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준비단계의 기술
II. 초기단계와 탐색단계의 기술
III. 사정단계의 기술
IV. 계약단계
V. 개입단계
VI. 평가와 종결단계
* 참고문헌
II. 초기단계와 탐색단계의 기술
III. 사정단계의 기술
IV. 계약단계
V. 개입단계
VI. 평가와 종결단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함께 효과적 개입을 하는 기술, 자원과 서비스, 기회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지역사회 체계의 효과적인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술, 클라이언트나 소비자의 욕구에 반응적인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이나 기존의 지역사회서비스 및 자원체계의 개선과 향상을 위해 개입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이러한 개입기술에는 전문가로서의 지식과 신념, 경험 등이 필요하며, 특정한 개입방법을 선택하는 데 따르는 명확한 근거와 전문가적인 판단이 중요하게 된다.
특히 개인대상의 사회복지실천에서는 주변체계에 대한 개입보다는 클라이언트 개인에 대한 직접적이며 지시적인 표현기술을 많이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 개인에게 적용되는 구체적인 개입기술에는 모델링(modeling) 인지적 재구조화(cognitive restructuring) 연습(rehearsal) 등의 상담기술이나 조언(advising), 교육(educating)등의 기술이 포함된다(Comer & Comer, 1985).
VI. 평가와 종결단계
평가기술은 실천의 효과성을 평가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들과 서비스 전달체계, 사회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측면에서 전문가에게 매우 중요한 실천기술이다. 평가단계(evaluating phase)에서는 목적달성을 위해 진행해온 지금까지의 과정을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해 검토하게 된다. 만일 평가를 통해 변화가 없거나 부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경우, 이전의 사정이나 계약단계, 개입단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과정에 대한 검토와 최종평가를 통해 함께 진행과정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다. 종결단계(ending phase)에서는 최종평가와 함께 원조관계를 끝내는 데 대한 클라이언트와의 종결소감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며, 종결이 된 후 종결기록을 남기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특히 개인대상의 사회복지실천에서는 주변체계에 대한 개입보다는 클라이언트 개인에 대한 직접적이며 지시적인 표현기술을 많이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 개인에게 적용되는 구체적인 개입기술에는 모델링(modeling) 인지적 재구조화(cognitive restructuring) 연습(rehearsal) 등의 상담기술이나 조언(advising), 교육(educating)등의 기술이 포함된다(Comer & Comer, 1985).
VI. 평가와 종결단계
평가기술은 실천의 효과성을 평가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들과 서비스 전달체계, 사회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측면에서 전문가에게 매우 중요한 실천기술이다. 평가단계(evaluating phase)에서는 목적달성을 위해 진행해온 지금까지의 과정을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해 검토하게 된다. 만일 평가를 통해 변화가 없거나 부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경우, 이전의 사정이나 계약단계, 개입단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과정에 대한 검토와 최종평가를 통해 함께 진행과정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다. 종결단계(ending phase)에서는 최종평가와 함께 원조관계를 끝내는 데 대한 클라이언트와의 종결소감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며, 종결이 된 후 종결기록을 남기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
[사회복지개론] 사례관리에 대해 알아보고 사례관리자로서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나 욕구를 가...
[원서번역] Direct Social Work Practice Theory and Skills (저자- Dean H. Hepworth) 9장 -...
[실천 기술의 특성]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클라이언트인 개인, 가족, 집단 대상의 서비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 사회복지실천모델, 개념, 목적 및 구성요소, 효과 개입기술 등...
[사례관리의 실천] 사례관리의 원칙, 사례관리 과정(단계), 사례관리자의 역할
[사회복지실천기술] 개인대상 실천기술(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과정별 개입기술)
대상별 사회복지실천기술에서 개인대상의 실천기술을 원조과정의 단계에 따라 서술해 보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