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학기 형사소송법 기말시험 과제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가 법정에서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한 요건을 2020년 형사소송법 개정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서로 비교하여 설명하고, 그 변경의 의미를 서술해 보시오.

2. 문제와 답안



- 목 차 -

1.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가 법정에서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한 요건을 2020년 형사소송법 개정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서로 비교하여 설명하고, 그 변경의 의미를 서술해 보시오.

2. 문제와 답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Q.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가 법정에서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한 요건을 2020년 형사소송법 개정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서로 비교하여 설명하고, 그 변경의 의미를 서술해 보시오.


[시행 2019. 12. 31.]
제312조(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조서 등) ①검사가 피고인이 된 피의자의 진술을 기재한 조서는 적법한 절차와 방식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서 피고인이 진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음이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서의 피고인의 진술에 의하여 인정되고, 그 조서에 기재된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졌음이 증명된 때에 한하여 증거로 할 수 있다.
②제1항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이 그 조서의 성립의 진정을 부인하는 경우에는 그 조서에 기재된 진술이 피고인이 진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음이 영상녹화물이나 그 밖의 객관적인 방법에 의하여 증명되고, 그 조서에 기재된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 하에서 행하여졌음이 증명된 때에 한하여 증거로 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7. 6. 1.]


[시행 미정]
제312조(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조서 등) ①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는 적법한 절차와 방식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서 공판준비, 공판기일에 그 피의자였던 피고인 또는 변호인이 그 내용을 인정할 때에 한정하여 증거로 할 수 있다.

<개정 2020. 2. 4.>

② 삭제 <개정 2020. 2. 4.>


□ 형사소송법 제312조의 연혁
이 규정은 세 차례의 개정을 통해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검사조서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왔다. 첫 출발은 1954년 피의자 진술의 성립을 위한 진정성을 담은 증거능력 요건이었다. 이후 1961년에는 두 번째 개정을 통해 예외적으로 피고인이 된 피의자의 진술을 기재한 조서는 특신상태에서만 증거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중략 -
  • 가격9,100
  • 페이지수8페이지
  • 학년/학기4학년/1학기
  • 해당자료학과법학과
  • 자료출간일2020.05.28
  • 파일형식압축파일(zip)
  • 자료번호#11315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