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본문내용
주관적자료
“뒷목이 아프고 팔이 자꾸 쑤TU요.”
객관적자료
얼굴을 찡그리고 있으심.
손을 잘 움직이시지 않음.
목을 잘 움직이시지 않음.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5/7)까지 통증이 없어질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 감소를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행할 수 있다.
통증을 8시간마다 위치, 강도, 양상, 빈도, 기간등을 사정하였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Ultracet를 B로 아침,저녁으로 약을 먹게 하였다.
전환요법인 TV, MP3, 책읽기를 격려하였고, 그 중에서 TV를 많이 시행하셨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PCA의 목적, 사용법, 부작용, 효과를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PCA를 실시하였으며, 5/4까지 총 6번 누르셨다고 한다.
장기목표 평가
5월 7일 퇴원이시며, 지금은 완전한 통증 치유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통증이 사라지셨다.
단기목표 평가
대상자는 “이제는 아프지 않아요. 아프면 이거(PCA)누르면 되죠.”라고 말씀하셨다. 또한, 5/4(9:00)에 Post neck-both arm 4~5th 손가락 tingling sense more relieved 되었다. 그래서 18:00에 IV(PCA)를 중단하였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환자의 통증부위와 양상을 사정한다.
환자의 통증을 인정해준다.
의사의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투여한다.
전환요법을 교육하고 격려한다.
대상자가 PCA를 사용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PCA의 목적, 사용법, 부작용, 효과를 교육한다.
PCA는 환자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하여 자신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급성통증, 만성통증에도 유용하게 사용한다. 정해진 용량의 진통제가 투여된 후에는 일정시간(보통 10~15분간)동안 잠금장치가 작동된다.
(기본간호학 , p.503)
전환은 통증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려 통증 지각을 줄이는 방법이다. 책읽기, TV보기, 음악듣기 등이 있다.
(기본간호학 , p.505)
통증관리를 위한 약물에는 아편약물, 비아편유사 약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보조진통제를 쓴다.
(기본간호학, p.495)
통증을 줄이기 위한 모든 방법의 기본은 대상자가 통증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믿고 있음을 전하는 것이다.
(기본간호학, p.492)
간호진단 : 운동상태 장애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사정자료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객관적자료
목보호대 착용
낙상평가위험도구
: 0~3점(교육필요)
< 장기목표 >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낙상하지 않는다.
< 단기목표 >
대상자 주위의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을 감소시킨다.
- 간호사 선생님과 Rounding시마다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였다.
- 슬리퍼를 사용하는 것 보다는 운동화 같은 신발을 신고 이동하도록 격려하였다.
(꼭 맞고 안전하게 조인 신발)
- 밤에는 항상 야간 조명을 키도록 교육하였다.
- 이동시에는 폴대를 사용하도록 격려하였다.
- 걷기운동을 할 시에는 보호자와 함께하도록 하였다.
- 대상자 주변에 낙상 위험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였다. (수액선 정리, 전기선 정리)
장기목표 평가
대상자가 아직 퇴원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평가할 수는 없었지만, 아직까지 낙상을 하지 않았다.
단기목표 평가
대상자가 낙상방지예방을 위해 해야 하는 것(주변정리, 꼭 맞는 신발, Side rail올리기)을 말할 수 있었고 낙상위험요인을 제거할 수 있었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 Side rail을 항상 올려준다.
- 보호자가 항상 옆에 있도록 한다.
- 낙상방지 교육을 한다.
- 이동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 이동시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하도록 한다.
- 이동할 때는 슬리퍼보다는 덜 미끄러운 운동화를 신도록 한다.
미끄럼방지 신발을 신는다.
필요시 보행보조기구(지팡이, 목발, 휠체어, 보행기)를 이용한다,
필요시 보행보조를 한다.
보행의 균형을 관찰한다.
필요시 한 층 내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근력, 관절 유연성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과 활동을 격려한다.
침대난간을 부착한다.
