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고 bibigo 마케팅 전략분석과 SWOT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비고 bibigo 마케팅 전략분석과 SWOT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CJ비비고 브랜드소개

2. 비비고의 성공전략

3. 비비고 마케팅전략 사례분석

4. 비비고 SWOT분석
(1) 강점 (Strength)
(2) 약점 (Weakness)
(3) 기회 (Opportunity)
(4) 위협 (Threat)

5. 결론 및 향후시사점

본문내용

하고 저렴한 재료 공급
-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메뉴, 다양한 양념 선택은 물론, 계절에 따른 재료를 선택 할 수 있음
- 대표메뉴인 비빔밥은 부담되지 않는 맛과 가격으로 아침, 점심, 저녁 언제든지 간단히 해결할 수 있고 각종 채소와 나물 등으로 웰빙 이미지가 강함
(2) 약점 (Weakness)
- 슬로우 푸드 비빔밥의 한계(재료를 다듬고 조리하는 데에 온갖 정성을 쏟지 않는다면 그 맛이 제대로 나지 않는다. 패스트푸드로 비빔밥은 그 맛을 지니기 어렵다.)
- 차려놓았을 때에는 보기에 좋지만 비비고 나면 호감도가 떨어질 수도 있다.
- 밥의 식감은 빵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꽤 낯설다. 특히 우리가 좋아하는 차진 밥은 외국 사람들에게 그다지 좋은 식감을 주지 않는다.
- 형태가 살짝 변하기는 하였지만 너무 전통을 고수한 비빔밥이다.
- 반찬 가짓수가 너무 적다.
- 한식의 패스트푸드화를 추구하지만 간편성이 너무 떨어진다.
(3) 기회 (Opportunity)
- 최근 비빔밥 시장이 크게 내국인이든 외국인이든 인기 있는 외식 식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 웰빙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짐
- 한식에 대한 국내외 관심 증가
- 한류열풍으로 인한 외국인 관광객등 유동인구가 많음
(4) 위협 (Threat)
- 한식에 대한 인지도 부족
- 기존 패스트푸드점이나 비빔밥 시장 경쟁 과열 및 외식 산업의 포화상태
채소 값 등 재료의 값에 영향
낯선 음식에 대한 거부감
5. 결론 및 향후시사점
비비고는 60년 역사를 지닌 식품기업 CJ의 자부심과 꿈을 담고 있다. 60년간 품어온 한식의 세계화라는 원대한 목표를 시행착오와 오랜 경험을 통해 차곡차곡 이뤄나가고 있다. 이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는 엄청나다. 기업 수익 극대화 측면에서도 물론이거니와 햇반을 통한 곡물 수출효과가 연 6척 5백톤, 730억원에 달하며 약 5천명의 한식인력이 육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외식산업의 발달은 식품산업과 유통업, 문화관광산업이 대거 성장할 수 있는 계기 또한 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K-Food(한식) 및 K-Dining Culture(한국문화)를 전파시키며 한류 지속 및 확산, 국가 브랜드력 강화를 이끌 주역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큰 시사점을 갖는다. 이러한 비비고의 성공적인 행진이 가능했던 이유는 미래의 시장경쟁 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현명하게 준비해왔기에 가능한 것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4.06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8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