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ⅰ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Bone의 해부생리
1-1. 구조
1-2. 기능과 성장
2. Osteomyelitis
2-1. 병태생리
2-2. 원인
2-3. 분류
2-4. 증상
2-5. 진단검사
2-6. 치료
2-7. 구조
Ⅱ. 본론
- ⅰ.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 ⅱ. 진행기록
- ⅲ. Problem List
- ⅱ. 간호진단
Ⅲ. 결론
※ 참고문헌
ⅰ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Bone의 해부생리
1-1. 구조
1-2. 기능과 성장
2. Osteomyelitis
2-1. 병태생리
2-2. 원인
2-3. 분류
2-4. 증상
2-5. 진단검사
2-6. 치료
2-7. 구조
Ⅱ. 본론
- ⅰ.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 ⅱ. 진행기록
- ⅲ. Problem List
- ⅱ. 간호진단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foot 부위에 Heat lamp를 적용하였다. (15.10.05)
-2-2. 통증 완화를 위해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설명하였다. (By RN)
-2-3. 통증 완화를 위해 전환요법 및 이완요법에 관해 설명하였다. (TV시청, 음악감상, 심호흡 등) (By RN, SN)
-1. 통증 완화를 위한 전환요법 및 이완요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TV시청, 음악감상, 심호흡 등) (By RN, SN)
간호평가 및 재계획
◆ 대상자는 수술 후 4일 째부터 통증척도 NRS 3점 이하 유지하였다.
◆ 대상자는 “처음 왔을 때 보다는 아픈게 많이 괜찮아졌어요.” 라고 말하였다. (15.10.07)
ⅳ. 간호진단
간호사정
◆ 객관적 자료
- Side rail이 항상 내려져 있는 것이 관찰됨.
- EMR 차트 상 낙상 고위험군으로 분류됨. (15/09/29 16:20 : 낙상 사정 점수 30점)
- 낙상 유발 약물을 복용중임. (Atacan Tab, Opheryl-50 SR Tab)
- Lt leg 에 Splint 적용 중임.
간호진단
#2. 신체 기동력 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Side rail을 항상 올려놓는다.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Side rail을 항상 올려놓는다.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낙상이 없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한다.
2. 2시간 간격으로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지, Side rail이 올려져있는지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1. 매일 낙상 위험 사정 점수를 측정한다.
2. 2시간 간격으로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지 Side rail이 올려져있는지 관찰하여 침대를 고정시키고 Side rail을 올려준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한다.
2. 복용중인 약물 중 낙상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약물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 관찰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1.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하여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1-2. 대상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2. 침대를 고정하지 않거나 Side rail을 올리지 않으면 낙상의 위험성이 증가된다.
-1. 낙상 위험 사정 점수를 측정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1. 침대를 고정하지 않거나 Side rail을 올리지 않으면 낙상의 위험성이 증가된다.
-1.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에 대한 교육을 하는 것은 낙상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며 낙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간호수행
[09.29~10.07]
-1. 낙상 요인 및 낙상 유발 요인을 파악하였다.
- 낙상 유발 약물을 복용중임. (Atacan Tab, Opheryl-50 SR Tab)
- Lt leg 에 Splint 적용 중임.
-2. 매일 2시간 간격으로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지, Side rail이 올려져있는지 관찰하였다.
-1. 매일 낙상 위험 사정 점수를 측정하였다. (By RN)
일시
09.29 16:20
10.01 16:09
10.02 09:47
10.03 09:08
낙상사정점수
30
30
30
35
일시
10.04 10:05
10.05 08:36
10.06 10:11
10.07 11:22
낙상사정점수
35
35
35
35
-2. 매일 2시간 간격으로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지 Side rail이 올려져있는지 관찰하여 침대를 고정시키고 Side rail을 올려주었다. (By RN, SN)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하였다. 매일 2시간 간격으로 잘 수행하고 있는지 관찰한 후 잘 이행되지 않았을 시 낙상 예방 교육을 재수행하였다. (By RN, SN)
- Side rail을 올려주고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 call bell 위치와 사용법을 교육하고 필요 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설명하였다.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침대, 의자, 화장실, 휠체어로 안전하게 이동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잠금장치 사용방법 등)
- 이동 시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하도록 교육하였다.
-2. 복용중인 약물 중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Atacan Tab, Opheryl-50 SR Tab)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하였다. (By RN)
간호평가 및 재계획
◆ 대상자는 15/10/07 까지 낙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 대상자는 15/10/07 까지 지속적으로 Side rail을 올려놓았다.
Ⅲ. 결론
상기 55세 여환은 HTN hx 있는 분으로 입원 7일 전 계단에 contusion하여 Lt. 1st toe nail bed injury, necrosis로 5일전 000병원에서 nail remove후 3일전부터 연휴로 인해 소독 받지 못하며 지내다가 전일 걸을 때마다 Lt. 1st toe 통증이 느껴지며 discharge, 피부변색 소견 보여 R/O 족지골수염 소견서 받고 내원한 분이다. 내원 시 CRP 상승 소견(8.2) 보였으나 15/10/05 CRP 수치 0.5 이하 나타났다. 15/10/01부터 Daily I&D 시행중이며 Lt leg Splint 적용중이나 I&D 시행 후 Wound 부위 pain과 pus, redness 관찰되어 15/10/05부터 wound open하여 Heat lamp 적용중이다. 15/10/01 NRS 통증척도 7점 측정되었으며 15/10/07 8PM에 1점 측정되어 Pain이 완화되었다. 현재 wound 부위의 injury가 차도를 보이지 않으며 WBC가 상승하는 등 회복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4)
- 황옥남, 김진경, 최동희, 조준아, 박미영 공저,
『성과기반 성인간호 실무지침 Ⅰ』(현문사, 2015)
- 통증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 병원간호사회
- 낙상예방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 병원간호사회
- [그림1] 장골의 구조 : http://blog.daum.net/terrypal/413
- [그림3] osteomyelitis의 진행과정 : www.studyblue.com
- http://www.kmle.co.kr/
- http://www.doctorkorea.com/
-2-2. 통증 완화를 위해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설명하였다. (By RN)
-2-3. 통증 완화를 위해 전환요법 및 이완요법에 관해 설명하였다. (TV시청, 음악감상, 심호흡 등) (By RN, SN)
-1. 통증 완화를 위한 전환요법 및 이완요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TV시청, 음악감상, 심호흡 등) (By RN, SN)
간호평가 및 재계획
◆ 대상자는 수술 후 4일 째부터 통증척도 NRS 3점 이하 유지하였다.
