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일반정보
2) 일반 간호사정
3) 임상병리검사
4) 진단 특수검사
5) 처방
6) 약물
3. 간호과정
Ⅲ. 결론
1. 참고문헌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일반정보
2) 일반 간호사정
3) 임상병리검사
4) 진단 특수검사
5) 처방
6) 약물
3. 간호과정
Ⅲ. 결론
1.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 · 십이지장궤양,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마취전 투약(멘델슨증후군 예방), 수술후 궤양, 상부소화관출혈(소화성궤양, 급성스트레스궤양, 급성위점막병변에 의한)
쇽: 매우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
과민증: 드물게 두드러기, 혈관 신경부종, 발진, 발열, 기관지경련, 저혈압, 흉통
5% dextrose nak inj. 4 1000ml
12시간마다 IV
9am
탈수증, 수술 전 후 등의 수분, 전해질 보급
에너지 보급
대량, 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수중독, 고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MVH inj.
12시간마다 IV
9am
용법: 1일 1회 1앰플 5ml를 정맥주사용 포도당 주사액, 생리식염 주사액 및 혈액 대용제 등의 주사액 500~1000ml에 직접 혼합하여 점적 정맥 주사한다.
효과: 환자의 영양보급
쇽(아나필라시양 증상:혈압저하, 의식장애, 호흡곤란, 청색증 등), 발진, 가려움, 구역, 구토, 복통
약품명
사진
용량 / 용법
효능효과
부작용
omed Tab. 10mg
2#2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의 단기치료,
역류성 식도염 및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 치료
(소화성 궤양용제)
흔하게 두통, 졸림, 현기증, 불면증, 설사, 연변, 변비, 구역, 구토, 복통, 복부팽만감 등
Traphen Tab.
3#3
중등도-중증의 급-만성 통증
(해열진통제)
쇽, 무력증, 피로, 홍조, 경직, 실신, 고혈압, 저혈압, 부정맥, 심계항진, 빈맥
MUCO SOL
Tab
3#3
객담배출 곤란
(진해거담제)
피부 점막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고, 약 투여 중단.
약품명
사진
용량 / 용법
효능효과
부작용
Famotidine Tab. 10mg JS
2#2
위산과다,
속쓰림, 신트림
쇽, 호흡곤란, 서맥, 빈맥, 가슴통즌, 변비. 설사, 구갈, 구역구토, 두통, 졸음 등.
3.간호과정
#1. 연하곤란과 위산 역류와 관련된 통증
주관적 자료
1. “속 쓰림이 있고 그로 인해서 가슴이 아파요.”
객관적 자료
1. vomiting
2. 속 쓰림
3. NRS 통증 사정 점수 3점.
간호 목표
위의 산 분비를 억제하고 역류를 방지하여 통증을 예방한다.
단기목표: 2일 이내에 역류가 줄어들고 NRS 사정점수가 2점이 된다.
장기목표: 7일 이내에 산 분비와 역류가 줄어들어 통증이 사라진다.
간호 계획
1. Dr.의 처방 하에 진통제(Traphen tab.)를 투약한다.
2. Dr.의 처방 하에 위산분비 억제제(Famotidine tab. 10mg)를 투약한다.
3. 역류 방지를 위한 체위를 교육한다.
4.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음식을 금할 것을 교육한다.
5. 과체중은 위, 식도를 자극하므로 체중 감량할 것을 교육한다.
간호 중재
1. Dr.의 처방 하에 진통제(Traphen tab.)와 위산분비 억제제(Famotidine tab. 10mg)을 투약하였다.
2. 역류방지를 예방할 수 있는 fowler\'s position을 교육하였다.(식 후에 바로 눕지 않는다.)
3.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음식( 기름진 음식, 초콜릿, 술, 커피, 홍차 등)을 피할 것을 교육하였다.
4. 위, 식도의 자극을 저하시키기 위해 체중 감량을 권고하였다.
5. 취침 전 음식, 음료를 먹지 않을 것을 교육하였다.
간호 평가
위산 분비와 역류가 감소하였고 NRS 통증 사정 점수가 1점으로 완화되었다.
#2.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호흡기능 장애
주관적 자료
1. “목에 가래가 많이 있어서 숨 쉬기가 불편하고 잠을 잘 자지 못 해요.”
2. “기침을 많이 하게 돼요.”
객관적 자료
X
간호 목표
-대상자의 기도 내 분비물이 감소한다.
-대상자의 호흡이 증진되고 수면이 증진된다.
간호 계획
1. Dr.의 처방 하에 진해 거담제(MUCO SOL Tab)를 투약한다.
2. 대상자에게 객담 배출 훈련을 교육한다.
