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정신건강과간호 공통] 우울은 흔히 정상적으로 겪을 수 있는 일시적인 기분 저하부터 일상적인 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까지 광범위하다. 열등감이 많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정신건강과간호 공통] 우울은 흔히 정상적으로 겪을 수 있는 일시적인 기분 저하부터 일상적인 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까지 광범위하다. 열등감이 많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울증의 개념
1) 정의
2) 원인
3) 증상
(1) 주요 증상
(2) 특징적 증상
4) 분류
(1) 주요우울증
(2) 양극성 장애
(3) 기분부전장애
(4) 기타우울증
2. 성인을 위한 심리사회적 간호
1) 용기와 희망을 줄 수 있는 자료
(1) 명언
(2) 책
(3) 영화
2) 기대되는 치료적 효과
(1) 자존감 회복
(2) 심리적 안정감
(3) 긍정적인 사고방식
3) 구체적인 간호 중재
(1) 간호계획
(2) 간호중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되어 있는 우울장애 대상자를 위해서는 수용과 소속감 그리고 자신이 유용하고 필요한 존재라는 느낌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간호사는 우울 대상자가 수용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치료적 관계를 주도하며 대상자와 규칙적으로 만나는 시간을 정하고 사생활을 존중한다.
④ 감정 표현하기
간호사는 우울환자에 대한 희망을 표현해야 하며 반복적인 확신이 필요하다. 우울환자를 위해서 우울은 실제이고, 과거나 미래의 행복은 착각이라는 것을 알려주며 환자의 감정을 열어주고 인정해 준다.
⑤ 인지적인 대처전략
자신의 느낌을 탐색하도록 도와준다. 이것은 어떤 문제에 대한 관점을 논리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다. 부정적인 생각을 확인하고 생각을 멈추거나 다른 것으로 대치시킴으로써 그런 생각을 감소시켜 주게 된다. 동시에 개인적인 강점과 장점, 성과, 기회들을 검토함으로써 긍정적인 사고를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환자는 인식, 논리, 결론의 정확성을 검토하는데 도움을 얻는다. 현실적인 목표를 가지고 도달하기 어려운 목표의 중요성을 줄이며, 모든 행동들은 자기 이해를 강화하고 자존감을 증가시킨다.
⑥ 행동변화
기대와 목표는 작게 하여 성공적인 성과를 확실히 해야 하고, 긍정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조깅, 도보, 수영, 자전거, 에어로빅 등은 정기적인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대중적인 운동들은 컨디션을 증진시키고 감정과 긴장을 풀어주며 항우울 효과를 나타낸다.
⑦ 사회적 기술
사회화는 우울과 위축과는 상반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서 우울을 조절해 준다. 또한 지지, 인식, 수용과 승인의 사회적인 강화를 통하여 자존감 증진시킨다.
<가능한 긍정적 행동 목록>
- 여가 즐기기
- 여행 가기
- 사교적 모임에 참석하기
- 운동이나 게임하기, 취미생활 하기 등
⑧ 정신보건 교육
우울증에 걸린 사람에게 정신 교육적 접근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현대사회에서 그 사람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한 독립심, 자신감 그리고 도움이 될 수 있는 감정들의 증가를 기초로 한다. 미국의 AHCPR(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Research)와 slide kit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들의 전체 목표는 환자와 가족의 기능을 증가시키고 환자와 가족 둘 다 자기가치와 자기조절을 증가시킴으로써 증상을 감소키는 것이다.
Ⅲ. 결론
생리적으로 우울증은 뇌 속 화학물질의 균형이 깨지며 생기는 것이므로 평소 세로토닌의 분해를 막고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활동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햇볕을 쬐는 시간을 늘리도록 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뇌 속 산소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하루 30분 정도, 일주일에 3회 이상 걷기운동을 하는 것이 우울증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우울증환자들에게 치료용으로 만들어진 책을 읽게 하는 것이 우울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명 독서요법 치료라 하는데 인지행동치료라 하며 가벼운 우울증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 영국 글래스고우 대학 연구팀은 우울증 환자들에 대해 자가 요법의 일환으로 제시되는 책이 적지 않은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일반병원에서 우울증 진단돼 글래스고우 대학으로 넘어 온 환자 200여 명을 대상으로 치료용 도서가 효과가 있는지를 실험했다. 이들 가운데 약 절반은 우울증 약을 복용하고 있었다. 또 일부는 치료용 책을 읽고 있었다. 치료용 책에는 불면증에 대처하는 방법 등 우울증 환자들이 흔히 겪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내용들이 담겨 있었다. 이른바 대화요법을 바탕으로 구성된 책이었다. 실험 결과, 책을 읽은 환자들에게서 우울증 증세가 현저하게 완화된다는 사실이 관찰됐다. 실험을 시작한지 4개월 지났을 때와 1년이 지났을 때 우울증 정도를 진단한 결과, 항우울제를 복용한 사람보다 효과가 좋을 정도로 증세가 호전됐다. 식생활도 바꿔야 한다. 우선 세로토닌의 원료인 트립토판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 있는 육류도 충분히 먹어주는 것이 좋다. 쇠고기 100g에는 트립토판 180mg, 닭고기 100g에는 트립토판 250mg 정도가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포화지방산은 콜레스테롤 증가뿐 아니라 우울증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포화지방이 적은 부위로 골라 먹는 것이 중요하다. 비타민B, C가 부족하면 우울증에 쉽게 걸릴 수 있다고 한다. 특히 비타민B는 세로토닌을 구성하는 중요 요인이며 채소 중에서도 특히 양배추가 우울증 예방 효과에 좋다고 한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탄수화물 중독을 겪는 경우가 많다. 정신적으로 우울하고 결핍된 감정을 느끼므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흰쌀, 빵, 파스타 등을 비롯해 과자, 초콜릿, 각종 디저트 등을 찾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식을 섭취하면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우울한 감정이 사라지지만 곧 급격히 떨어지면서 기분 또한 함께 우울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수화물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단백질의 주성분인 아미노산은 뇌 속 화학전달물질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통해 미네랄을 원활히 공급하도록 한다. 그에 반해 커피, 콜라, 홍차 등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술과 담배 또한 우울증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기호식품이다.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약물이 아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건강한 생활습관과 긍정적인 사고방식이다. 모든 일에 여유를 갖고 한 걸음 물러서서 생각하는 자세를 가져보자. 웃을 일이 없더라고 일부러 소리 내서 웃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박영숙·장선주(2019) 정신건강과 간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이경순 외(2016)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이경희 외(2015) 정신건강 간호학, 퍼시픽북스
이민규 외(2017) 현대인의 적응과 정신건강, 교육과학사
조은숙(2007) 현대인의 정신건강, 법문사
양병환(2010) 정신병리학 총론, 중앙문화사
임숙빈 외(2016) 정신간강간호학 개론 p.437~445, 정담미디어
도복늠 외(2016) 정신건강간호학 각론,p.68~80, 정담미디어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04.03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8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