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을 간단히 기술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포함하여 설명하시오. (12점)
2. 가슴압박소생술(hands-only CPR)을 도입한 과학적 근거를 3가지 쓰고, 가슴압박소생술을 권장하게 되는 상황을 2가지 기술하시오. (6점)
3. 심실세동과 무수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12점)
2. 가슴압박소생술(hands-only CPR)을 도입한 과학적 근거를 3가지 쓰고, 가슴압박소생술을 권장하게 되는 상황을 2가지 기술하시오. (6점)
3. 심실세동과 무수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12점)
본문내용
원 밖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경우에는 가슴압박소생술이라도 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심폐소생술을 일반인에게 쉽게 교육하고 오랫동안 교육 내용을 기억하게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병원 밖 심정지 환자를 목격하였을 때 심폐소생술을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3. 심실세동과 무수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12점)
▶ 심실세동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
① 심실세동은 심실에 있는 다수의 이소성 pacemaker 지점에서 발생한 부정맥으로, 매우 빠르고 비정상적인 심실세동파(f파)만 있을 뿐 QRS군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리듬은 3~5분 내에 성공적으로 중재하지 못하면 치명적이다.
② 원인
- AMI
- 약물 과량 투여(digitalis, quinidine, procainamide)
- 전해질 불균형
③ 치료과정
가장 중요한 처치 : 즉각적인 심폐소생술, 흉부압박의 중단을 최소하하고 가능한 빨리 제새동을 시행한다.
심실세동이 발견되면 즉시 제세동 : monophasic 360J, biphasic 120~200J 사용한다.
제새동 후에는 심전도 리듬을 확인하지 않고 바로 흉부압박을 시작하여 2분간 시행. 흉부 압박이 진행되는 동안 주사로와 기도확보한다.
2분후 모니터에서 심전도 리듬을 다시 확인하여 계속 심실세동이 관찰되면 두 번째 제세동을 시행하고 다시 2분간 흉부압박, 그동안 epinephrine 또는 vasopressin 투여한다.
2분 후 다시 심전도를 확인하여 심실세동이 계속되면 3번째 제세동을 시행하고 바로 2분간 흉부압박. 그동안 amiodarone 또는 lidocaine 투여한다.
지속적으로 심실세동이 반복된다면 이 과정을 반복한다.
▶ 무수축/무맥성 전기활동 (Asystole/PEA)
① 무수축과 무맥성전기활동은 치료과정에서 제새동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제세동 리듬’이라고 하며 생존율이 매우 낮다.
② QRS 파가 관찰되지만 맥박이 촉지되지 않는 상태
③원인: Hypovolemia, 저산소증, AMI, 약물 과량투여
④ 치료과정
심전도 리듬이 비제세동 리듬이면 즉시 흉부압박을 2분간 시행한다.
PEA에서 QRS 파가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신속하고 맥박을 확인한다. 맥박이 없으면 즉시 2 분간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주사로를 확보한다.
주사로가 확보되면 epinephrine을 투여하고 흉부압박 2분이 지나면 심전도 리듬을 확인한다
심실세동 또는 무맥성 심실빈맥이 관찰되면 제세동을 한다 만일 지속적으로 무수축/무맥성전기활동이 계쏙되면 다시 2분간 흉부압박을 하고 전문기도유지술을 시행한다
2분후에도 무수죽/무맥성 전기활동이 계속되면 epinephrine을 3-5분 간격으로 또는 흉부압박 두 번의 교대에 맞추어 투여할 수 있다.
무수축/무맥성 전기활동의 치료에서 atropine 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QRS 파형이 관찰되면 맥박을 확인.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계속하고, 맥막이 만져진다면 소생 후 치료를 시작한다.
3. 심실세동과 무수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12점)
▶ 심실세동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
① 심실세동은 심실에 있는 다수의 이소성 pacemaker 지점에서 발생한 부정맥으로, 매우 빠르고 비정상적인 심실세동파(f파)만 있을 뿐 QRS군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리듬은 3~5분 내에 성공적으로 중재하지 못하면 치명적이다.
② 원인
- AMI
- 약물 과량 투여(digitalis, quinidine, procainamide)
- 전해질 불균형
③ 치료과정
가장 중요한 처치 : 즉각적인 심폐소생술, 흉부압박의 중단을 최소하하고 가능한 빨리 제새동을 시행한다.
심실세동이 발견되면 즉시 제세동 : monophasic 360J, biphasic 120~200J 사용한다.
제새동 후에는 심전도 리듬을 확인하지 않고 바로 흉부압박을 시작하여 2분간 시행. 흉부 압박이 진행되는 동안 주사로와 기도확보한다.
2분후 모니터에서 심전도 리듬을 다시 확인하여 계속 심실세동이 관찰되면 두 번째 제세동을 시행하고 다시 2분간 흉부압박, 그동안 epinephrine 또는 vasopressin 투여한다.
2분 후 다시 심전도를 확인하여 심실세동이 계속되면 3번째 제세동을 시행하고 바로 2분간 흉부압박. 그동안 amiodarone 또는 lidocaine 투여한다.
지속적으로 심실세동이 반복된다면 이 과정을 반복한다.
▶ 무수축/무맥성 전기활동 (Asystole/PEA)
① 무수축과 무맥성전기활동은 치료과정에서 제새동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제세동 리듬’이라고 하며 생존율이 매우 낮다.
② QRS 파가 관찰되지만 맥박이 촉지되지 않는 상태
③원인: Hypovolemia, 저산소증, AMI, 약물 과량투여
④ 치료과정
심전도 리듬이 비제세동 리듬이면 즉시 흉부압박을 2분간 시행한다.
PEA에서 QRS 파가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신속하고 맥박을 확인한다. 맥박이 없으면 즉시 2 분간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주사로를 확보한다.
주사로가 확보되면 epinephrine을 투여하고 흉부압박 2분이 지나면 심전도 리듬을 확인한다
심실세동 또는 무맥성 심실빈맥이 관찰되면 제세동을 한다 만일 지속적으로 무수축/무맥성전기활동이 계쏙되면 다시 2분간 흉부압박을 하고 전문기도유지술을 시행한다
2분후에도 무수죽/무맥성 전기활동이 계속되면 epinephrine을 3-5분 간격으로 또는 흉부압박 두 번의 교대에 맞추어 투여할 수 있다.
무수축/무맥성 전기활동의 치료에서 atropine 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QRS 파형이 관찰되면 맥박을 확인.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계속하고, 맥막이 만져진다면 소생 후 치료를 시작한다.
추천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설립취지,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
[보건교육 C형] 초(중.고)학생의 안전과 사고예방에 대한 교육-보건교육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고위험모아간호학 과제물]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1학기 기초간호과학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1학기 고위험모아간호학
2017년 간호학특론C형] 앤더슨의 의료이용예측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 분석 1) 대상자2인...
2017년 간호학과 3학년 2학기 인간과 교육 과제물 입니다.
2020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1학기 정신건강과간호 기말 온라인 평가 입니다.
2020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2학기 고위험 모아간호학 과제물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