(기본간호학Ⅱ, p48)
대상자의 보행과 이동능력에 대해 주의 깊게 사정하고 필요시 보행기를 제공한다.
정돈된 환경을 유지한다.
간호진단 : 상황적 위기와 관련된 불안
사정자료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수술 언제 가나요?”
“수술 잘 될 수 있을까요?”
“저 괜찮은 건가요?”
<객관적 자료>
안절부절함.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단기목표 : 수술을 갔다 와서 처음보다 편해졌다고 말한다.
얼굴표정이 전보다 다르게 편안해짐을 관찰할 수 있다.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2인실 제공)
환자 병실에 커튼을 쳐서 가족과 함께 편안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침습적인 시술시 대상자에게 설명을 해 주었다.
활력징후를 잴 때도 정상수치를 말해주어 대상자에게 설명을 해주었다.
수술하기 전에 간호사 선생님과 자주 방문하였고, TV를 보면서 쉴 수 있도록 하였다.
<단기 목표 평가>
대상자는 얼굴 표정도
많이 편안해졌으며,
대화를 할 때도 편안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대상자에게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모든 수행을 할 때는 대상자에게 설명을 하고 시행하도록 한다.
대상자가 쉴 수 있는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지지체계를 이용하거나 음악요법을 시행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과 증상을 확인하도록 한다. 느끼는 감정, 인식, 두려움을 표현하도록 한다.
간호수행을 하기전 과정을 미리 설명하는 것이 대상자의 불안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대상자의 말에 경청하며 대상자의 관점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부가적인 스트레스원 최소화 시키기 위해 환경 조성한다.
Ⅲ. 참고문헌
척추관 협착증 - http://www.spinalstenosis.org/cervical.php
간호과정 (현문사)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 (남부대학교)
네이버 건강 - 의약품
건강사정 (현문사)
“뒷목이 아프고 팔이 자꾸 쑤TU요.”
객관적자료
얼굴을 찡그리고 있으심.
손을 잘 움직이시지 않음.
목을 잘 움직이시지 않음.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5/7)까지 통증이 없어질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 감소를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행할 수 있다.
통증을 8시간마다 위치, 강도, 양상, 빈도, 기간등을 사정하였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Ultracet를 B로 아침,저녁으로 약을 먹게 하였다.
전환요법인 TV, MP3, 책읽기를 격려하였고, 그 중에서 TV를 많이 시행하셨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PCA의 목적, 사용법, 부작용, 효과를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PCA를 실시하였으며, 5/4까지 총 6번 누르셨다고 한다.
장기목표 평가
5월 7일 퇴원이시며, 지금은 완전한 통증 치유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통증이 사라지셨다.
단기목표 평가
대상자는 “이제는 아프지 않아요. 아프면 이거(PCA)누르면 되죠.”라고 말씀하셨다. 또한, 5/4(9:00)에 Post neck-both arm 4~5th 손가락 tingling sense more relieved 되었다. 그래서 18:00에 IV(PCA)를 중단하였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환자의 통증부위와 양상을 사정한다.
환자의 통증을 인정해준다.
의사의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투여한다.
전환요법을 교육하고 격려한다.
대상자가 PCA를 사용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PCA의 목적, 사용법, 부작용, 효과를 교육한다.
PCA는 환자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하여 자신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급성통증, 만성통증에도 유용하게 사용한다. 정해진 용량의 진통제가 투여된 후에는 일정시간(보통 10~15분간)동안 잠금장치가 작동된다.
(기본간호학 , p.503)
전환은 통증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려 통증 지각을 줄이는 방법이다. 책읽기, TV보기, 음악듣기 등이 있다.
(기본간호학 , p.505)
통증관리를 위한 약물에는 아편약물, 비아편유사 약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보조진통제를 쓴다.
(기본간호학, p.495)
통증을 줄이기 위한 모든 방법의 기본은 대상자가 통증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믿고 있음을 전하는 것이다.
