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토리텔링의 정의
2. 고려가요 특성과 스토리텔링의 연계성
3. 스토리텔링 고려가요의 문화 콘텐츠적 가치.
4. 스토리 구성 절차 및 스토리 구성 예시
5. 효과적인 텔링(telling)을 위한 방법 제시
2. 고려가요 특성과 스토리텔링의 연계성
3. 스토리텔링 고려가요의 문화 콘텐츠적 가치.
4. 스토리 구성 절차 및 스토리 구성 예시
5. 효과적인 텔링(telling)을 위한 방법 제시
본문내용
그리고 스토리를 적되 적은 스토리 밑에 색지의3분의 1정도의 공간을 비워 두도록 한다. 이는 학습자 간에 스토리를 공유하여 읽을 때에 공감하는 의견이나 작품 이해를 위한 더 나은 스토리가 될수 있도록 조언해주는 의견을 적는 공간으로, ‘댓글’ 다는 형식으로 다른 학습자에게 스토리에 대한 다양한 감상평을 짤막하게 적는 것이다.
③다른 학습자들과 스토리를 공유할 때는 5~6명으로 이루어진 조별로 먼저는 공유하고 그 후에 다른 조와도 공유하여 학습자의 전체가 서로 공유해볼수 있도록 한다. 공유한 뒤에는 자신의 스토리를 조언에 따라서 다듬는 작업을 통해 스토리의 완성도를 높여 마무리 할 수 있게 한다.
④같은 화자를 설정하였다 할지라도 상황과 그에 따른 세부적인 정서들을 표현하는 것은 각 개인 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함께 공유하며 서로의 의견을 교환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2) 그림 활용하기
스토리텔링의 방법 가운데 도구적 측면에서, 이야기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그 내용과 직접 관련 있는 그림을 구하거나 미리 그려둔 것을 보여주면서 이야기를 진행하는 그림을 이용한 스토리텔링이 있다.
작품 자체에 대해 스토리를 구성한 ‘작품 내용 스토리’를 바탕으로, 각 연이 전달하고 있는 내용들을 여러 편의 그림으로 표현하여 스토리를 전할 때 활용하는 방법을 구상해 보았다.
①먼저는 ‘작품 내용 스토리’를 준비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가요 작품의 각 연에 해당하는 그림을 구상하여 그려보는 것이다. 이때 미리 준비된 그림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직접 그림을 그리도록 제안하는 이유는, 학습자가 스토리에 어울리는 색상을 선택하고 배경과 인물 등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그려봄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더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이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②학습자들이 그림을 그리는 데 대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그림을 그릴 용지의 크기는 A4 정도로 제한하고, 각 연에 해당하는 그림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공간을 배치한다. 그림을 그리기 위한 도구로는 매직펜, 색연필, 붓 펜과 같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위주로 하기로 한다.
③그림으로 표현할 때 있어서 화자의 구체적인 표정이나 동작 등을 묘사하여 그리는 것, 화자의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색상들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그리는 것, 눈물 자국을 만들어 놓는 것 등 학습자 자신의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현법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려 보도록 한다.
④스토리를 한 편의 그림이 아닌 여러 편의 그림으로 표현할 때 작품 전체의 흐름과 그 속에 드러난 화자 정서의 흐름도 자연스럽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완성된 그림을 학습자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스토리와 함께 설명함으로써 ‘작품 내용 스토리’에 대한 이해와 감상이 시각적인 효과 가운데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화자의 상황과 감정을 색상과 구체적인 표정 행동 묘사를 통해 파악함으로써 단순히 문자적으로 접할 때 보다 더욱 감각적으로 스토리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③다른 학습자들과 스토리를 공유할 때는 5~6명으로 이루어진 조별로 먼저는 공유하고 그 후에 다른 조와도 공유하여 학습자의 전체가 서로 공유해볼수 있도록 한다. 공유한 뒤에는 자신의 스토리를 조언에 따라서 다듬는 작업을 통해 스토리의 완성도를 높여 마무리 할 수 있게 한다.
④같은 화자를 설정하였다 할지라도 상황과 그에 따른 세부적인 정서들을 표현하는 것은 각 개인 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함께 공유하며 서로의 의견을 교환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2) 그림 활용하기
스토리텔링의 방법 가운데 도구적 측면에서, 이야기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그 내용과 직접 관련 있는 그림을 구하거나 미리 그려둔 것을 보여주면서 이야기를 진행하는 그림을 이용한 스토리텔링이 있다.
작품 자체에 대해 스토리를 구성한 ‘작품 내용 스토리’를 바탕으로, 각 연이 전달하고 있는 내용들을 여러 편의 그림으로 표현하여 스토리를 전할 때 활용하는 방법을 구상해 보았다.
①먼저는 ‘작품 내용 스토리’를 준비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가요 작품의 각 연에 해당하는 그림을 구상하여 그려보는 것이다. 이때 미리 준비된 그림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직접 그림을 그리도록 제안하는 이유는, 학습자가 스토리에 어울리는 색상을 선택하고 배경과 인물 등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그려봄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더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이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②학습자들이 그림을 그리는 데 대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그림을 그릴 용지의 크기는 A4 정도로 제한하고, 각 연에 해당하는 그림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공간을 배치한다. 그림을 그리기 위한 도구로는 매직펜, 색연필, 붓 펜과 같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위주로 하기로 한다.
③그림으로 표현할 때 있어서 화자의 구체적인 표정이나 동작 등을 묘사하여 그리는 것, 화자의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색상들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그리는 것, 눈물 자국을 만들어 놓는 것 등 학습자 자신의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현법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려 보도록 한다.
④스토리를 한 편의 그림이 아닌 여러 편의 그림으로 표현할 때 작품 전체의 흐름과 그 속에 드러난 화자 정서의 흐름도 자연스럽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완성된 그림을 학습자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스토리와 함께 설명함으로써 ‘작품 내용 스토리’에 대한 이해와 감상이 시각적인 효과 가운데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화자의 상황과 감정을 색상과 구체적인 표정 행동 묘사를 통해 파악함으로써 단순히 문자적으로 접할 때 보다 더욱 감각적으로 스토리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