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학원론,컨벤션기업,컨벤션의 정의,컨벤션기업의 정의,국내 컨벤션 현황,컨벤션 산업,국내 컨벤션 현황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광학원론,컨벤션기업,컨벤션의 정의,컨벤션기업의 정의,국내 컨벤션 현황,컨벤션 산업,국내 컨벤션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컨벤션 소개
컨벤션의 정의
컨벤션기업의 정의

- 일반관광보다 컨벤션 산업이 가진 장점


본론

- 국내 컨벤션 현황

- 국내 컨벤션의 잘 된 사례와 그렇지 않은 사례


결론

-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 참고문헌

본문내용

4월에 개관했다. 지방의 전시컨벤션센터로는 개관 1호였다. 종합유통단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시, 예술, 공연, 비즈니스 등의 복합 전시문화 공간이다. EXCO의 전시실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3m인 부스를 총 600개까지 설치할 수 있는 국제 규모이다. 1995년 1월 대구종합무역센터 건립 계획을 확정하고 같은 해 7월, 대구종합무역센터(주)를 설립한 뒤, 1997년 5월 착공해 2000년 12월 완공되었다. 대지면적 2만 862㎡, 건축면적 1만 377㎡(연건축면적 8만 7294㎡)에 지상 5층, 지하 4층 규모로 지어졌다. 2011년 5월에는 전시면적을 2배로 확장하는 공사를 완료했다. 이로써 전시장 면적이 1만 2000㎡에서 2만 3000㎡로 늘었고 회의실도 20개에서 34개로 확대됐다. 주요 시설은 전문전시장, 중소기업지원센터, 전문 쇼핑몰, 컨벤션홀, 주차장 등이다. 개관 초기부터 섬유, 기계, 안경, 신재생에너지, 첨단디스플레이 등 지역특화산업을 중심으로 한 무역전시회를 기획, 개최해 오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의 수출 인프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대한민국 소방안전박람회>, <대구 국제안경전>, <국제섬유박람회>, <대구 국제기계 산업대전> 등의 전시회들을 개최했다. 특히 세계전시연합(UFI)으로부터도 인증을 받은 <국제그린에너지 엑스포>는 2010년 22개국, 335개 사가 참여했다. 2002년 월드컵과 2003년 하계유니버시아드의 프레스센터로 이용되었다. 개관 첫해인 2001년에는 16개의 전시회를 개최하는 데 그쳤으나 2006년 44개, 2007년 이후에는 매년 50여 개의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평균 매주 1개씩의 전시회를 개최하고 매일 2건 이상의 회의가 열리고 있다. 개관 이후 2010년까지 10년간 전시회에 참가한 기업체(누계)는 총 2만 7892개였다. 전시회와 컨퍼런스 이벤트 등 행사 방문객은 연평균 160만~260만 명으로 집계됐다.
광주 컨벤션센터 (김대중 컨벤션센터)
2003년 11월 광주전시컨벤션센터로 착공해 2005년 5월 김대중컨벤션센터로 이름을 바꾼 뒤, 같은 해 9월 6일 문을 열었다. 국제 규모의 산업전시회·박람회·컨벤션(회의)·이벤트 개최 등을 통해 광주광역시를 국내외 비즈니스의 중심지로 발전시켜 호남권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지 면적은 1만 6123평, 연건평은 1만 1966평이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이다. 총 공사비는 771억원(국비 434억원, 시비 337억원)이 들었다. 주요시설은 전시장·회의실과 옥내외 주차장, 편의시설 등이다. 조직은 사장, 경영본부(경영기획팀·경영지원팀·시설운영팀), 사업본부(전시팀·마케팅팀·홍보팀), 서울사무소 등 2본부 6팀 1사무소로 이루어져 있다. 총자산은 366억 5800만원(2005)이다. 전시장(3,085평)은 500개의 부스를 설치할 수 있고, 전시 규모에 따라 3개로 분할 사용할 수 있다. 컨벤션홀은 최대 2,000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대회의실과 10개의 중소 회의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440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사업은 국내외 박람회·전시회·회의·세미나 개최, 부동산 관리·운영 및 임대, 기계장비와 용구의 관리·임대, 무역 거래 알선, 국내외 전시정보 자료 조사 및 제공, 문화·광고·이벤트 서비스 공급 등이다. 개관 이후 2005년에만 국제광산업전시회, 광주정보통신전시회, 광주국제식품산업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등 10건의 전시회를 유치하였다.
제주 컨벤션센터(ICC)
대지면적 54,876㎡에 연면적 62,125㎡ 규모로 조성된 제주국제컨벤션센터는 지상 7층 건물로써 3,500명 (최대 4,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국제회의장과 대,중,소 회의실, 전시실 및 기타 관련부대시설을 완비한 명실상부한 국제회의전문시설이다.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위치해있다. 주요시설로는 대회의실, 중소회의실, 소회의장, 전시장, 이어도프라자, 부대시설은 내국인면세점, 레스토랑, 결혼예식장, 커피숍, 던킨도너츠, 베스킨라빈스, 편의점 등이 있고 회의시설은 세계수준의 전문 회의시설을 갖추었고, 직항 및 경유편을 이용한 편리한 접근성, 180개국 무비자 입국으로 참가자 편의 증대등 접근성과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숙박여건은 차량으로 15분 거리 내 호텔 3,000여실, 펜션 1,000실이 마련되어 있다. UNESCO 세계자연유산 포함 풍부한 관광자원과 체험 프로그램과 특별한 테마의 만찬과 파티가 가능한 다양한 장소와 공연프로그램도 마련해놓았다. 주변여건으로는 회의, 숙박 및 관광이 ONE STOP으로 제공되며 우수한 안전여건과 수준 높은 도민의식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컨벤션뷰로, ICC JEJU 및 관련기관에서 홍보/개최 활동등 종합지원 하고 있다.
컨벤션 개최 현황
국내 컨벤션 개최 현황
우리나라 컨벤션 시장의 규모는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최건수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참가자 수에 있어서는 성장과 감소가 요동치는 현상을 보이다가 2004년 이후로 일단 성장세로 안정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이사항으로는 전시회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격변사항이나 월드컵 같은 메가 이벤트가 있으면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외국인 참가자의 수가 감소하는 점이다. 이 현상에 대해서는 새롭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역별 컨벤션 개최현황
지역별별 컨벤션 개최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시회의 경우와 달리 컨벤션 개최 횟수, 참가자 수에 있어서, 지역의 관광자원 및 관광 관련 인프라 또한 경제규모나 소비시장의 규모만큼 중요한 변수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코엑스가 부동의 1위인 것은 서울이 가진 경제 및 문화의 중심지, 최대의 소비시장인 동시에 우리나라 에서 가장 뛰어난 관광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 벡스코, 제주국제컨 벤션센터가 그 뒤를 잇는 것은, 타 지역에 비하여 나름대로 뛰어난 관광여건을 이들 지역이 가지고 있는 것이 컨벤션 참자 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0.05.20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11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