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읽어주는 미술치료 중간고사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음을 읽어주는 미술치료 중간고사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Ⅰ>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Ⅱ>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Ⅲ>
<상징Ⅰ>
<상징Ⅱ>
<색의 심리학적 의미와 상징>
<미술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와 집단 미술치료>
<그림진단 유형, 치료대상자의 색을 사용하는 일반적 특성>
<DAP(인물화 검사)>

본문내용

경우
- 장작을 패는 것과 같이 대인관계와는 무관하면서도 능동적이고 난폭한 움직임을 그릴 때
→ 자기 개념이 다소 공격적이고 자기주장적임을 의미
권투시합처럼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행위일 경우
→ 피검자가 자신의 내면의 적대감에 대해 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해줌
5)자세2
(1)머리는 옆,몸은 앞 등 자세가 일관적이지 못할 경우(기울어짐 등)
: 자기정체성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안정감, 우울감
(2)공중에 붕 뜬 것처럼 그린 경우
: 정체성에 대한 불확실감이 너무 커서 자기 자신으로부터도 소외된 것처럼 느끼고 있음
(3)앉음,누움,기대앉은 모습
: 대인관계에서의 수동적인 태도가 심함
6)그림의 순서와 키
(1)남자 검사자가 남자 먼저 그리고 여자보다 크게 그림
: 내면에 성 정체감에 대한 불확실성, 불안을 과잉보상하기 위해 여성에 대한 우월감을 느끼고자 함
(2)반대로 남자를 여자보다 작게 그린 경우
: 성 정체감에 대한 양가 감정과 열등감, 여성 자기대상을 과잉 이상화하려는 경항
(3)여자 검사자가 남자 먼저 그리고 여자보다 크게 그림
: 과잉 이상화된 남성을 향한 수동적-순종적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반영한 것
(4)반대로 남자를 더 작게 그린 경우
: 남성 자기대상을 무시하고 스스로를 주장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5)여자 검사자가 여자를 먼저 그리고 남자보다 크게 그림
: 불안 보상하기 위해 남성 자기대상에 대해 우월감을 가지려고 함
(6)남자 검사자가 여자를 먼저 그리고 남자보다 크게 그림
: 과잉 이상화된 여성 자기 대상에 대한 수동적-순종적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 것
(7)반대로 여자를 더 작게 그린 경우
: 성 정체감에 대한 양가감정, 여성자기대상을 무시, 자신을 주장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7)성적 외모
(1)남자를 여자처럼, 여자를 남자처럼
: 성정체감에 대한 양가감정, 모호성, 불확실감, 반대성에 동일시하고 있거나, 이성 관계에서 정체성 문제와 관련된 갈등을 겪고 있음
8)사람을 그릴 때 적정한 표현 양식
(1)전체적으로 균형이 맞고, 신체 부위들이 다 그려진 그림 굿
(2)적당한 옷, 편안하게 선 자세
(3)피검자가 7세 이상인 경우
자기와 같은 성별의 사람을 먼저 그림
남자,여자 그림의 키가 비슷하거나 남자가 약간 더 큰 것
외모가 각 성별의 일반적인 사회적 기준에 적절히 맞아야 함
5.기타 특성
1)나이
(1)나이는 자기,자기대상의 성숙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어떤 표상이나 느낌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준다
(2)+/- 5년 까지 : 성숙도가 비교적 적절한 것
(3)5년 이하인 경우: 성경적인 미성숙함
(4)5년 이상인 경우: 내적인 성숙감과 관련된 불안감을 과잉 보상하고자 함을 의미
(5)너무 많거나 적은 경우: 내면에 우울감, 유능감 저하
(6)아동이 자기보다 어린 사람을 그린 경우
: 더 유아적인 의존욕구, 연령 수준보다도 심리사회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에 있음
2)행동
(1)주장적,표현적,비폭력적 행동
: 자기 자신과 관련된 활력을 느끼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반대: 서있거나 앉아 있는 모습 : 수동적, 무기력한 상태
(2)폭력적인 행동
: 내적인 공격성, 적대감 및 충동 통제의 어려움이 있음
*너무 기괴,난폭: 성격 구조적인 미숙함 심함, 사고장애 가능성 의심
(3)사람x 그림이나 동상: 자기 정체감의 혼란과 갈등 느끼고 있음
3)생각
(1)그림 속 인물이 다른 활동이나 친구에 대해 긍정적,건설적인 생각
: 자기 개념이 건강함
(2)반대: 자존감이 낮고, 우울감, 적대감,
(3)아무생각 안한다: 회피적 태도, 수동성 및 절강감, 우울감
4)느낌
(1)그림 속 인물이 느끼는 감정이 유쾌하고 건설적
: 자기 개념이 긍정적이다
(2)우울, 자기 비판적 감정: 우울, 낮은 자존감
(3)화가 났다 등의 공격적인 감정
: 억압된 분노감, 적대감, 공격성 내재되어 있음을 의미함
(4)아무 느낌 없다: 회피성,수동성,우울감,위축감
(5)기괴, 부적절 감정: 현실 판단의 장애, 사고장애 시사
5)주제
(1)마녀,귀처럼 비현실적인 인물
: 현실적응에 어려움이 있거나 대인 관계에 대한 적대감
(2)종교적 인물: 자기 정체성의 비현실감, 성적/공격적인 것이 배제된 모습을 과도하게 이상화하는 경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
(3)광대처럼 우스꽝스러운 방식: 열등감, 낮은 자존감, 충동적 행동
(4)유명인,실제 인물을 캐리커쳐로: 자기의 실제 정체성을 드러내는데 불안감을 느끼고 검사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

키워드

ocu,   미술치료,   중간고사,   정리,   시험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4.20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9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