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Kohlberg 도덕성 발달이론
1) 주요개념
2) 도덕성 발달양상
3) 도덕성 발달단계
4) 주요특징
2. 본인의 도덕성 (개인 경험과 철학)
1) 전인습적 도덕성
2) 인습적 도덕성
3) 후인습적 도덕성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Ⅱ. 본 론
1. Kohlberg 도덕성 발달이론
1) 주요개념
2) 도덕성 발달양상
3) 도덕성 발달단계
4) 주요특징
2. 본인의 도덕성 (개인 경험과 철학)
1) 전인습적 도덕성
2) 인습적 도덕성
3) 후인습적 도덕성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때의 행동은 친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희망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나의 인습적 도덕성 성향은 성인이 된 지금도 많은 사람들과의 대인관계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비추어 본다면 kohlberg의 인습적 도덕성은 3단계와 4단계에 이르러 사회의 통념을 받아들이고 그 기준에 따라 행동하는 동기가 되기도 하며 이때의 인습적 도덕성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덕성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시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3) 후인습적 도덕성
kohlberg에 따르면 16세의 약 15%가 후인습적 수준에 도달해 있다고 하였다. 이 시기의 도덕성의 특징으로는 법, 규범, 통념 등의 고정성이나 절대성에서 벗어나 사회적으로 유용한지 아닌지를 가늠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악법도 법이다.’란 말이 있듯이 반드시 지켜야 할 것도 있다는 것을 잘 알게 된다.
고등학교 때 야간 자습을 의무적으로 시행한 적이 있었다. 물론 어느 정도의 강제성 있는 학습 의무였지만, 대학을 희망하지 않는 친구들은 야간 자습에 빠지는 것이 습관화된 점도 있었다. 당시 나 또한 대학을 희망하지 않을 시기였는데 야간 자습을 습관처럼 빠지곤 하였다. 하루는 대학을 희망하지 않는 친구들과 대학을 희망하는 친구 간 야간 자습에 대한 의무 학습에 대해 찬반이 나뉘는 일이 있었다. 대학을 희망하는 친구들이 80% 정도였고, 그렇지 않은 친구들이 20% 정도였다. 그러한 갈등 속에 하루는 나도 의식하지 못한 사이에 야간 자습을 하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한 적이 있었다. 그 이유는 그러한 갈등이 이어져 야간학습이 없어지면 대학을 희망하는 친구들에게 피해가 갈까 봐 참여하게 된 것 같다. 이러한 점에 미루어 본다면 후인습적 도덕성이란 결국 사회 구성원, 사회 통념, 질서에 위반되는 것은 도덕적으로 죄악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것을 실천하는 행위의 기준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결국, 도덕적 양상과 발달 과정을 통해 자기의식과 비난, 죄의식에 대한 도덕원리를 인지하는 과정인 것이다.
Ⅲ. 결 론
Kohlberg의 도덕성발달 이론은 아동들은 성장 과정과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도덕성을 발달시키며 개인적 가치체계를 발달시킨다는 전제를 근거로 하고 있다. 모두 동일 단계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발달은 어떤 지점에서 중지될 수 있다. 본문에서와같이 Kohlberg의 이론은 도덕적 원리는 직접 가르쳐질 수 없으며 스스로 도덕원리를 생성해야 한다. 그 과정을 촉진하는 것이 교사의 과제라 생각한다. 교사에 의한 촉진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교사는 아동 또는 학생에게 순수한 도덕적 갈등을 숙고하고, 그런 갈등의 해결에 학생이 사용하는 추리에 관하여 생각하고 학생의 사고방식의 불일치성과 부적절성을 알아보며, 그리고 갈등의 재 해결방법을 찾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Ⅳ. 참고 문헌
1. 박주현(2019), 영유아 발달, 양성원
2. 신명희ㆍ서은희 외 7명(2017), 발달심리학, 학지사
3. 김태훈(2008),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 인간사랑
3) 후인습적 도덕성
kohlberg에 따르면 16세의 약 15%가 후인습적 수준에 도달해 있다고 하였다. 이 시기의 도덕성의 특징으로는 법, 규범, 통념 등의 고정성이나 절대성에서 벗어나 사회적으로 유용한지 아닌지를 가늠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악법도 법이다.’란 말이 있듯이 반드시 지켜야 할 것도 있다는 것을 잘 알게 된다.
고등학교 때 야간 자습을 의무적으로 시행한 적이 있었다. 물론 어느 정도의 강제성 있는 학습 의무였지만, 대학을 희망하지 않는 친구들은 야간 자습에 빠지는 것이 습관화된 점도 있었다. 당시 나 또한 대학을 희망하지 않을 시기였는데 야간 자습을 습관처럼 빠지곤 하였다. 하루는 대학을 희망하지 않는 친구들과 대학을 희망하는 친구 간 야간 자습에 대한 의무 학습에 대해 찬반이 나뉘는 일이 있었다. 대학을 희망하는 친구들이 80% 정도였고, 그렇지 않은 친구들이 20% 정도였다. 그러한 갈등 속에 하루는 나도 의식하지 못한 사이에 야간 자습을 하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한 적이 있었다. 그 이유는 그러한 갈등이 이어져 야간학습이 없어지면 대학을 희망하는 친구들에게 피해가 갈까 봐 참여하게 된 것 같다. 이러한 점에 미루어 본다면 후인습적 도덕성이란 결국 사회 구성원, 사회 통념, 질서에 위반되는 것은 도덕적으로 죄악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것을 실천하는 행위의 기준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결국, 도덕적 양상과 발달 과정을 통해 자기의식과 비난, 죄의식에 대한 도덕원리를 인지하는 과정인 것이다.
Ⅲ. 결 론
Kohlberg의 도덕성발달 이론은 아동들은 성장 과정과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도덕성을 발달시키며 개인적 가치체계를 발달시킨다는 전제를 근거로 하고 있다. 모두 동일 단계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발달은 어떤 지점에서 중지될 수 있다. 본문에서와같이 Kohlberg의 이론은 도덕적 원리는 직접 가르쳐질 수 없으며 스스로 도덕원리를 생성해야 한다. 그 과정을 촉진하는 것이 교사의 과제라 생각한다. 교사에 의한 촉진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교사는 아동 또는 학생에게 순수한 도덕적 갈등을 숙고하고, 그런 갈등의 해결에 학생이 사용하는 추리에 관하여 생각하고 학생의 사고방식의 불일치성과 부적절성을 알아보며, 그리고 갈등의 재 해결방법을 찾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Ⅳ. 참고 문헌
1. 박주현(2019), 영유아 발달, 양성원
2. 신명희ㆍ서은희 외 7명(2017), 발달심리학, 학지사
3. 김태훈(2008),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 인간사랑
키워드
추천자료
[도덕성][도덕성 교육][동양철학][도덕성 실천지도 사례][도덕성 형성 방법]도덕성의 정의, ...
(인간과교육3A)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
교육심리학4공통)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2018년 방송대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 설명 교육적 시사점 2...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슨(...
피아제 콜버그 엘리스의 이론(인지발달이론 도덕성발달이론 합리정서치료이론)
콜버그(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과 도덕교육
본인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운동처방을 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