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H. L. Wilensky & C. N. Lebeaux의 모형
1. 보완적 모형(선별주의) -> 사회복지의 협의적 개념
2. 제도적 모형(보편주의) -> 사회복지의 광의적 개념
II. R. M. Titmuss의 모형
1. 보완적 모형
2. 산업적 업적성취모형
3. 제도적 재분배 모형
III. J. Parker의 모형
1. 자유방임주의형
2. 자유주의형
3. 사회주의형
IV. V. George와 P. Wilding의 모형
V. D. Wedderburn의 모형
VI. R. Mishra의 모형
VII. T. H. Marshall의 모형
VIII. R. Pinker의 모형
IV. P. Townsend의 모형
X. C. Esping-Anderson의 모형
* 참고문헌
1. 보완적 모형(선별주의) -> 사회복지의 협의적 개념
2. 제도적 모형(보편주의) -> 사회복지의 광의적 개념
II. R. M. Titmuss의 모형
1. 보완적 모형
2. 산업적 업적성취모형
3. 제도적 재분배 모형
III. J. Parker의 모형
1. 자유방임주의형
2. 자유주의형
3. 사회주의형
IV. V. George와 P. Wilding의 모형
V. D. Wedderburn의 모형
VI. R. Mishra의 모형
VII. T. H. Marshall의 모형
VIII. R. Pinker의 모형
IV. P. Townsend의 모형
X. C. Esping-Anderson의 모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민의 시민적, 정치적, 사회적 요소로 분류하고 있다.
(1) 재산권에서 시작된 자유권(civil right)
(2) 선거권과 참정권 등의 정치권(Political right)
(3) 국가로부터 최소한 생계를 보장받을 권리로서의 사회권(social right) -> 복지국가
VIII. R. Pinker의 모형
1979년에 핀커는 사회복지 모형을 3분법으로 전개함에 있어 가치선택에 초점을 두고 규범적 선택을 전제로 한 사회질서, 사회변동, 사회복지간의 관계에서 찾고 있다.
복지모형으로는 첫째, 고전적 경제이론, 둘째, 마르크스와 사회주의적 파생물, 셋째, 중상적 집합주의로 분류하였다.
IX. P. Townsend의 모형
사회복지를 보완적 복지정책으로 보고 소수의 절대적 빈곤계층에 대한 조건부 복지를 주장한다. 또한 다수의 저소득 국민에 대한 권리로서의 국민최저선(national minimum)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며 모든 국민에 대한 분배적 정의의 구현, 즉 분배적 복지정책을 제시하였다.
X. C. Esping-Anderson의 복지국가 모형
에스핑과 엔더슨은 1990년 복지국가 모형의 3분법을 완성한 자로서 복지국가의 목표를 시장경제 체계로부터 벗어나 개인의 복지가 시장에 의존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를 탈 상품화라 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복지국가모형을 제시하였다.
[표] 복지국가 모형의 비교
(1) 자유주의적 모형(liberal welfare state) : 미국, 캐나다 등
(2) 조합주의적 모형(corporatist state) : 프랑스, 독일 등
(3) 사회민주주의적 모형(social democratic state) : 스웨덴, 스칸디나비아 등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1) 재산권에서 시작된 자유권(civil right)
(2) 선거권과 참정권 등의 정치권(Political right)
(3) 국가로부터 최소한 생계를 보장받을 권리로서의 사회권(social right) -> 복지국가
VIII. R. Pinker의 모형
1979년에 핀커는 사회복지 모형을 3분법으로 전개함에 있어 가치선택에 초점을 두고 규범적 선택을 전제로 한 사회질서, 사회변동, 사회복지간의 관계에서 찾고 있다.
복지모형으로는 첫째, 고전적 경제이론, 둘째, 마르크스와 사회주의적 파생물, 셋째, 중상적 집합주의로 분류하였다.
IX. P. Townsend의 모형
사회복지를 보완적 복지정책으로 보고 소수의 절대적 빈곤계층에 대한 조건부 복지를 주장한다. 또한 다수의 저소득 국민에 대한 권리로서의 국민최저선(national minimum)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며 모든 국민에 대한 분배적 정의의 구현, 즉 분배적 복지정책을 제시하였다.
X. C. Esping-Anderson의 복지국가 모형
에스핑과 엔더슨은 1990년 복지국가 모형의 3분법을 완성한 자로서 복지국가의 목표를 시장경제 체계로부터 벗어나 개인의 복지가 시장에 의존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를 탈 상품화라 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복지국가모형을 제시하였다.
[표] 복지국가 모형의 비교
(1) 자유주의적 모형(liberal welfare state) : 미국, 캐나다 등
(2) 조합주의적 모형(corporatist state) : 프랑스, 독일 등
(3) 사회민주주의적 모형(social democratic state) : 스웨덴, 스칸디나비아 등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여성복지정책(여성복지제도)의 개념, 여성복지정책(여성복지제도)의 대상, 여성복지정책(여성...
사회복지실천론 중간고사 예상문제 - 원광보건대학(사이버대학)
사회복지사 2급 자격취득 7과목 레포트
사회복지 레포트
제도적 복지와 잔여적 복지에 대하여 사례를 제시하고, 비교하여 설명 - 제도적 복지, 잔여적...
[임금피크제 장단점] 임금피크제의 장단점 ; 임금피크제의 사례와 활성화 방안
잔여적 모델과 제도적 모델 각각을 대표하는 국가를 선택하여 그 국가의 복지 특징을 설명하...
사회복지행정론 ) 최근 리더쉽을 소개하고 그에 따른 사례들을 제시하며 본인은 사회복지 현...
[상담심리학 공통]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