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U_cerebral infarction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ICU_cerebral infarcti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ⅰ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Brain의 해부생리
1-1. 구조 및 기능
1-1-1. 대뇌피질
1-1-2. 간뇌
1-1-3. 뇌하수체
1-1-4. 뇌간
1-1-5. 변연계
1-1-6. 기저신경절
1-1-7. 내포
1-1-8. 소뇌
1-1-9. 뇌실
1-1-10. 뇌척수액
1-1-11. 뇌순환
2. Cerebral infarction
2-1. 정의
2-2. 원인
2-3. 분류
2-4. 증상
2-5. 진단
2-6. 치료
2-7. 간호
2-8. 합병증

Ⅱ. 본론

- ⅰ.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 ⅱ. 진행기록

- ⅲ. Problem List

- ⅳ. 간호과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된 항생제(Cefpiran 1g bid 1A#1, reposporen 1g bid 1A#1)를 투여하였다. (By RN)
-2. 하루 3번 8시간 간격으로 카테터, 배액관 및 line의 삽입부를 관찰하고 개방상태를 확인하며 삽입부 주위의 청결한 드레싱을 유지하였다. (By RN)
-3. 환자 접촉 전/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분비물 접촉 후 철저한 손위생을 실시하였다. (By RN, SN)
-1. 대상자에게 면회오는 면회객들에게 손위생의 중요성에대해 설명하였으며 대상자에게 면회하기 전 AP 가운과 위생장갑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By RN)
간호평가 및 재계획
◆ 대상자는 수술 후 4일째에 WBC 수치가 정상범위가 되었다. (1.14 : 4.41(x10³/μL), 1.15 4.28(x10³/μL))
◆ 대상자의 CRP 수치가 상승하였다.
1/13
1/14
1/15
8AM
8AM
8AM
213.9▲
237.7▲
225.5▲
◆ 대상자의 카테터, 배액관 및 line의 삽입부위에 감염증상이 없다.
간호사정
[01.10~01.12]
◆ 주관적 자료 - none.
◆ 객관적 자료
Mental : coma 상태로 자가간호 불가능함 (16.01.11, 16.01.12 coma therapy, 16.01.13 mental state coma check 됨)
coma therapy 위한 마약성 진정제 및 마취제 투여중임.
마약성진통제
ULTIVA INJ.
2mg/V
IV
Coma Therapy
01/10
(A1)
01/11
(A2/O1)
01/12
(A3/O2)
o
o
o
마취제
PENTOTALSODIUM
0.5g
IV,PRN
1V#1
o
o
o
욕창 사정 시 위험도 12점 측정됨. (감각인지 : 매우 제한됨, 습기 : 때때로 습함, 활동정도 : 침상안정, 기동력 : 매우제한됨, 영양상태 : 부적절함, 마찰력/응전력 : 잠재적 문제 있음. 16.01.11)
대상자의 피부가 축축하고 부종이 있으며 눌린자국이 관찰됨.
간호진단
#2.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간호목표
◆ 단기목표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피부가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된다.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피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4시간마다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1. 하루 6번 4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 및 ROM을 시행한다.
2. 하루 6번 4시간 간격으로 뼈가 돌출된 부위 및 발적된 부위를 마사지한다.
3. 4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여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한다.
4. 대상자의 침상을 공기침대 혹은 물침대를 사용한다.
5. 대상자의 주변 환경을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이 유지되게 한다.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1-1. 피부가 받는 압력을 줄여주고 혈액순환을 증가시켜 피부 통합을 강화시킨다.
-1-2. 대상자의 활동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2-2. 뼈 돌출부의 혈액순환장애가 뼈 돌출이 없는 부위에 비해 크고, 습기가 있을 경우에는 피부가 손상받기 쉽기 때문이다.
-2-2. 피부의 순환증진과 건조를 예방한다.
-3. 습기는 표피를 파괴하여 피부 저항력을 떨어트려 피부괴사, 표피파괴, 세균증식 등이 나타난다.
-4. 압력과 마찰을 최소화하고 피부괴사, 표피파괴, 세균증식 등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5. 지나친 자극은 감각지각장애를 가진 대상자를 혼돈 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
[01.13~01.15]
-1. 4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관찰하였다. (By RN, SN)
(피부상태 발적 없이 양호하였으며 coccyx 및 occipital sore없이 clear 함.)
-1. 4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 및 ROM을 실시하였다. (By RN)
-2. 4시간 간격으로 뼈가 돌출된 부위 및 발적된 부위를 마사지 하였다. (By RN, SN)
(피부상태 발적 없이 양호하였으며 coccyx 및 occipital sore없이 clear 함.)
-3. 4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관찰하였으며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였다. (By RN)
-4. 01.15까지 대상자의 침대는 air mattress를 사용하였다.
-5. 대상자의 주변 환경이 조용하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소음을 최소화 하고 조명을 줄이는 활동을 하였다. (By RN, SN)
간호평가 및 재계획
◆ 대상자는 욕창이 발생하지 않았다.
Ⅲ. 결론
상기 환자 기저질환으로 dementia 있는 분으로 금일(16.01.11) 내원 15분전 mental change, Lt. ide weakness로 ER통해 adm하였으며 mental drowsy하고 initial vital sign BP 180/100mmHg-P 96회/min-R 20회/min-BT 36.6℃였음. 그 후 IA thrombectomy 및 Bypass OP 시행한 뒤 pupil both pinpoint나타남. OP후 IICP 유지 위해 coma therapy 시행하였으며 01.12 Brain CT f/u 후 보호자에게 Emergency decompressive craniectomy 필요하며 시행하지 않을 시 사망가능성 높다고 보호자(남편)에게 설명하였으나 강력히 Refuse하여 DNR 동의서 받음. 01.13 coma therapy stop 하였으나 환자 mental 깨어나지 않은 상태로 mental state coma check 되고 01.15 10:01 SBP 10mmHg에서 0mmHg check 되고 Cardio pulmonary arrest하여 expire하였음.
보호자의 OP Refuse는 경제적 문제로 인한 것이므로 추후 경제적 문제에 대한 상담이 요구되며 또한 대상자의 사망으로 인한 상실감 등의 정서적인 문제에 대한 상담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참고문헌
- http://www.kmle.co.kr/
- http://www.doctorkorea.com/
-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4)
- 황옥남, 김진경, 최동희, 조준아, 박미영 공저,
『성과기반 성인간호 실무지침 Ⅰ』(현문사, 2015)
  • 가격2,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20.06.23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