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반도체 소자 및 IC 개요
2. 웨이퍼 및 마스크 제조
3. FAB 공정
4. PHOTO, ETCH 공정
5. Doping 공정
2. 웨이퍼 및 마스크 제조
3. FAB 공정
4. PHOTO, ETCH 공정
5. Doping 공정
본문내용
1. 다이오드
-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리는 특성
※PN접합 확산 표동전류 비교- 역방향, 순방향
열적 평형 상태의 다이오드의 PN접합에서는 확산전류 성분과 표동전류 성분이 같게 된다. 이때 정공 및 전자의 확산 전류가 순방향 전류이고 표동전류가 역방향 전류이다.
<중략>
Doping 공정의 응용
① Wafer 안의 비저항 결정: Ingot을 만들 때 저항값 컨트롤.
② PN접합 형성: Source와 Drain형성.
③ Ohmic contact 형성: 메탈을 증착 공정할 때 Contact resistance가 너무 높으면 잘 붙지 않는다. 이때 접합 면에 고농도로 도핑하게 되면 공핍층이 좁아져 터널링 현상이 발생.
④ Threshold voltage 조절: 반도체 소자마다 문턱전압 값을 조절할 수 있다.
-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리는 특성
※PN접합 확산 표동전류 비교- 역방향, 순방향
열적 평형 상태의 다이오드의 PN접합에서는 확산전류 성분과 표동전류 성분이 같게 된다. 이때 정공 및 전자의 확산 전류가 순방향 전류이고 표동전류가 역방향 전류이다.
<중략>
Doping 공정의 응용
① Wafer 안의 비저항 결정: Ingot을 만들 때 저항값 컨트롤.
② PN접합 형성: Source와 Drain형성.
③ Ohmic contact 형성: 메탈을 증착 공정할 때 Contact resistance가 너무 높으면 잘 붙지 않는다. 이때 접합 면에 고농도로 도핑하게 되면 공핍층이 좁아져 터널링 현상이 발생.
④ Threshold voltage 조절: 반도체 소자마다 문턱전압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