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p. 3~4

Ⅱ. 본론 ... p. 4~7

1. 부산 국가지질공원 소개


2. 부산 국가지질공원의 대표적인 장소
(1) 태종대
(2) 낙동강하구
(3) 오륙도

3. 방문해야 할 이유

Ⅲ. 결론 및 시사점 ... p. 7~8

-참고문헌- ... p. 8

본문내용

아름다운 경관이다. 부산 태종대는 공룡이 지배하던 백악기에 만들어졌다. 공룡의 제왕 티라노사우루스가 살던 시대다. 태종대 앞 푸른 물이 그때는 바다가 아니라 호수였다니 도저히 상상이 가지 않는다. 태종대 지질 명소는 영도등대 주변에 집중된다. 해식 절벽, 파식대지, 해식동굴, 역빈 등 아름다운 지질 환경을 갖췄다. 숨 막히는 절경에 깃든 흥미진진한 땅의 역사는 내외국인 여행자를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암석해안이 파도에 침식되어 평평해진 파식대지가 장관이다. 망부석이 서 있는 신선바위 이름만 아는 경우가 많은데, 신선바위 옆에 넓고 평평한 태종바위도 있다. 태종바위와 신선바위는 녹색, 흰색, 붉은색 지층이 겹겹이 쌓인 퇴적암 층리가 선명하다. 절벽 표면에 아름다운 무늬가 나타나 천연 벽화라고도 부르는 슬럼프 구조는 처음 보는 사람도 찾기 쉽다. 바다가 유독 짙푸른 전망대에는 식당과 카페, 매점이 있어 쉬어 가기 좋고, 태종사도 들러볼 만하다. 4월 초순이면 도로변에 동백꽃이 만개해 더 근사하다. 영도에서 오륙도로 넘어갈 때 부산항대교에서 바라보는 부산항 풍광에 입이 딱 벌어진다. 태종대에서 동쪽으로 보이는 몇 개 섬이 오륙도다. ‘동쪽에서 보면 여섯 봉우리, 서쪽에서 보면 다섯 봉우리’라고 오륙도 이름의 유래이다. 오륙도 스카이워크에 오르면 오륙도는 물론 왼편으로 길게 이어지는 이기대와 그 너머 해운대,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려 태종대까지 전망이 시원하다.
Ⅲ. 결론 및 시사점
부산지질공원은 한 도시 안에 산, 강, 바다가 모두 있는데다가 조금만 가면 평야가 펼쳐지다 보니 자연스럽게 요충지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왜관이 설치되었었고, 6.25 전쟁 때에는 피란수도가 되기도 했다. 그래서 오늘날에는 부산이 지질공원으로 인증되어 문화, 역사, 생태 관광과 더불어 지질관광까지 포함한 복합적인 관광 명소라는 밝은 면도 있지만, 과거의 아픔을 돌아볼 수 있는 역사적인 도시이기도 하다. 부산 국가지질공원은 2024년 부산에서 열리는 세계지질과학총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부산은 인구 350만 명의 대도시에 산과 강, 바다가 어우러져 자연경관이 빼어나며, 고유한 멋과 지질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다양한 지질과 생태, 역사, 문화유산 등이 잘 복합되어 있다. 더불어 대도시로서의 뛰어난 접근성과 다양한 문화 및 편의 시설 등을 기반으로 대중적인 지질교육과 관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형 지질공원이다.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뛰어난 지역으로 자연공원법에 따라 환경부 장관이 인증한 공원이다. 지질학적으로 암석이 순환하는 것을 생각해 보면, 화강암이 풍화되어 퇴적암이 되고, 퇴적암이 온도와 압력을 받아 변성암이 된다. 역사도 마찬가지다. 과거를 앎으로써 현재를 알 수 있고, 현재를 통해 미래도 예측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지질학적인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지질학적인 소재를 교육콘텐츠로 활용한다면 가장 효과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 참고문헌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8). 한국의 지질유산. 국립공원관리공단.
우경식(2014), 국가와 세계지질공원의 자격과 전망, 지질학회지.
김진섭 외(2014), 부산국가지질공원 등재추진 학술용역 최종 보고서.
부산광역시(2013). 부산국가지질공원 지형 및 지질유산 보고서, 부산광역시 환경정책과.
강가령 외(2014). 부산 국가지질공원의 지질명소와 지질유산의 가치: 지질탐방로를 중심으로. 지질학회지.
우경식(2014). 국가와 세계지질공원의 자격과 전망. 지질학회지.
한국자연유산연구소(2014). 4개시군 지질공원 타당성 학술조사 용역. 한국자연유산연구소 연구보고서.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06.09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