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 정보처리수준 : 메시지의 의미나 해석과 직접 관련된 의미론적 메시지 처리(↑)
메시지의 내용과 무관한 구조적 메시지 처리수준(↓)
스키마의 역할 : 인식, 이해, 기억저장, 회상
- 커뮤니케이션의 조정과 메시지 수용
└ 두 명의 사람이 만나서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수행한다고 가정할 경우, 커뮤니케이터와 수용자 간에는 동일한 채널 용량(메시지 발송채널=메시지 수용채널=채널)이 공유 된다.
└ 하지만, 수용자의 수용능력에 따라 커뮤니케이터와 수용자 간의 채널용량이 다를 경우는?
-> 커뮤니케이션 조절과정에 들어가게 된다.
1) 커뮤니케이터가 M1을 선택
e1 e*1 : 수용자가 메시지를 통해 얻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정보량과 실제 얻어진 정보량 간의 차이 (메시지 정보 과소 상태) ... “별 내용 없네!!”
2) 커뮤니케이터가 M2를 선택
e2 e*2 : 수용자의 입장에서 주어진 부호량 내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정보의 양과 실제로 주어진 정보량 간의 차이 (메시지의 정보 과밀 상태)
3. 메시지 수용행위의 유형
1) 말하기(쓰기)
- 쓰기 <- 높은 관여조건, 목적지향적 동기를 충족, 행위자의 능력이 온전히 발휘되는 행위
- 읽기 <- 낮은 관여조건 (특정한 목적 없이 훑어보기) ~ 높은 관여조건 (특정한 반응을 찾기 위한 탐색전 읽기), 상대방의 문제점 파악하고 검토하기 위해 노력하는 비판적 읽기 등 관여 조건이 다양
--> 시민성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규범의 준수와 관용은 쓰기가 아니라 읽기와 관련 있다!
(인터넷 경우,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과정보다 타인의 의견의 경청, 숙고과정이 시민성 향상에 도움)
2) 듣기
- hearing : 신호 수신 행위로서의 듣기
- listening : 이해적 과정으로서의 듣기
- empathic listening : 자신의 입장에서 말하는 자를 평가하려는 자세를 버리고 그 사람의 입장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공감적 경청
--> 잘 듣기가 잘 말하기의 출발점
*추가필기(2019 겨울계절 기출)
숙의 민주주의
말하기차원 : 근거 있게 말하기, 함께 말하기
듣기 차원 : 주의 깊게 경청하기, 더 불어 듣기
-> 말하기와 듣기의 차원을 나눌 수 있다.
4. 메시지 수용가능성과 메시지 발송의 질적 상태
박승관(2005), ‘들려질 가능성(heardability)’과 그 딜레마
if H is expected to be low, 공론(public opinion)이 위축 / 군론(crowd opinion)이 등장
해설 :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의 이야기나 목소리를 사회전체가 귀담아 들을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하면,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욕구/의지를 관철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충격량의 수준을 높이려고 함
*추가필기(2019 겨울계절 기출)
커뮤니케이션 충격량 : 어떤 사회체계 내부에서 자신의 욕구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투입해야 할 최소한의 커뮤니케이션 노력이나 행위에 드는 에너지
충격량 방정식 p=m*l*v
p : 커뮤니케이션 충격량, m (mass) : 요구되는 ‘말문’ 수, l (loudness) : 크기, v (velocity) : 속도
HD 딜레마(Heardability dilemma)(2019 겨울계절 기출)- 서술/약술
“낮은 HD상태에서 충격량을 높이면 일시적으로는 HD가 높아지지만, 장기적으로는 HD는 다시 저하되거나 표준화되고, 그러면 또다시 더 높은 수준의 충격량 값이 채택되면서 HD는 다시 저하하는 악순환 과정을 겪게 된다”
HD 관리 전략
└ HD가 상실되거나 약화된 사회에서 사회 성원들은 충격량을 높이기 위해 타인들에게 듣기를 강요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채택
-> 공격적, 자극적, 폭력적인 메시지와 선전방식이 전달
└ 또는 대안으로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욕구를 잘 전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대상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소통을 수행
-> 교류 대상과의 이질성은 극소화, 교류하지 않는 외부집단과의 이질성은 극대화
=> 커뮤니케이션 엔도가미(communication endogamy)(2019 겨울계절 기출)
기말고사 범위입니다
추가팁!
0. 이 파일을 꼭 제본해서 봐주세요. 안 그러면 불편해서 못봅니다. 인쇄집가서 하면 5000원정도 나올거에용.