간호 중재
1. Dr.의 처방 하에 진해 거담제(MUCO SOL Tab)를 투약하였다.
2.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suction을 시행하였다.
3. 대상자에게 객담 배출 훈련을 교육하였다.
- 담의 성질을 바꾸기 위하여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 체위를 변경한다.(앙와위→복위)
-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하여 등 두드리기 등의 경타법을 시행한다.
4.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간호 평가
대상자의 기도 내 분비물이 감소하여 호흡이 증진되었다.
대상자의 수면이 증진되었다.
#3. 연하곤란 및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 부족
주관적 자료
1. “음식을 삼킬 때 마다 목이 아파서 음식을 먹고 싶지가 않아요.”
객관적 자료
1. vomiting
2. DX: malnutrition, anemia
3. BUN : 7.9mg/dl
4. HCT: 32.7% (정상수치: M: 42-52, F: 37-47(%))
5. MCHC: 29.2% (정상수치: 32-36%)
간호 목표
단기목표: 2일 이내에 대상자의 연하곤란이 완화되고, 식욕이 돌아온다.
장기목표: 7일 이내에 대상자의 각종 Lab수치(BUN, HCT, MCHC)가 정상범위로 들어와 빈혈 증세가 완화된다.
간호 계획
1. Dr.의 처방 하에 영양제(5% dextrose nak inj. 4 1000ml Mix MVH inj)를 투약한다.
2. 대상자에게 연하곤란 예방 교육을 한다.
3. 대상자의 식욕을 상승시킨다.
4. Daily Body Weight를 측정한다.
간호 중재
1. Dr.의 처방 하에 영양제(5% dextrose nak inj. 4 1000ml Mix MVH inj)를 투약하였다.
2. 대상자에게 연하곤란 예방 교육을 하였다.
- 음식을 소량씩 자주 섭취한다.
- 술과 커피를 피한다.
- 체중과 스트레스를 줄인다.
- 취침 시 머리 높이를 올린다.
3. 대상자의 식욕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적절한 운동을 하였다.
4. Daily Body Weight를 측정하였다.
간호 평가
대상자의 Lab수치가 정사범위 내에 들어오고, 빈혈 증세가 완화되었다.
참고문헌
- 조경숙 외2(2013). 성인간호학. 현문사
- 네이버 의학사전
쇽: 매우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
과민증: 드물게 두드러기, 혈관 신경부종, 발진, 발열, 기관지경련, 저혈압, 흉통
5% dextrose nak inj. 4 1000ml
12시간마다 IV
9am
탈수증, 수술 전 후 등의 수분, 전해질 보급
에너지 보급
대량, 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수중독, 고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MVH inj.
12시간마다 IV
9am
용법: 1일 1회 1앰플 5ml를 정맥주사용 포도당 주사액, 생리식염 주사액 및 혈액 대용제 등의 주사액 500~1000ml에 직접 혼합하여 점적 정맥 주사한다.
효과: 환자의 영양보급
쇽(아나필라시양 증상:혈압저하, 의식장애, 호흡곤란, 청색증 등), 발진, 가려움, 구역, 구토, 복통
약품명
사진
용량 / 용법
효능효과
부작용
omed Tab. 10mg
2#2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의 단기치료,
역류성 식도염 및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 치료
(소화성 궤양용제)
흔하게 두통, 졸림, 현기증, 불면증, 설사, 연변, 변비, 구역, 구토, 복통, 복부팽만감 등
Traphen Tab.
3#3
중등도-중증의 급-만성 통증
(해열진통제)
쇽, 무력증, 피로, 홍조, 경직, 실신, 고혈압, 저혈압, 부정맥, 심계항진, 빈맥
MUCO SOL
Tab
3#3
객담배출 곤란
(진해거담제)
피부 점막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고, 약 투여 중단.
약품명
사진
용량 / 용법
효능효과
부작용
Famotidine Tab. 10mg JS
2#2
위산과다,
속쓰림, 신트림
쇽, 호흡곤란, 서맥, 빈맥, 가슴통즌, 변비. 설사, 구갈, 구역구토, 두통, 졸음 등.
3.간호과정
#1. 연하곤란과 위산 역류와 관련된 통증
주관적 자료
1. “속 쓰림이 있고 그로 인해서 가슴이 아파요.”
객관적 자료
1. vomiting
2. 속 쓰림
3. NRS 통증 사정 점수 3점.
간호 목표
위의 산 분비를 억제하고 역류를 방지하여 통증을 예방한다.
단기목표: 2일 이내에 역류가 줄어들고 NRS 사정점수가 2점이 된다.
