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실천과정을 요약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 실천과정을 요약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문제의 파악
1. 문제의 발견
2. 지역진단

II. 계획수립
1. 사업계획, 조직계획, 재정계획 수립
2. 홍보활동의 전개

III. 계획의 실시 과정
1. 지역조직화
2. 복지조직화
3. 주민집회

IV. 평가
1. 과제목표
2. 과정목표

*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지역사회복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통해 대립을 해소하는 접근을 행해야 한다. 주민집회는 주민들 각자의 주체성과 자유 의지를 존중하고, 각자의 욕구와 사고를 충분하게 반영한 자유로운 토의에 의해서 결론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IV. 평가
위의 과정들을 거쳐 지역사회W) 수준의 실천의 최종 단계인 평가가 이루어진다. 평가는 목표달성도, 지역진단이나 계획 실시의 타당성, 이후의 과제 등이 중요한데 계획 실시가 일정의 단계에 달했을 때뿐만 아니라, 계획의 책정단계에서도 평가는 중시되며, 게다가 계획 수정이나 재조정, 환류체계는 지역사회수준의 실천에서 델 수 없는 요소이다. 또한 평가 시에는 과제 및 과정목표가 포함된다.
1. 과제목표
과제목표는 사회자원의 개발, 정비 등의 구체적인 과제의 달성도이다. 재정효과의 정도, 또는 주민의 욕구를 어느 정도 충족하였는가를 양적 및 질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이다. 더욱이 어떤 기관, 단체가 어느 정도 공헌했는가의 평가도 행해지는 것이다.
2. 과정목표
과정목표는 계획수립에서 계획 실시까지의 과정에서 주민의 주체 형성의 정도, 관계한 기관, 조직의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특히 활동에 대한 주민의 관심도나 참가도 및 연대감의 정도, 기관 조직 간의 연계나 협력체제의 수준, 지역사회 문제해결 능력 향상의 정도 등이 평가의 포인트가 된다. 과정목표에서 특히 주민의 권리의식이나 풀뿌리 민주주의의 정착이나 실행의 정도, 자치단체의 구조 변혁이나 민주화의 정도를 관계목표로서 별도의 평가지표를 사용하기도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4.01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8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