1. 이 강의는 개론치고는 양도 많고 어려워서 사이버 강의 다 듣지 않으면 요약본만 보면 이해 잘 안 되니까 필기본을 바탕으로 꼭 강의를 들으셔야 시험 칠 수 있습니다
2. 보시다시피 이강형 교수님은 ppt뿐만 아니라 은근슬쩍 말하시는 데서 시험문제가 나오니 꼭 유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아마 제가 거의 적어놓긴 했을 텐데 혹시나 없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3. 이강형 교수님 학자 성애자 이십니다. 시험 치기 전에 학자 전부 다 정리해서 공부하셔야 해요.
4. 본 기출은 제가 봤던 2019 겨울계절 사이버 강의 기출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니 이해 부탁드립니다.
5. 시험문제는 제가 봤던 시험기준으로 크게 약술형 8문제가량, 단답형8문제가량, 서술형2문제 이렇게 나옵니다. 객관식은 없어욤
빈칸에는 이런게 나와?했던것들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 세세하게 나옵니다. 한문제에 빈칸이 2~3개 있는 경우도 많아요
약술형은 아까 말했듯이 학자이름이나 학자의 이론 적어놓고 약술하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하게 나오기는 하나 학자는 약술형에서 나옵니다. 근데 간단히만 적어도 점수는 주시는거 같습니다.
6. 시험시간은 1시간 가량되며 모자랄 일은 없을 거에용
7. 겨울계절 기출 적고 밑줄 그은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은 빈칸으로 나온걸 말합니다~
8. 서술형은 확실히 기억나는 것들로만 -서술 이라 적어놨으니 꼼꼼히 보시면 됩니다
9 .서술/약술 이라 적은부분은 확실히 서술인지 약술인지 모르겠는 거에용.
11. 10단원에 지상파 방송사업자 무슨 소린지 이해 전 하나도 안갔는데 이상한거 안나오고 2008년 방송사업법? 그거만 나왔으니 참고하세용
실제 2019 겨울계절 중간고사입니다
1.SMCRE 모형과 기호학적 모형을 비교 하시오
2. 세계 4대 통신사와 국제정보흐름의 문제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3. 다음에 대하여 약술하시오(표있음)
4. 다음의 빈칸을 채우시오. (문장적어두고 빈칸채우기)
└ 정보처리수준 : 메시지의 의미나 해석과 직접 관련된 의미론적 메시지 처리(↑)
메시지의 내용과 무관한 구조적 메시지 처리수준(↓)
스키마의 역할 : 인식, 이해, 기억저장, 회상
- 커뮤니케이션의 조정과 메시지 수용
└ 두 명의 사람이 만나서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수행한다고 가정할 경우, 커뮤니케이터와 수용자 간에는 동일한 채널 용량(메시지 발송채널=메시지 수용채널=채널)이 공유 된다.
└ 하지만, 수용자의 수용능력에 따라 커뮤니케이터와 수용자 간의 채널용량이 다를 경우는?
-> 커뮤니케이션 조절과정에 들어가게 된다.
1) 커뮤니케이터가 M1을 선택
e1 e*1 : 수용자가 메시지를 통해 얻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정보량과 실제 얻어진 정보량 간의 차이 (메시지 정보 과소 상태) ... “별 내용 없네!!”
2) 커뮤니케이터가 M2를 선택
e2 e*2 : 수용자의 입장에서 주어진 부호량 내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정보의 양과 실제로 주어진 정보량 간의 차이 (메시지의 정보 과밀 상태)
3. 메시지 수용행위의 유형
1) 말하기(쓰기)
- 쓰기 <- 높은 관여조건, 목적지향적 동기를 충족, 행위자의 능력이 온전히 발휘되는 행위
- 읽기 <- 낮은 관여조건 (특정한 목적 없이 훑어보기) ~ 높은 관여조건 (특정한 반응을 찾기 위한 탐색전 읽기), 상대방의 문제점 파악하고 검토하기 위해 노력하는 비판적 읽기 등 관여 조건이 다양
--> 시민성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규범의 준수와 관용은 쓰기가 아니라 읽기와 관련 있다!
(인터넷 경우,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과정보다 타인의 의견의 경청, 숙고과정이 시민성 향상에 도움)
2) 듣기
- hearing : 신호 수신 행위로서의 듣기
- listening : 이해적 과정으로서의 듣기
- empathic listening : 자신의 입장에서 말하는 자를 평가하려는 자세를 버리고 그 사람의 입장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공감적 경청
--> 잘 듣기가 잘 말하기의 출발점
*추가필기(2019 겨울계절 기출)
숙의 민주주의
말하기차원 : 근거 있게 말하기, 함께 말하기
듣기 차원 : 주의 깊게 경청하기, 더 불어 듣기
-> 말하기와 듣기의 차원을 나눌 수 있다.