장기목표: 7일 이내에 산 분비와 역류가 줄어들어 통증이 사라진다.
간호 계획
1. Dr.의 처방 하에 진통제(Traphen tab.)를 투약한다.
2. Dr.의 처방 하에 위산분비 억제제(Famotidine tab. 10mg)를 투약한다.
3. 역류 방지를 위한 체위를 교육한다.
4.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음식을 금할 것을 교육한다.
5. 과체중은 위, 식도를 자극하므로 체중 감량할 것을 교육한다.
간호 중재
1. Dr.의 처방 하에 진통제(Traphen tab.)와 위산분비 억제제(Famotidine tab. 10mg)을 투약하였다.
2. 역류방지를 예방할 수 있는 fowler\'s position을 교육하였다.(식 후에 바로 눕지 않는다.)
3.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음식( 기름진 음식, 초콜릿, 술, 커피, 홍차 등)을 피할 것을 교육하였다.
4. 위, 식도의 자극을 저하시키기 위해 체중 감량을 권고하였다.
5. 취침 전 음식, 음료를 먹지 않을 것을 교육하였다.
간호 평가
위산 분비와 역류가 감소하였고 NRS 통증 사정 점수가 1점으로 완화되었다.
#2.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호흡기능 장애
주관적 자료
1. “목에 가래가 많이 있어서 숨 쉬기가 불편하고 잠을 잘 자지 못 해요.”
2. “기침을 많이 하게 돼요.”
객관적 자료
X
간호 목표
-대상자의 기도 내 분비물이 감소한다.
-대상자의 호흡이 증진되고 수면이 증진된다.
간호 계획
1. Dr.의 처방 하에 진해 거담제(MUCO SOL Tab)를 투약한다.
2. 대상자에게 객담 배출 훈련을 교육한다.
간호 중재
1. Dr.의 처방 하에 진해 거담제(MUCO SOL Tab)를 투약하였다.
2.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suction을 시행하였다.
3. 대상자에게 객담 배출 훈련을 교육하였다.
- 담의 성질을 바꾸기 위하여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 체위를 변경한다.(앙와위→복위)
-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하여 등 두드리기 등의 경타법을 시행한다.
4.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간호 평가
대상자의 기도 내 분비물이 감소하여 호흡이 증진되었다.
대상자의 수면이 증진되었다.
#3. 연하곤란 및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 부족
주관적 자료
1. “음식을 삼킬 때 마다 목이 아파서 음식을 먹고 싶지가 않아요.”
객관적 자료
1. vomiting
2. DX: malnutrition, anemia
3. BUN : 7.9mg/dl
4. HCT: 32.7% (정상수치: M: 42-52, F: 37-47(%))
5. MCHC: 29.2% (정상수치: 32-36%)
간호 목표
단기목표: 2일 이내에 대상자의 연하곤란이 완화되고, 식욕이 돌아온다.
장기목표: 7일 이내에 대상자의 각종 Lab수치(BUN, HCT, MCHC)가 정상범위로 들어와 빈혈 증세가 완화된다.
간호 계획
1. Dr.의 처방 하에 영양제(5% dextrose nak inj. 4 1000ml Mix MVH inj)를 투약한다.
2. 대상자에게 연하곤란 예방 교육을 한다.
3. 대상자의 식욕을 상승시킨다.
4. Daily Body Weight를 측정한다.
간호 중재
1. Dr.의 처방 하에 영양제(5% dextrose nak inj. 4 1000ml Mix MVH inj)를 투약하였다.
2. 대상자에게 연하곤란 예방 교육을 하였다.
- 음식을 소량씩 자주 섭취한다.
- 술과 커피를 피한다.
- 체중과 스트레스를 줄인다.
- 취침 시 머리 높이를 올린다.
3. 대상자의 식욕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적절한 운동을 하였다.
4. Daily Body Weight를 측정하였다.
간호 평가
대상자의 Lab수치가 정사범위 내에 들어오고, 빈혈 증세가 완화되었다.
참고문헌
- 조경숙 외2(2013). 성인간호학. 현문사
- 네이버 의학사전
키워드
추천자료
가와사키케이스
소아과 실습자료 및 CASE STUDY
림프종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과 내과병동 갑상선암 환자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성인]폐암 CASE (lung cancer CASE)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CHF(Congestive Heart Failure : 울혈성 심부전증)
폐렴 케이스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 성인케이스스터디 폐렴간호진단 폐렴간호사례 폐렴...
심근경색, STEMI, 출혈위험성, 급성통증, 불안
[성인간호학A+] 위-식도 역류 질환(GERD) 환자의 간호과정 CASE STUDY
간경변증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