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허혈성 심장질환의 원인 및 병태생리
2. 관상동맥질환의 분류
3. 진단검사
4. 치료 및 간호
5. 참고문헌
2. 관상동맥질환의 분류
3. 진단검사
4. 치료 및 간호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텐트 삽입술.
-죽종절제술 DCA.
-레이저 성형술.
외과적인 수술 방법
-관상동맥 우회술 CABG
①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 =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PTCA
적용대상 : 안정형, 불안정형 협심증, 단일 관상동맥 협착증, 다혈관 협착증, 급성 심근경색, CABG 후의 협심 증, 75세 이상의 고령자.
경대퇴동맥 관동맥 중재술 TFI, 경요골동맥 관동맥 중재술 TRI
PCI(PTCA) 시행 환자는 1-2일 정도 CCU 입원하여 집중관리.
재협착 예방 : 항혈소판제-아스피린, 혈관이완제-dipyridamole(Perdantin) 장기처방.
시행 후 가장 큰 문제는 시술부위 재협착. (②번 적용)
②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③죽종절제술
④관상동맥 우회술 CABG
적용대상 : 좌측 주관상동맥(LMCA) 60% 이상 협착, 좌우 관상동맥 주요 혈관 3개 70% 이상 협착.
수술방법 : 전신 마취 하에 중앙흉골절개술로 심장 노출→자가 혈관 이식.
⑤복재정맥 우회술
3)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요인 관리
식생활 개선.
저지방 식이 (총열량의 20% 미만), 저콜레스테롤 식이.
포화지방산 섭취 줄이고 불포화지방산으로 대치하는 식사.
저염식이.
고섬유식이(빠른배출), 녹황색 채소나 과일 섭취 권장.
체중감소를 위해 저칼로리 식사.
금연.
고혈압과 당뇨병의 조기발견과 치료.
스트레스 해소.
유산소 운동.
4) 간호
① 협심통 관리
니트로글리세린(NTG) 설하 투여 또는 분무.
0.6mg (1tab=0.6mg) 투여.
5-10분마다 같은 용량.
2-3회까지 반복 복용해도 완화되지 않은 때는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의심→가까운 병원, 응급실.
② 혈전예방 및 관리
③ 상처관리 (CABG 후)
④ 불안경감
⑤ 투약에 대한 환자교육 : NTG
반감기 짧고 흡수가 빠름.
두통, 현기증, 안면홍조, 저혈압 등의 부작용.
항상 휴대하고 필요시 즉시 복용.
약의 효력 완전할 때까지는 혀끝에 짜릿짜릿한 감각이 있음
5. 참고문헌
고자경 외(2017), 성인간호학 1, 퍼시픽북스,
http://sev.iseverance.com/health_info/disease_info/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www.snubh.org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
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 578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죽종절제술 DCA.
-레이저 성형술.
외과적인 수술 방법
-관상동맥 우회술 CABG
①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 =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PTCA
적용대상 : 안정형, 불안정형 협심증, 단일 관상동맥 협착증, 다혈관 협착증, 급성 심근경색, CABG 후의 협심 증, 75세 이상의 고령자.
경대퇴동맥 관동맥 중재술 TFI, 경요골동맥 관동맥 중재술 TRI
PCI(PTCA) 시행 환자는 1-2일 정도 CCU 입원하여 집중관리.
재협착 예방 : 항혈소판제-아스피린, 혈관이완제-dipyridamole(Perdantin) 장기처방.
시행 후 가장 큰 문제는 시술부위 재협착. (②번 적용)
②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③죽종절제술
④관상동맥 우회술 CABG
적용대상 : 좌측 주관상동맥(LMCA) 60% 이상 협착, 좌우 관상동맥 주요 혈관 3개 70% 이상 협착.
수술방법 : 전신 마취 하에 중앙흉골절개술로 심장 노출→자가 혈관 이식.
⑤복재정맥 우회술
3)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요인 관리
식생활 개선.
저지방 식이 (총열량의 20% 미만), 저콜레스테롤 식이.
포화지방산 섭취 줄이고 불포화지방산으로 대치하는 식사.
저염식이.
고섬유식이(빠른배출), 녹황색 채소나 과일 섭취 권장.
체중감소를 위해 저칼로리 식사.
금연.
고혈압과 당뇨병의 조기발견과 치료.
스트레스 해소.
유산소 운동.
4) 간호
① 협심통 관리
니트로글리세린(NTG) 설하 투여 또는 분무.
0.6mg (1tab=0.6mg) 투여.
5-10분마다 같은 용량.
2-3회까지 반복 복용해도 완화되지 않은 때는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의심→가까운 병원, 응급실.
② 혈전예방 및 관리
③ 상처관리 (CABG 후)
④ 불안경감
⑤ 투약에 대한 환자교육 : NTG
반감기 짧고 흡수가 빠름.
두통, 현기증, 안면홍조, 저혈압 등의 부작용.
항상 휴대하고 필요시 즉시 복용.
약의 효력 완전할 때까지는 혀끝에 짜릿짜릿한 감각이 있음
5. 참고문헌
고자경 외(2017), 성인간호학 1, 퍼시픽북스,
http://sev.iseverance.com/health_info/disease_info/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www.snubh.org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
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 578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