다.
3. 어말 어미
1) 동명사 어미 : ‘-ㄴ’, ‘-ㄹ(ㄹㅎ)\', \'-ㅁ\', \'-기’등이 있었다.
2) 부동사 어미 : 현대국어의 그것과 같이 매우 다양하였다.
3) 정동사 어미 : 서법을 나타내는데, 설명법, 명령법, 의문법, 감탄법의 네 가지 사법이 있었 다.
4. 계사의 활용 : 매우 특이하였다. 형태는 표기상으로는 주격과 같았으나, 매우 특수할 자질을 가지고 있었다. 중세어의 계사는 연결이 자못 자유로웠다. 동사의 선어말 어미와 부동사 어미에 연결된 예들이 특히 주목된다.
5. 첨사 : 특수조사 속에 포함시키는 것이 현대국어 문법의 관례로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다로 독립시켜 다루기로 한다. 체언이나 용언에 붙어 강세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 음소 도는 한 음절로 되어있음이 특징이다.
6. 문장구조
1) 종속절의 변형 : 중요한 차이의 하나가 종속절의 변형이다. 주어가 속격형으로 변형된 것 이다.
2) 집단 곡용 : 한 문장에서 동격으로 사용된 명사들은 마지막 것만이 필요한 조사를 가진다.
알타이 제어의 한 특색이다.
3) 용언의 특수한 지배 : 현대국어와 다르게 특수한 격을 지해하였다.
4) 형식명사 : 순전히 통상적인 기능만을 맡고 있다.
5) 명사문 : 알타이 제어에서 기원적으로 모든 문장은 명사문이었다. 문장의 서술어는 체언이 나 동명사에 첨사가 연결된 것이 많이 있다.
6) 한문 문장의 영향 : 단문은 거의 없고 복합문과 합성문이 뒤얽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7. 어휘
1) 고유어
-음운대립에 의한 의미 분화 : 모음의 대립이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된 예들이 후기 중세어에서 확인된다.
-어휘에 의한 경어법 : 중세국어에서도 어휘에 의한 경어법이 발달되어 있었는데, 현대어의 그것과는 약간 차이가 있었다.
2) 한자어 : 한자어는 이미 대량으로 침투하여 있었다. 원시적 고유자산에는 없었던 문화적 개념에 충당된 단어들은 말할 것도 없고, 일반적인 명사나 동사도 한자어가 고유어를 격퇴하는 경향이 현저하게 되었다.
3) 중국어 차용어 : 한자어의 대량 유입뿐만 아니라 중국어의 어휘도 차용되었다.
4. 근대국어
17세기 초에서 19세기 말까지 3세기에 걸친다.
근대국어의 연구 자료
1. 언해서
『언해태산집요』,『언해두창집요』,『동국신속삼강행실도』등.
2.역학서 : 오늘날 남아있는 이 방명의 책은 대부분 17세기 이후에 간행 된 것들이다.
『노걸대언해』,『박통사언해』,『첩해신어』등.
3. 윤음 : 임금이 백성에게 내린 조칙을 말하는데, 널리 민간에 알리기 위하여 언해의 형식을 취하였다. 영조 이후로 많은 윤음이 언해되어 있어 국어사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된다.
4. 문학서 : 근대국어의 시기에 들어서 한국 문학이 크게 일어났음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다. 특히 18세기와 19세기에는 언문 소설이 눈에 띄게 활발해졌다.
5. 학술서 : 많은 실학자가 백과사전류의 책들도 저술하였고 국어와 국문, 한자음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도 행한 바 있어 근대국어의 실상을 엿볼 수 있다.
후기 중세국어의 표기법
임진왜란 이전의 문헌과 이후의 문헌들 사이에는 문자 체계와 표기법에 확연한 차이가 있다.
1. 방점이 사라졌다.
2. ‘ㅇ’자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3. ‘△’자가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근대에서의 맞춤법은 중세로부터의 전통의 잔재를 완전히 씻어버리지 못하고, 많건 적건 그것을 유지하면서 그 기초위에서 표음 적이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근대국어의 문법
1. 조어법 : 중세어에서 지적되었던 용언 어간의 유리적 성격이 근대어에 와서 없어졌다.
그 결과 용언 어간이 그대로 부사로 쓰인다거나, 두 용언 어간의 합성이라든가 하는 현상은 근대어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2. 곡용 : 중세어의 ‘ㅎ’말음 명사들은 근대어에 와서도 전기에는 말음을 유지했으나, 후기에는 그것이 탈락되었다.
3. 특수조사 : 근대어에 와서 특수조사는 상당히 간소화되었다.
추천자료
[우리말의역사] 국어사 교재를 참조하여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
2014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의 시대구분방법과 각 시기 특성)
2015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의 시대구분방법과 각 시기 특성)
(우리말의역사 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국어사 시대구분) 우리말의역사=>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
2020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의 시대구분방법과 각 시기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