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4. 실험목적 (Objective) : 화학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으로부터 화학반응식의 계수(몰비)를 구한다.
5. 시약 및 기구 (Reagents & Apparatus) :
기구 - 버너, 스탠드, 고리, 석면, 쇠그물, 눈금 실린더(25 mL), 건조오븐 또는 가열램프 유리막대, 확대경, 깔때기, 거름종이, 저울(감도 0.01g), 씻기병
시약 – 구리줄(5~10 cm), AgNo3(1~2 g), NaCl(2~3 g), 6M Hno3(10 mL), 0.1 M AgNO3(aq)(3 mL), 6M NH3(aq)(1 mL)
6. 실험이론 (Theory) :
화학반응은 질량에너지 보존의 법치겡 따라 일어난다. 다시 말해서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반응물에 있는 각 원소의 원자수는 생성물에 있는 같은 언소의 수와 같아야 한다.
화학자들은 많은 양의 원자와 분자, 즉, g, kg, 그리고 M(몰농도) 등의 단위로 원자와 분자를 다루고 있다. 여기서 몰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6,02 x 10^23 개의 탄소원자(원자량 12.0)는 실제로 12 g의 탄소-12이다. 이것은 아보가드로 수라고 알려져 있다.
아보가드로 수 = 6,02 x 10^23 , 단위(원자, 이온, 분자, 화학식 단위) = 1몰
어떤 원소의 6,02 x 10^23개 원자의 질량을 그램으로 나타낸 것을 그 원소의 g 원자량이라 한다. 따라서 나트륨의 g원자량은 6,02 x 10^23=23.0g 이다.
화합물에 대하여 6,02 x 10^23 화학식 단위를 g으로 나타낸 질량을 화합물의 화학식량이라고 한다. 따라서 화합물의 화학식량은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원자량을 합한 것을 g단위로 나타낸 것과 같다. 에를 들어 NaCl의 화학식량은 58.5g=6,02 x 10^23개의 NaCl 단위이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으로부터 화학반응식의 계수를 게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구리와 질산은을 반응시켜 은과 질산구리(ll)를 얻은 다음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을 측정하고 이러한 질량
5. 시약 및 기구 (Reagents & Apparatus) :
기구 - 버너, 스탠드, 고리, 석면, 쇠그물, 눈금 실린더(25 mL), 건조오븐 또는 가열램프 유리막대, 확대경, 깔때기, 거름종이, 저울(감도 0.01g), 씻기병
시약 – 구리줄(5~10 cm), AgNo3(1~2 g), NaCl(2~3 g), 6M Hno3(10 mL), 0.1 M AgNO3(aq)(3 mL), 6M NH3(aq)(1 mL)
6. 실험이론 (Theory) :
화학반응은 질량에너지 보존의 법치겡 따라 일어난다. 다시 말해서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반응물에 있는 각 원소의 원자수는 생성물에 있는 같은 언소의 수와 같아야 한다.
화학자들은 많은 양의 원자와 분자, 즉, g, kg, 그리고 M(몰농도) 등의 단위로 원자와 분자를 다루고 있다. 여기서 몰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6,02 x 10^23 개의 탄소원자(원자량 12.0)는 실제로 12 g의 탄소-12이다. 이것은 아보가드로 수라고 알려져 있다.
아보가드로 수 = 6,02 x 10^23 , 단위(원자, 이온, 분자, 화학식 단위) = 1몰
어떤 원소의 6,02 x 10^23개 원자의 질량을 그램으로 나타낸 것을 그 원소의 g 원자량이라 한다. 따라서 나트륨의 g원자량은 6,02 x 10^23=23.0g 이다.
화합물에 대하여 6,02 x 10^23 화학식 단위를 g으로 나타낸 질량을 화합물의 화학식량이라고 한다. 따라서 화합물의 화학식량은 화학식에 나타난 모든 원소의 원자량을 합한 것을 g단위로 나타낸 것과 같다. 에를 들어 NaCl의 화학식량은 58.5g=6,02 x 10^23개의 NaCl 단위이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으로부터 화학반응식의 계수를 게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구리와 질산은을 반응시켜 은과 질산구리(ll)를 얻은 다음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을 측정하고 이러한 질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