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4. 고찰
5. 참고문헌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4. 고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반응의 색이 보다 강하게 나타나므로 감도가 높아 Bradford 보다 더 정확하다고 여겨지고 5㎍/㎕의 낮은 농도까지 측정할 수 있어서 널리 쓰이는 장점이 있지만 단백질에 따른 변이정도가 있고, 준비과정과 준비시약이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걸린다(1hr 이상). 또한 시판되는 정량 시약이 방해 물질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아 시료 중 방해물질(암모튬설페이트 0.15%이상, glycine 0.5%이상,) 존재시 단백질 정량에 사용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Bradford assay의 경우는 Coomassie Brilland Blue G-250라는 dye가 단백질과 결합 시 최대 흡광도가 465nm에서 595nm로 이동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hydrophobic and anion한 상호작용들이 anionic form을 안정화시키면서 눈에 보이는 색의 변화를 유발하는 원리로 고안된 방법이다. 발색반응 2분 내에 완료-정량시간이 짧아 빠르고 간단하고 발색이 1hr정도까지 유지된다. 다른 분석법에 비해 2배가량 감도(1-20㎍)가 높으며 방해물질이 거의 없어 널리 이용된다. 하지만 단백질마다 조금씩 dye가 결합되는 정도가 다르고 석영 큐벳과 반응하기 때문에 유리/플라스틱 큐벳을 사용해야 하며 단백질 종류에 따라 표준검정곡선(Standard curve)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표준검량물질 선택이 중요하다.
BCA(Bicinchoninic Acid)방법은 단백질이 구리+2이온을 구리+1이온으로 환원시킬 수 성질을 이용한 Lowry방법을 개선한 것으로 단백질에 의해 환원된 구리+1이온이 BCA와 반응하여 보라색의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에 착안 ,단백질의 농도와 보랏빛의 착화합물 형성 정도가 비례함을 562nm 파장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함으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최종 sample의 안전성이 높아 넓은 온도 범위에서 단백질 정량이 가능하고 방법이 간단하지만 반응이 느리고, 약간의 단백질의 변성이 있을 수 있다. Reference 10
5. 참고문헌
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12025&cid=50317&categoryId=50317
2) https://www.cheric.org/files/education/cyberlecture/e200803/e200803-301.pdf
3) https://blog.naver.com/lovelace99/80145087241
4) https://ko.wikipedia.org/wiki/Lysis_buffer
5)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inek20&logNo=90015024016&parentCategoryNo=17&viewDate=¤tPage=1&listtype=0
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1336&cid=60266&categoryId=60266
7) Mary K. Campbell, Shawn O. Farrell, 『생화학 제 6판』, 2009, 라이프사이언스, p.64
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6545&cid=60261&categoryId=60261
9)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jgmlapdlf&logNo=100089712902&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10) https://m.blog.naver.com/cnrrn9640/221382835446
BCA(Bicinchoninic Acid)방법은 단백질이 구리+2이온을 구리+1이온으로 환원시킬 수 성질을 이용한 Lowry방법을 개선한 것으로 단백질에 의해 환원된 구리+1이온이 BCA와 반응하여 보라색의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에 착안 ,단백질의 농도와 보랏빛의 착화합물 형성 정도가 비례함을 562nm 파장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함으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최종 sample의 안전성이 높아 넓은 온도 범위에서 단백질 정량이 가능하고 방법이 간단하지만 반응이 느리고, 약간의 단백질의 변성이 있을 수 있다. Reference 10
5. 참고문헌
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12025&cid=50317&categoryId=50317
2) https://www.cheric.org/files/education/cyberlecture/e200803/e200803-301.pdf
3) https://blog.naver.com/lovelace99/80145087241
4) https://ko.wikipedia.org/wiki/Lysis_buffer
5)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inek20&logNo=90015024016&parentCategoryNo=17&viewDate=¤tPage=1&listtype=0
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1336&cid=60266&categoryId=60266
7) Mary K. Campbell, Shawn O. Farrell, 『생화학 제 6판』, 2009, 라이프사이언스, p.64
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6545&cid=60261&categoryId=60261
9)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jgmlapdlf&logNo=100089712902&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10) https://m.blog.naver.com/cnrrn9640/22138283544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