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영국과 미국의 자선조직협회(COS)
2. 영국과 미국의 인보관 운동 (Social Settlement Movement)
3. 현대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3. 느낀점
4. 참고문헌
2. 본 론
1. 영국과 미국의 자선조직협회(COS)
2. 영국과 미국의 인보관 운동 (Social Settlement Movement)
3. 현대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3. 느낀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자 하였다(Hirota, Brown, & Martin, 1996).
방법론에 있어서 그들은 빈곤지역에 들어가 함께 거주하며 그들의 사회와 문화를 바꾸려 하였다.
표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의 차이점 (최선희, 2014)
3. 현대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앞서 살펴본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은 모두 현대 사회복지에 있어서 그 틀을 잡아준 중요한 움직임이라고 볼 수 있겠다.
나는 특히 자선조직협회의 활동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았다. 자선조직협회는 ‘사례회의(case conference)’를 개발하였는데 한 사례에 대하여 세틀멘트, 아동기관, 방문간호협회 등 다양한 기관들의 실천가가 참여하여 개입계획을 세우는 것이었다(Murphy, 1954: 35). 이는 사례와 서비스의 목록화와 더불어 오늘날 사례관리의 기원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치료적 요소를 도입하여 전문적인 개입을 발전시켰다. 핵심적 과업에 대한 많은 규정들을 만들었고, 효과적 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그 일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일정한 수준의 훈련을 받아야 한다는 것도 인식하고, 사회사업가 역할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www.sagepub.com/upm-data/9812_039472ch02, 2005)
즉, 전문적인 개입방법으로 ‘social case work’을 개발하였고, 교육과 훈련을 위한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전문가 양성의 길을 열었다. 자선조직협회로 인해 사회사업은 전문직으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3. 느낀점
앞서 말한바와 같이 나는 사례관리의 기원을 알게된 것에 크게 흥미를 느끼고 있다.
사회복지 기관에서 지켜본 사례관리는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사의 입장에서도 큰 의미가 있지만 무엇보다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에게 무엇보다 필요하고 큰 도움이 되는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지금도,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이 시작되던 그 시대에도, 또 구휼 등의 제도가 시행되던 그때에도 그리고 그 이전에도. 우리는 늘 어려움에 처한 누군가를 돕기 위해 개인의 마음을 내어주고 또 국가차원에서의 도움도 항상 고민했던 것을 느끼며 다시 한 번 사회복지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4. 참고문헌
- 임현승. (2005). 미국 사회사업교육 현황. 임상사회사업연구, 2(1), 23-40.
- 최선희. (2014). 일제강점기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성격.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9, 1-30.
방법론에 있어서 그들은 빈곤지역에 들어가 함께 거주하며 그들의 사회와 문화를 바꾸려 하였다.
표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의 차이점 (최선희, 2014)
3. 현대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앞서 살펴본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은 모두 현대 사회복지에 있어서 그 틀을 잡아준 중요한 움직임이라고 볼 수 있겠다.
나는 특히 자선조직협회의 활동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았다. 자선조직협회는 ‘사례회의(case conference)’를 개발하였는데 한 사례에 대하여 세틀멘트, 아동기관, 방문간호협회 등 다양한 기관들의 실천가가 참여하여 개입계획을 세우는 것이었다(Murphy, 1954: 35). 이는 사례와 서비스의 목록화와 더불어 오늘날 사례관리의 기원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치료적 요소를 도입하여 전문적인 개입을 발전시켰다. 핵심적 과업에 대한 많은 규정들을 만들었고, 효과적 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그 일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일정한 수준의 훈련을 받아야 한다는 것도 인식하고, 사회사업가 역할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www.sagepub.com/upm-data/9812_039472ch02, 2005)
즉, 전문적인 개입방법으로 ‘social case work’을 개발하였고, 교육과 훈련을 위한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전문가 양성의 길을 열었다. 자선조직협회로 인해 사회사업은 전문직으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3. 느낀점
앞서 말한바와 같이 나는 사례관리의 기원을 알게된 것에 크게 흥미를 느끼고 있다.
사회복지 기관에서 지켜본 사례관리는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사의 입장에서도 큰 의미가 있지만 무엇보다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에게 무엇보다 필요하고 큰 도움이 되는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지금도,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이 시작되던 그 시대에도, 또 구휼 등의 제도가 시행되던 그때에도 그리고 그 이전에도. 우리는 늘 어려움에 처한 누군가를 돕기 위해 개인의 마음을 내어주고 또 국가차원에서의 도움도 항상 고민했던 것을 느끼며 다시 한 번 사회복지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4. 참고문헌
- 임현승. (2005). 미국 사회사업교육 현황. 임상사회사업연구, 2(1), 23-40.
- 최선희. (2014). 일제강점기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성격.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9, 1-30.
추천자료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활동 비교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활동
[사회복지]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의 태동배경과 차이점
[자선조직협회]자선조직협회의 등장 배경과 자선조직협회의 활동 원칙 및 주요 내용 소개, 자...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인보관운동 (Settlement Movement) 인보관운동의 정의, 배경과 전개, 영국과 미국의 인보관, ...
미국지역사회복지의역사 단원요약정리(자선조직협회, 인보관, 지역공동모금제도, 미국의지역...
미국의 지역사회복지역사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역사를 비교 설명해보고 현재 복잡하고 ...
[서양 사회복지 역사]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