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으로 옮기는 과정을 포함한다.
3단계는 종결단계로서 세 가지 주요 측면을 포함하는 데, 그것은 첫째, 클라이언트의 목적이 만족스럽게 성취되었을 때를 사정하는 것, 둘째, 클라이언트가 종결 이후에도 변화를 유지하고,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전략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 셋째, 성공적으로 클라이언트를 도와주는 관계를 종결하는 것이다(Hepworth et al., 2010).
이렇게 다양한 사회복지실천과정의 분류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를 비교해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표] 사회복지실천과정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비교
국내 학자들의 경우, 김융일 등은 접수 및 참여유도, 자료수집 사정 계획, 개입, 평가 및 종결(1995)로 나누었고, 장인협은 사정, 계획, 개입, 평가, 종결의 5단계로 나누었으며, 조흥식 등은 제1단계-접수 및 참여유도, 제2단계-자료수집, 사정, 계획, 제3단계-개입, 제4단계-평가 및 종결로 구분하였다.
또한 양옥경 등은 접수, 자료수집 및 사정, 개입, 목표설정 및 계약, 평가 및 종결로 구분하고 있고, 김기태 등은 초기단계, 개입단계, 평가 및 종결단계의 3단계로, 엄명용 등은 접수와 관계 형성단계, 자료수집단계, 사정 및 계획단계, 개입단계, 평가 및 종결단계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이상에서 사회복지실천과정을 일반주의적 관점, 체계이론적 접근, 통합적 접근, 직접적 사회복지실천 등에 따라 그 개념과 실천과정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사회복지실천과정, 즉 사례발굴, 접수, 자료수집, 사정, 목표설정, 계약, 개입, 점검, 평가, 종결, 사후지도에 따라 각 단계별 개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사회복지실천과정의 단계 및 개념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3단계는 종결단계로서 세 가지 주요 측면을 포함하는 데, 그것은 첫째, 클라이언트의 목적이 만족스럽게 성취되었을 때를 사정하는 것, 둘째, 클라이언트가 종결 이후에도 변화를 유지하고,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전략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 셋째, 성공적으로 클라이언트를 도와주는 관계를 종결하는 것이다(Hepworth et al., 2010).
이렇게 다양한 사회복지실천과정의 분류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를 비교해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표] 사회복지실천과정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비교
국내 학자들의 경우, 김융일 등은 접수 및 참여유도, 자료수집 사정 계획, 개입, 평가 및 종결(1995)로 나누었고, 장인협은 사정, 계획, 개입, 평가, 종결의 5단계로 나누었으며, 조흥식 등은 제1단계-접수 및 참여유도, 제2단계-자료수집, 사정, 계획, 제3단계-개입, 제4단계-평가 및 종결로 구분하였다.
또한 양옥경 등은 접수, 자료수집 및 사정, 개입, 목표설정 및 계약, 평가 및 종결로 구분하고 있고, 김기태 등은 초기단계, 개입단계, 평가 및 종결단계의 3단계로, 엄명용 등은 접수와 관계 형성단계, 자료수집단계, 사정 및 계획단계, 개입단계, 평가 및 종결단계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이상에서 사회복지실천과정을 일반주의적 관점, 체계이론적 접근, 통합적 접근, 직접적 사회복지실천 등에 따라 그 개념과 실천과정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사회복지실천과정, 즉 사례발굴, 접수, 자료수집, 사정, 목표설정, 계약, 개입, 점검, 평가, 종결, 사후지도에 따라 각 단계별 개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사회복지실천과정의 단계 및 개념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사회복지 실천과정을 요약 기술하시오, 사회복지 제도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하여 논하시오,...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생태학이론의 장단점에 대하여 논하시오
대상별 사회복지 실천기술을 논하시오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의 예와 이의 해결과정에서의 윤리적 원칙에 대하여 논하시오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비밀보장의 한계에 대하여 논하시오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의 예와 이의 해결과정에서의 윤리적 원칙에 대하여 논하시오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의 예와 이의 해결과정에서 윤리적 원칙...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과정별 개입기술 5단계(접수단계, 사정단계, 계획수립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