4. 메시지 수용가능성과 메시지 발송의 질적 상태
박승관(2005), ‘들려질 가능성(heardability)’과 그 딜레마
if H is expected to be low, 공론(public opinion)이 위축 / 군론(crowd opinion)이 등장
해설 :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의 이야기나 목소리를 사회전체가 귀담아 들을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하면,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욕구/의지를 관철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충격량의 수준을 높이려고 함
*추가필기(2019 겨울계절 기출)
커뮤니케이션 충격량 : 어떤 사회체계 내부에서 자신의 욕구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투입해야 할 최소한의 커뮤니케이션 노력이나 행위에 드는 에너지
충격량 방정식 p=m*l*v
p : 커뮤니케이션 충격량, m (mass) : 요구되는 ‘말문’ 수, l (loudness) : 크기, v (velocity) : 속도
HD 딜레마(Heardability dilemma)(2019 겨울계절 기출)- 서술/약술
“낮은 HD상태에서 충격량을 높이면 일시적으로는 HD가 높아지지만, 장기적으로는 HD는 다시 저하되거나 표준화되고, 그러면 또다시 더 높은 수준의 충격량 값이 채택되면서 HD는 다시 저하하는 악순환 과정을 겪게 된다”
HD 관리 전략
└ HD가 상실되거나 약화된 사회에서 사회 성원들은 충격량을 높이기 위해 타인들에게 듣기를 강요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채택
-> 공격적, 자극적, 폭력적인 메시지와 선전방식이 전달
└ 또는 대안으로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욕구를 잘 전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대상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소통을 수행
-> 교류 대상과의 이질성은 극소화, 교류하지 않는 외부집단과의 이질성은 극대화
=> 커뮤니케이션 엔도가미(communication endogamy)(2019 겨울계절 기출)
기말고사 범위입니다
추가팁!
0. 이 파일을 꼭 제본해서 봐주세요. 안 그러면 불편해서 못봅니다. 인쇄집가서 하면 5000원정도 나올거에용.
1. 이 강의는 개론치고는 양도 많고 어려워서 사이버 강의 다 듣지 않으면 요약본만 보면 이해 잘 안 되니까 필기본을 바탕으로 꼭 강의를 들으셔야 시험 칠 수 있습니다
2. 보시다시피 이강형 교수님은 ppt뿐만 아니라 은근슬쩍 말하시는 데서 시험문제가 나오니 꼭 유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아마 제가 거의 적어놓긴 했을 텐데 혹시나 없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3. 이강형 교수님 학자 성애자 이십니다. 시험 치기 전에 학자 전부 다 정리해서 공부하셔야 해요.
4. 본 기출은 제가 봤던 2019 겨울계절 사이버 강의 기출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니 이해 부탁드립니다.
5. 시험문제는 제가 봤던 시험기준으로 크게 약술형 8문제가량, 단답형8문제가량, 서술형2문제 이렇게 나옵니다. 객관식은 없어욤
빈칸에는 이런게 나와?했던것들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 세세하게 나옵니다. 한문제에 빈칸이 2~3개 있는 경우도 많아요
약술형은 아까 말했듯이 학자이름이나 학자의 이론 적어놓고 약술하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하게 나오기는 하나 학자는 약술형에서 나옵니다. 근데 간단히만 적어도 점수는 주시는거 같습니다.
6. 시험시간은 1시간 가량되며 모자랄 일은 없을 거에용
7. 겨울계절 기출 적고 밑줄 그은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은 빈칸으로 나온걸 말합니다~
8. 서술형은 확실히 기억나는 것들로만 -서술 이라 적어놨으니 꼼꼼히 보시면 됩니다
9 .서술/약술 이라 적은부분은 확실히 서술인지 약술인지 모르겠는 거에용.
11. 10단원에 지상파 방송사업자 무슨 소린지 이해 전 하나도 안갔는데 이상한거 안나오고 2008년 방송사업법? 그거만 나왔으니 참고하세용
실제 2019 겨울계절 중간고사입니다
1.SMCRE 모형과 기호학적 모형을 비교 하시오
2. 세계 4대 통신사와 국제정보흐름의 문제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3. 다음에 대하여 약술하시오(표있음)
4. 다음의 빈칸을 채우시오. (문장적어두고 빈칸채우기)
추천자료
커뮤니케이션이란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매스커뮤니케이션(Mass communication)이란 무엇인가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의미, 산업, 역사,...
커뮤니케이션과인간=1.갈등사례의 구체적 내용, 원인과 문제점이 무엇인가 2.커뮤니케이션의 ...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과제 - 구체적 갈등 사례 1-2개(1개 혹은 최대 2개)를 선택한 후 작성하...
커뮤니케이션과인간 ) 구체적 갈등 사례 1-2개(1개 혹은 최대 2개)를 선택한 후 1) 갈등사례...
커뮤니케이션과인간)개인차원 집단차원 사회차원 세계차원 어떤 차원의 것이든 구체적 갈등 ...
2019학년도 2학기 커뮤니케이션과인간현대인의 삶에서 구체적 갈등 사례 1개 혹은 최대 2개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