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20세기 초 미술과 여성: 형식적 모더니즘, 모더니즘, 입체주의, 프리미비티즘, 오르피즘, 미래주의, 추상미술, 다다이즘, 추상표현주의, 미니멀리즘, 표현주의 등
- 20세기 초 미술 사조에 나타난 남성주의적 사고, 여성작가에 대해서
2.1945-60년대 미술과 여성: 미국추상미술의 여성작가와 팝아트에 나타난 재현된 여성 이미지+ 페미니즘 미술의 선구자
3.1970년대 페미니즘 미술의 태동과 전개: 페미니즘 미술가, 흑인 페미니즘 미술가, 다양한 작품을 보여준 작가, 행위예술 작가
4.1980-90년대 페미니즘 미술의 전개
5.한국 페미니스트 미술과 여성
- 20세기 초 미술 사조에 나타난 남성주의적 사고, 여성작가에 대해서
2.1945-60년대 미술과 여성: 미국추상미술의 여성작가와 팝아트에 나타난 재현된 여성 이미지+ 페미니즘 미술의 선구자
3.1970년대 페미니즘 미술의 태동과 전개: 페미니즘 미술가, 흑인 페미니즘 미술가, 다양한 작품을 보여준 작가, 행위예술 작가
4.1980-90년대 페미니즘 미술의 전개
5.한국 페미니스트 미술과 여성
본문내용
I.모더니즘 미술과 여성
1.파블로 피카소: 최초의 입체주의 회화
화면의 자율성을 얘기 할 수 있음. 입체주의에서 확고하게 자리잡음. 화면의 원근법과 깊이감이 사라짐.
<아비뇽의 처녀들> : 동시에 한 화면에 표현. 복수시점에서. 앞모습 얼굴과 뒷모습 신체. 인체의 앞 뒤 옆을 동시에 봄. 불가능. 시간의 변화가 필요해. 즉 시간성의 개념을 회화안에 구현. 작가가 추구하는 형태대로 화면을 재배치하는 시도. –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시작점으로 다뤄짐 - 형식적특성
* 주제적 분석: 습작과 비교해보기를 통해 뭘 그리려 했는지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습작에 보면 원작에 등작하지 않은 남성군인의 모습이 등장함. 사실 이 습작이 여성군집 누드가 아니라 (두명의) 해군들과 아비뇽의 매춘부가 주제임. 성을 사는 남성들. 남녀의 성관계. 성의 권력구조가 드러남.
* 가면 쓴 왼쪽 두명의 여성
(야수파, 입체주의에 동참한 화가들이) 프리미티비즘 - 아프리카, 미개발 문명에 대한 관심을 문명인인 유럽인이 표명하는 것.
원시성의 이중적 특성:
-너무나 기계화된, 산업화 된 유럽사회에 인간성과 자연성을 잃어버림. 그래서 그에 대한 반성으로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비문명화된 사회를 동경하고 추종하는 경향이 원시주의라 설명.
-비문명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되 자신들과 동일선상에 보지 않음. 같은 문명형태가 아니라 그들에게 미개성을 규정지음. 결국 문명화하는 것은 서구인들의 힘.
1.파블로 피카소: 최초의 입체주의 회화
화면의 자율성을 얘기 할 수 있음. 입체주의에서 확고하게 자리잡음. 화면의 원근법과 깊이감이 사라짐.
<아비뇽의 처녀들> : 동시에 한 화면에 표현. 복수시점에서. 앞모습 얼굴과 뒷모습 신체. 인체의 앞 뒤 옆을 동시에 봄. 불가능. 시간의 변화가 필요해. 즉 시간성의 개념을 회화안에 구현. 작가가 추구하는 형태대로 화면을 재배치하는 시도. –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시작점으로 다뤄짐 - 형식적특성
* 주제적 분석: 습작과 비교해보기를 통해 뭘 그리려 했는지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습작에 보면 원작에 등작하지 않은 남성군인의 모습이 등장함. 사실 이 습작이 여성군집 누드가 아니라 (두명의) 해군들과 아비뇽의 매춘부가 주제임. 성을 사는 남성들. 남녀의 성관계. 성의 권력구조가 드러남.
* 가면 쓴 왼쪽 두명의 여성
(야수파, 입체주의에 동참한 화가들이) 프리미티비즘 - 아프리카, 미개발 문명에 대한 관심을 문명인인 유럽인이 표명하는 것.
원시성의 이중적 특성:
-너무나 기계화된, 산업화 된 유럽사회에 인간성과 자연성을 잃어버림. 그래서 그에 대한 반성으로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비문명화된 사회를 동경하고 추종하는 경향이 원시주의라 설명.
-비문명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되 자신들과 동일선상에 보지 않음. 같은 문명형태가 아니라 그들에게 미개성을 규정지음. 결국 문명화하는 것은 서구인들의 힘.
추천자료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나는 구보의 의식연구
서구 페미니즘미술과 한국 페미니즘미술의 역사와 전개과정
[페미니즘][페미니즘 이론]페미니즘의 정의와 페미니즘 이론 분석 고찰(마르크스주의 페미니...
[여성문학][페미니즘][김명순][신여성][독일]여성문학의 이론, 여성문학의 연구, 여성문학의 ...
박완서의 <서있는 여자> 연구
박완서의 <서있는 여자> 연구
[소설][1920년대][1930년대][1940년대][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20년대의 소설, 1930...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월북작가 박태원과 정지용 문학의 존재방식(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