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전자 편집 기술
2) 유전자 편집 기의 문제점
3)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의 최근 연구 동향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유전자 편집 기술
2) 유전자 편집 기의 문제점
3)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의 최근 연구 동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문요지
2018년 말, 중국 남방과학기술대학의 He Jiankui 교수가 세계 최초로 크리스퍼(CRISPR-Cas9) 기술을 사용하여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 내성을 갖도록 유전자편집을 한 쌍둥이가 탄생하였다고 주장했다. 또한 지난 6월에는 러시아 생물학자 Denis Rebrikov가 제 2의 디자이너 베이비(designer baby)를 고려중이라고 밝혀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해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유전자가위 기술은 인간 및 동식물 세포의 유전체를 교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술로서 유전체에서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한 후 해당 부위의 DNA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시스템이다. 2012년에 처음 등장하여 현재 3세대까지 발전되었으며, 3세대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2015년에 Nature와 Science에서 나란히 'Breakthrough of the Year 2015'로 뽑히며 생명공학사에서 가장 큰 혁명으로 여겨지고 있다. 크리스퍼가 발견된 이후 과학자들은 이것의 발전과 응용에 심혈을 기울여왔고 그 가치는 아직도 무궁무진하다. 특히 식량생산에 제2의 녹색혁명이 가능하고, 유전질환을 치료하는 유전자치료법이 개화될 수 있는 길이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를 이용한 인간 유전자 편집의 주목할 만한 최근 연구 동향들을 살폈다.
2018년 말, 중국 남방과학기술대학의 He Jiankui 교수가 세계 최초로 크리스퍼(CRISPR-Cas9) 기술을 사용하여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 내성을 갖도록 유전자편집을 한 쌍둥이가 탄생하였다고 주장했다. 또한 지난 6월에는 러시아 생물학자 Denis Rebrikov가 제 2의 디자이너 베이비(designer baby)를 고려중이라고 밝혀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해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유전자가위 기술은 인간 및 동식물 세포의 유전체를 교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술로서 유전체에서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한 후 해당 부위의 DNA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시스템이다. 2012년에 처음 등장하여 현재 3세대까지 발전되었으며, 3세대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2015년에 Nature와 Science에서 나란히 'Breakthrough of the Year 2015'로 뽑히며 생명공학사에서 가장 큰 혁명으로 여겨지고 있다. 크리스퍼가 발견된 이후 과학자들은 이것의 발전과 응용에 심혈을 기울여왔고 그 가치는 아직도 무궁무진하다. 특히 식량생산에 제2의 녹색혁명이 가능하고, 유전질환을 치료하는 유전자치료법이 개화될 수 있는 길이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를 이용한 인간 유전자 편집의 주목할 만한 최근 연구 동향들을 살폈다.
추천자료
기독교 윤리적 입장에서 본 인간배아 복제
[방통대]황우석 교수의 인간배아복제 연구가 담고 있는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하여 논하고...
황우석 박사의 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대하여
[인간복제][생명복제]인간배아복제의 개념, 생명복제기술의 발달, 복제인간 실험, 이안 윌멋...
[인간복제][배아복제][인간체세포배아복제]인간복제와 배아복제의 구분, 한국의 생명복제 기...
[인간복제]배아연구의 필요성, 배아복제실험의 문제점,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윤리적 문제, ...
[인간배아복제][배아복제][인간복제][생명복제][줄기세포][생명공학]인간배아복제의 정의, 인...
(발생공학)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개발방법 및 응용
인간배아복제의 개념, 인간배아복제의 필요성, 인간배아복제의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복제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