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소수자인 청소년과 상담하던 도중, 그 청소년이 부모에게는 비밀로 해달라고 하면서 상담을 계속 진행할 때, 계속적으로 비밀로 해야할지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을지에 대해서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언트의 사생활 보호가 중요하다 할지라도 청소년 상담사는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만약 내가 성소수자인 청소년과 상담을 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취할 듯 하다.
첫째. 내담자로 하여금 내담자 부모님이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것을 알고 있는지 그리고 왜 내담자가 원부모에게 자신이 성소수자라는 것을 알리지 말 것을 원하는지를 묻는다.
둘째. 만약 내담자 부모가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어렴풋 알고 있다면, 나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원부모에게 솔직히 털어 놓고 함께 상담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할 것 같다. 반면, 내담자 부모가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모른다면, 나는 내담자가 성소수자라는 것을 비밀로 지킬 것 같다. 그 이유는 아직까지 우리사회와 부모세대가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고, 함부로 부모에게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것을 알렸을 때, 부모자식관계에서 회복하지 못할 치명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참고자료
아동청소년 상담 (이론, 발달 및 다양성의 연계) Sondra Smith-adcock, Catherine Tucker 저 | 서영석 외 4명 역 | 시그마프레스 | 2019.02.20
첫째. 내담자로 하여금 내담자 부모님이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것을 알고 있는지 그리고 왜 내담자가 원부모에게 자신이 성소수자라는 것을 알리지 말 것을 원하는지를 묻는다.
둘째. 만약 내담자 부모가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어렴풋 알고 있다면, 나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원부모에게 솔직히 털어 놓고 함께 상담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할 것 같다. 반면, 내담자 부모가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모른다면, 나는 내담자가 성소수자라는 것을 비밀로 지킬 것 같다. 그 이유는 아직까지 우리사회와 부모세대가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고, 함부로 부모에게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것을 알렸을 때, 부모자식관계에서 회복하지 못할 치명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참고자료
아동청소년 상담 (이론, 발달 및 다양성의 연계) Sondra Smith-adcock, Catherine Tucker 저 | 서영석 외 4명 역 | 시그마프레스 | 2019.02.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