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전자(DNA)
1) DNA의 복제
2) DNA의 전사
3) RNA의 번역
2. 변이와 돌연변이의 종류와 원인
1) 변이
2) 변이의 종류
(1) 연속변이 / 불연속변이
(2) 질적 변이 / 양적 변이
(3) 유전적 변이 / 비유전적 변이
3) 변이의 원인
(1) 환경적 요인
(2) 유전적 요인
4) 돌연변이
5) 돌연변이의 종류
(1) 유전체상 위치에 따른 돌연변이의 종류
(2) 유전정보 특성에 따른 돌연변이의 종류
6) 돌연변이의 발현요인
3. 변이와 돌연변이의 공통점과 차이점
1) DNA의 복제
2) DNA의 전사
3) RNA의 번역
2. 변이와 돌연변이의 종류와 원인
1) 변이
2) 변이의 종류
(1) 연속변이 / 불연속변이
(2) 질적 변이 / 양적 변이
(3) 유전적 변이 / 비유전적 변이
3) 변이의 원인
(1) 환경적 요인
(2) 유전적 요인
4) 돌연변이
5) 돌연변이의 종류
(1) 유전체상 위치에 따른 돌연변이의 종류
(2) 유전정보 특성에 따른 돌연변이의 종류
6) 돌연변이의 발현요인
3. 변이와 돌연변이의 공통점과 차이점
본문내용
클레오티드 단위가 아닌 지역 단위로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염색체 역위의 경우 염색체로부터 일부 구간이 뒤집혀서 일어나는 돌연변이로 동원체가 역위부분 안에 포함되는 경우(pericentric), 포함되지 않은 경우(paracentric)로 나뉘며 체세포 분열 시에 문제가 없어 대부분 정상 표현형을 나타내지만, 감수분열 시에 역위 고리를 만들면 자손에게서 비정상 표현형이 나올 수 있다. 염색체 전위는 전좌라고도 하며 끊어진 염색체 단편이 자신의 상동염색체가 아닌 비상동염색체에 부착하는 것을 말하며, 특히 비상동염색체 간에 서로 단편을 교환하는 경우 상호전위(reciprocal translocation)라고 한다. 출처: 김시동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동물의 유전과 개량」, 2018, 99~100쪽
5) 돌연변이의 발현요인
돌연변이는 분자의 붕괴로 일어나는 자연적인 돌연변이, DNA 이중나선 손상에서의 오류다발성 수리과정(error-prone translesion synthesis), 방사선과 화학물질 같은 돌연변이 유발원 등의 이유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어난 돌연변이가 단백질 서열의 변화를 일으키면 개체에 해를 끼칠 수도 있지만 때로는 주어진 환경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출처: 김시동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동물의 유전과 개량」, 2018, 100쪽
3. 변이와 돌연변이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이란 생물의 종 · 품종 · 개체 사이에 형태 및 능력 등 표현형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출처: 김시동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동물의 유전과 개량」, 2018, 59쪽
변이의 구분법 중 유전적 변이가 있는데 유전적 변이는 교배변이와 돌연변이로 구분된다. 출처: 김시동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동물의 유전과 개량」, 2018, 60쪽
즉, 변이와 돌연변이 모두 변이인데 변이는 돌연변이를 포함하여 연속변이, 불연속변이, 질적 변이, 양적 변이, 유전적 변이, 비유전적 변이 등을 전부 포괄하는 상위 개념이다. 돌연변이는 생물의 유전물질인 DNA의 정보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조상으로부터 전달받은 원본과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출처: 김시동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동물의 유전과 개량」, 2018, 95쪽
변이의 하위 개념이다. 돌연변이는 변이 중에서도 유전물질에 기인되는 변이인데 자연적 돌연변이와 인위적 돌연변이로 구분할 수 있다.
5) 돌연변이의 발현요인
돌연변이는 분자의 붕괴로 일어나는 자연적인 돌연변이, DNA 이중나선 손상에서의 오류다발성 수리과정(error-prone translesion synthesis), 방사선과 화학물질 같은 돌연변이 유발원 등의 이유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어난 돌연변이가 단백질 서열의 변화를 일으키면 개체에 해를 끼칠 수도 있지만 때로는 주어진 환경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출처: 김시동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동물의 유전과 개량」, 2018, 100쪽
3. 변이와 돌연변이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이란 생물의 종 · 품종 · 개체 사이에 형태 및 능력 등 표현형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출처: 김시동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동물의 유전과 개량」, 2018, 59쪽
변이의 구분법 중 유전적 변이가 있는데 유전적 변이는 교배변이와 돌연변이로 구분된다. 출처: 김시동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동물의 유전과 개량」, 2018, 60쪽
즉, 변이와 돌연변이 모두 변이인데 변이는 돌연변이를 포함하여 연속변이, 불연속변이, 질적 변이, 양적 변이, 유전적 변이, 비유전적 변이 등을 전부 포괄하는 상위 개념이다. 돌연변이는 생물의 유전물질인 DNA의 정보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조상으로부터 전달받은 원본과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출처: 김시동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동물의 유전과 개량」, 2018, 95쪽
변이의 하위 개념이다. 돌연변이는 변이 중에서도 유전물질에 기인되는 변이인데 자연적 돌연변이와 인위적 돌연변이로 구분할 수 있다.
추천자료
DNA 복제에 관해서
[동물의 유전과 개량 공통] 1 중심설(central dogma)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2 변이의 종류와 ...
(방통대 동물의유전과개량)중심설(central dogma)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변이의 종류와 원인에...
[방통대 2018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동물의유전과개량] 1 중심설(central dogma)에 대하여 기...
(방통대 동물의유전과개량)유전자의 복제 전사 번역에 대하여 기술 변이와 돌연변이의 종류와...
2019년 2학기 동물의유전과개량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유전자의 복제, 전사, 번역 등)
[방통대 농학과 2학년 동물의 유전과 개량 공통] 1 유전자의 복제 전사 번역에 대하여 기술하...
유전자의 복제 전사 번역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