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빙 중국시장 마케팅 사례연구와 향후전략제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빙 중국시장 마케팅 사례연구와 향후전략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설빙 소개

2. 설빙 중국시장 마케팅 사례연구

3. 설빙의 중국시장공략 전략제시

본문내용

각 지역 및 인근 성시로 운송되는 제품의 1차 집산지 역할을 하는 물류 유통 중심지.
현재 청두와 인근 지역엔 4대 물류 단지와 4대 물류센터가 건설되고 있는데, 이들은 중국 서부지역 유통망의 핵심 구실을 할 것으로 보임.
중국은 2010년부터 물류 인프라 프로젝트 등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음. 구체적으론 농산품 콜드체인물류, 식품 선진물류, 제조업물류, 상업물류, 제3자 물류 등 5대 핵심 분야 물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청두를 비롯한 등 8개 물류센터를 건설할 예정.
-수요측면
청두시에는 6개의 주요 도심 상권이 있는데, 그 중 시 중심에 위치한 춘시루,옌스커우, 뤄마스가 대표적인 상권으로 꼽힘. 이 상권에 일 평균 유동인구는 20~40만 명임.
해당 상권에는 왕푸징 , 타이핑양 등 중산층이 주로 이용하는 로컬 및 외자 대형 백화점 및 쇼핑몰이 집중되어 있으며, 명품 브랜드보다 젊은 층들이 이용하는 중가 브랜드가 입점해있음.
주말에 백화점이나 쇼핑센터에서 식사하며 하루를 보내는 사람들이 증가함. 백화점 내 입점이나 근처 상권에 입점하는 것이 유리.
(4) Promotion
우리 지역 메뉴 만들기
각 지역별 맞춤형 메뉴를 개발하기 위해, 그 지역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직접 자신의 입맛에 맞는 메뉴를 개발 할 수 있도록 유도
멤버쉽 제도
멤버쉽 제도 실행을 통해, 고객들의 자부심과 소속감을 제공하여 고정 고객을 확보하는 프로모션 전략
PPL (한국드라마) 한류 영상물에 PPL을 통한 제품 홍보 또는 한국 디저트의 소비트렌드를드라마 구성 소재로 활용하여 소비유도
한국 디저트 카페라는 점에서 현재의 대세인 한류의 흐름을 단기적으로 이용하여 브랜드를 인지시키는 것에만 사용
3. 설빙의 중국시장공략 전략제시
중국의 현재 식품시장에서의 키워드는 건강, 위생이다.- 중앙 공급식 주방을 통한 엄격한 관리- 한국 식품에 대한 중국인들의 호의적 이미지 활용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서 현지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중국 문화를 고려하여 중국 고객들을 위한 맞춤형 전략- 지역별 소비자들의 입맛과 선호도를 고려한 현지밀착형 진출전략 수립이 필요 : 지역별 메뉴 차별화
중국에 진출한 기업의 성공이유는 브랜드 고유의 분위기를 팔았기 때문이다.-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 형성 등 설빙 고유의 브랜드 아이텐티
티를 구축할 필요- 메뉴,매장 차별화 (설빙만의 수요를 형성)- 한류열풍은 단기적으로만 사용 (장기적 브랜드 고급화에 장애물)
  • 가격2,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4.13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8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