(기본간호학, p.492)
간호진단 : 운동상태 장애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사정자료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객관적자료
목보호대 착용
낙상평가위험도구
: 0~3점(교육필요)
< 장기목표 >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낙상하지 않는다.
< 단기목표 >
대상자 주위의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을 감소시킨다.
- 간호사 선생님과 Rounding시마다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였다.
- 슬리퍼를 사용하는 것 보다는 운동화 같은 신발을 신고 이동하도록 격려하였다.
(꼭 맞고 안전하게 조인 신발)
- 밤에는 항상 야간 조명을 키도록 교육하였다.
- 이동시에는 폴대를 사용하도록 격려하였다.
- 걷기운동을 할 시에는 보호자와 함께하도록 하였다.
- 대상자 주변에 낙상 위험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였다. (수액선 정리, 전기선 정리)
장기목표 평가
대상자가 아직 퇴원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평가할 수는 없었지만, 아직까지 낙상을 하지 않았다.
단기목표 평가
대상자가 낙상방지예방을 위해 해야 하는 것(주변정리, 꼭 맞는 신발, Side rail올리기)을 말할 수 있었고 낙상위험요인을 제거할 수 있었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 Side rail을 항상 올려준다.
- 보호자가 항상 옆에 있도록 한다.
- 낙상방지 교육을 한다.
- 이동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 이동시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하도록 한다.
- 이동할 때는 슬리퍼보다는 덜 미끄러운 운동화를 신도록 한다.
미끄럼방지 신발을 신는다.
필요시 보행보조기구(지팡이, 목발, 휠체어, 보행기)를 이용한다,
필요시 보행보조를 한다.
보행의 균형을 관찰한다.
필요시 한 층 내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근력, 관절 유연성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과 활동을 격려한다.
침대난간을 부착한다.
(기본간호학Ⅱ, p48)
대상자의 보행과 이동능력에 대해 주의 깊게 사정하고 필요시 보행기를 제공한다.
정돈된 환경을 유지한다.
간호진단 : 상황적 위기와 관련된 불안
사정자료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수술 언제 가나요?”
“수술 잘 될 수 있을까요?”
“저 괜찮은 건가요?”
<객관적 자료>
안절부절함.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단기목표 : 수술을 갔다 와서 처음보다 편해졌다고 말한다.
얼굴표정이 전보다 다르게 편안해짐을 관찰할 수 있다.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2인실 제공)
환자 병실에 커튼을 쳐서 가족과 함께 편안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침습적인 시술시 대상자에게 설명을 해 주었다.
활력징후를 잴 때도 정상수치를 말해주어 대상자에게 설명을 해주었다.
수술하기 전에 간호사 선생님과 자주 방문하였고, TV를 보면서 쉴 수 있도록 하였다.
<단기 목표 평가>
대상자는 얼굴 표정도
많이 편안해졌으며,
대화를 할 때도 편안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대상자에게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모든 수행을 할 때는 대상자에게 설명을 하고 시행하도록 한다.
대상자가 쉴 수 있는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지지체계를 이용하거나 음악요법을 시행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과 증상을 확인하도록 한다. 느끼는 감정, 인식, 두려움을 표현하도록 한다.
간호수행을 하기전 과정을 미리 설명하는 것이 대상자의 불안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대상자의 말에 경청하며 대상자의 관점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부가적인 스트레스원 최소화 시키기 위해 환경 조성한다.
Ⅲ. 참고문헌
척추관 협착증 - http://www.spinalstenosis.org/cervical.php
간호과정 (현문사)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 (남부대학교)
네이버 건강 - 의약품
건강사정 (현문사)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척추관협착증 CASE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case study
[성인간호학][Spinal Stenosis][척추관협착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A+받은 자료입니다.
척추관협착증(연구의 필요성 부터~간호진단 및 참고문헌)
척추관협착증 케이스 스터디 A+
성인간호학케이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낙상위험성
척추관협착증 케이스스터디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 척추관 협착증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