◆ 대상자는 “처음 왔을 때 보다는 아픈게 많이 괜찮아졌어요.” 라고 말하였다. (15.10.07)
ⅳ. 간호진단
간호사정
◆ 객관적 자료
- Side rail이 항상 내려져 있는 것이 관찰됨.
- EMR 차트 상 낙상 고위험군으로 분류됨. (15/09/29 16:20 : 낙상 사정 점수 30점)
- 낙상 유발 약물을 복용중임. (Atacan Tab, Opheryl-50 SR Tab)
- Lt leg 에 Splint 적용 중임.
간호진단
#2. 신체 기동력 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Side rail을 항상 올려놓는다.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Side rail을 항상 올려놓는다.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낙상이 없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한다.
2. 2시간 간격으로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지, Side rail이 올려져있는지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1. 매일 낙상 위험 사정 점수를 측정한다.
2. 2시간 간격으로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지 Side rail이 올려져있는지 관찰하여 침대를 고정시키고 Side rail을 올려준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한다.
2. 복용중인 약물 중 낙상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약물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 관찰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1.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하여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1-2. 대상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2. 침대를 고정하지 않거나 Side rail을 올리지 않으면 낙상의 위험성이 증가된다.
-1. 낙상 위험 사정 점수를 측정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1. 침대를 고정하지 않거나 Side rail을 올리지 않으면 낙상의 위험성이 증가된다.
-1.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에 대한 교육을 하는 것은 낙상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며 낙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간호수행
[09.29~10.07]
-1. 낙상 요인 및 낙상 유발 요인을 파악하였다.
- 낙상 유발 약물을 복용중임. (Atacan Tab, Opheryl-50 SR Tab)
- Lt leg 에 Splint 적용 중임.
-2. 매일 2시간 간격으로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지, Side rail이 올려져있는지 관찰하였다.
-1. 매일 낙상 위험 사정 점수를 측정하였다. (By RN)
일시
09.29 16:20
10.01 16:09
10.02 09:47
10.03 09:08
낙상사정점수
30
30
30
35
일시
10.04 10:05
10.05 08:36
10.06 10:11
10.07 11:22
낙상사정점수
35
35
35
35
-2. 매일 2시간 간격으로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지 Side rail이 올려져있는지 관찰하여 침대를 고정시키고 Side rail을 올려주었다. (By RN, SN)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하였다. 매일 2시간 간격으로 잘 수행하고 있는지 관찰한 후 잘 이행되지 않았을 시 낙상 예방 교육을 재수행하였다. (By RN, SN)
- Side rail을 올려주고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 call bell 위치와 사용법을 교육하고 필요 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설명하였다.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침대, 의자, 화장실, 휠체어로 안전하게 이동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잠금장치 사용방법 등)
- 이동 시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하도록 교육하였다.
-2. 복용중인 약물 중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Atacan Tab, Opheryl-50 SR Tab)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하였다. (By RN)
간호평가 및 재계획
◆ 대상자는 15/10/07 까지 낙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 대상자는 15/10/07 까지 지속적으로 Side rail을 올려놓았다.
Ⅲ. 결론
상기 55세 여환은 HTN hx 있는 분으로 입원 7일 전 계단에 contusion하여 Lt. 1st toe nail bed injury, necrosis로 5일전 000병원에서 nail remove후 3일전부터 연휴로 인해 소독 받지 못하며 지내다가 전일 걸을 때마다 Lt. 1st toe 통증이 느껴지며 discharge, 피부변색 소견 보여 R/O 족지골수염 소견서 받고 내원한 분이다. 내원 시 CRP 상승 소견(8.2) 보였으나 15/10/05 CRP 수치 0.5 이하 나타났다. 15/10/01부터 Daily I&D 시행중이며 Lt leg Splint 적용중이나 I&D 시행 후 Wound 부위 pain과 pus, redness 관찰되어 15/10/05부터 wound open하여 Heat lamp 적용중이다. 15/10/01 NRS 통증척도 7점 측정되었으며 15/10/07 8PM에 1점 측정되어 Pain이 완화되었다. 현재 wound 부위의 injury가 차도를 보이지 않으며 WBC가 상승하는 등 회복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4)
- 황옥남, 김진경, 최동희, 조준아, 박미영 공저,
『성과기반 성인간호 실무지침 Ⅰ』(현문사, 2015)
- 통증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 병원간호사회
- 낙상예방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 병원간호사회
- [그림1] 장골의 구조 : http://blog.daum.net/terrypal/413
- [그림3] osteomyelitis의 진행과정 : www.studyblue.com
- http://www.kmle.co.kr/
- http://www.doctorkorea.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