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모디총리와 정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 모디총리와 정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어치를 수입했다. 1965년 첫 교역 당시와 비교하면 수출이 6만 배 늘었다.
2) 인도 모디 총리 집권 이후 한국에 가지는 잠재력
◈인도 시장에 대한 기대 요인 경제 성장을 위한 호조건 마련
현재 인도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중 과반수가 모디노믹스의 출범에 따라, 경제에 미칠 영향이 긍정적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기업이 투자 시에 있어서 규제 완화 및 조세 부담 완화, 그리고 사회간접자본 및 인프라 확대, 금융제도 개선 등이 주요 기대 요인이다. 모디노믹스의 사회 인프라 확대 및 100개에 이르는 신도시 건설 그리고 제조업 육성 정책등은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확대의 기회를 창출할 것이다. 이는 제조업 강국인 한국에게 있어 크나큰 기회가 될 것이다.
◈인도의 시장 잠재력 인구통계학적 장점
인도 내수의 높은 잠재력도 인도 진출의 가장 핵심 요인이다. 한계소비성향 즉 1단위 소득의 늘어날 때, 추가적으로 소비하는 성향은 저소득층에게 높다. 인도 국민의 대다수가 현재 저소득층인 것을 감안한다면, 경제 성장시 인구 대국인 인도의 내수시장역시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한국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에게 있어서 중국과 같은 새로운 거대시장이 될 전망이다.
또한 인도의 떠오르는 신흥 중산층은 인도가 가지는 시장 잠재력의 원천이라고 생각한다. 비슈누 프라카시(57) 주한 인도 대사는 “인도는 현재 구매력이 있는 2억 명의 중산층이 있는데 2030년이면 세계에서 가장 많은 6억 명의 중산층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등교육을 받은 젊은 중산층이 많은 인도는 전자제품·통신장비·인프라·조선 등의 분야에서 엄청난 수요가 생겨나고 있다”고도 했다. 영국 싱크탱크인 경영연구센터(CEBR)는 최근 지난해 기준 세계 11위인 인도 경제가 15년 뒤인 2028년이면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로 도약할 것으로 내다봤다.
◈ 한국에 미칠 단기적 & 장기적 전망
단기적으로는 한국에 미칠 영향이 적다. 현재 한국의 수출은 30%이상이 중국이며, 그 다음이 미국일 정도로 몇몇 국가에 치중해 있다. 인도가 한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로 낮은 수치이다.
다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시에는 현재 한국과 인도는 CEPA(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을 맺고 있다. 이는 FTA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명칭으로써, 사실상 FTA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디노믹스가 경제를 성공적으로 이끌 경우, 한국의 인도시장 진출은 이미 길이 열려있으므로 인도에 관한 FDI(외국인직접투자) 증가가 예상되며, 수출역시 상당부분 증가될 전망이다.
레포트를 쓰면서 느낀점!
지금 우리나라의 실정이 좋지 못한 상태로 되어가고 있다는게 슬픈 현실이며 모디정부가 답이다! 하기에는 꼭 좋은점만 있는것은 아니다 하지만 뛰어난 정책들은 아니지만 국민을 위한 국민을 생각하므로써 국가를 살리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라는게 레포트를 쓰는이에게 관심을 갖게하는 부분이였다. 잘 몰랐던 인도의 모디 정부를 알고 우리나라를 한번더 생각해보게 되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4.13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8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