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요양급여
나. 휴업급여
다. 장해급여
라. 간병급여
마. 직업재활급여
바. 유족급여
사. 상병보상연금
아. 장의비
* 참고문헌
나. 휴업급여
다. 장해급여
라. 간병급여
마. 직업재활급여
바. 유족급여
사. 상병보상연금
아. 장의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이때 필요한 절차는 유족보상일시금 청구서 또는 연금청구서에 사망진단서(사체검안서, 수급권자의 호적등본과 주민등록등본 등을 공단에 제출하여야 한다. 유족보상연금은 근로자의 사망 당시 그에 의하여 부양되고 있던 자 중 처(사실혼포함)와 근로자 사망 당시 다음에 해당하는 자이다.
\'남편(사실혼 포함), 부모, 조부모에 있어서는 60세 이상
\'자녀, 손에 있어서는 18세 미만
\'형제자매에 있어서는 18세 미만이거나 60세 이상
\'신체장해등급 제3급 이상인 남편, 자녀, 부모, 손, 조부모, 또는 형제자매
유족되상연금 수급권자의 순위는 배우자, 자녀, 부모, 손, 조부모 및 형제자매의 순이고, 같은 순위의 수급권자가 2인 이상인 경우 그 유족에게 등분하여 지급한다.
위의 순서에도 분구하고 근로자가 특히 유언으로서 지정할 경우에는 그 지정에 따른다.
사. 상병보상연금
상병보상연금은 요양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부상 또는 질병의 정도가 폐질등급 1~3등급에 해당하고 요양개시 후 2변이 경과되어도 치유되지 않은 경우, 휴업급여 대신에 보상수준을 향상시켜 연금으로 지급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폐질등급 1급은 평균임금의 329일분, 2급은 291일분, 3급은 257일분은 청구에 의하여 12등분하여 매월별로 수령하게 되며, 사유발생일로부터 14일 내에 상병보상연금청구서를 작성하여 공단에 제출하여야 한다.
아. 장의비
근로자가 업무상 사유로 사망한 경우에 그 장제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급하는 것이다. 급여는 평균 임금의 120일분 상당액을 기준으로 하되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최고 금액을 초과하거나 최저임금액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그 최고금액 또는 최저금액을 각각 장의비로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남편(사실혼 포함), 부모, 조부모에 있어서는 60세 이상
\'자녀, 손에 있어서는 18세 미만
\'형제자매에 있어서는 18세 미만이거나 60세 이상
\'신체장해등급 제3급 이상인 남편, 자녀, 부모, 손, 조부모, 또는 형제자매
유족되상연금 수급권자의 순위는 배우자, 자녀, 부모, 손, 조부모 및 형제자매의 순이고, 같은 순위의 수급권자가 2인 이상인 경우 그 유족에게 등분하여 지급한다.
위의 순서에도 분구하고 근로자가 특히 유언으로서 지정할 경우에는 그 지정에 따른다.
사. 상병보상연금
상병보상연금은 요양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부상 또는 질병의 정도가 폐질등급 1~3등급에 해당하고 요양개시 후 2변이 경과되어도 치유되지 않은 경우, 휴업급여 대신에 보상수준을 향상시켜 연금으로 지급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폐질등급 1급은 평균임금의 329일분, 2급은 291일분, 3급은 257일분은 청구에 의하여 12등분하여 매월별로 수령하게 되며, 사유발생일로부터 14일 내에 상병보상연금청구서를 작성하여 공단에 제출하여야 한다.
아. 장의비
근로자가 업무상 사유로 사망한 경우에 그 장제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급하는 것이다. 급여는 평균 임금의 120일분 상당액을 기준으로 하되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최고 금액을 초과하거나 최저임금액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그 최고금액 또는 최저금액을 각각 장의비로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산업재해보상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산업재해보상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개요(개념), 산재보험의 급여대상자 및 급여종류
[사회복지법제론] 산업 재해 보상보험법
[사회복지개론] 사회보장기본법에서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사회보험에 ...
사회복지법제론 - 산재보험법의 의의(개념과 특성)와 입법배경 및 내용, 근로복지사업과 산업...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의의와 주요내용(산재급여의 지급, 산재보험 급여의 종류)
[간호학] 산업재해 대책과 재해보상
산업재해보상보험 [요양급여 휴업급여 장해급여 유족급여 상병보상연금 간병급여 장의비 특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