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화 히든피겨스 요약
2. 영화 히든피겨스에서의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 및 영화 속에서의 발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영화 히든피겨스 요약
2. 영화 히든피겨스에서의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 및 영화 속에서의 발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그는 폭동에 참여함으로써 백인들에게 대항하는데 이는 사회를 근본적으로 또 급격하게 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촛불집회 등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메리 잰슨은 기능론적 관점에서 사회를 변화시키려 한다. 그녀는 학교에서 학위를 따기 위해 흑인 여성들에게 금지된 학교에 들어가 기어코 학위를 받아 나사에서 중요한 엔지니어가 된다. 이는 기능론적 관점에서 원하는 사회변화 방법이다.
Ⅳ 참고문헌
- 김영화외, “사회복지개론”, 정민사, 2011
- 박효경, “사회·문화 5종 교과서에 나타난 기능론과 갈등론 내용 분석”, 경희대, 2006
- 김민정, “폭력화된 갈등”, 한국유럽학회, 2011
- 국가인권위원회, “이주민과 인권”, 2017
Ⅳ 참고문헌
- 김영화외, “사회복지개론”, 정민사, 2011
- 박효경, “사회·문화 5종 교과서에 나타난 기능론과 갈등론 내용 분석”, 경희대, 2006
- 김민정, “폭력화된 갈등”, 한국유럽학회, 2011
- 국가인권위원회, “이주민과 인권”, 20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