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확률표본추출] 비확률표집의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확률표본추출] 비확률표집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비확률표본추출] 비확률표집의 종류

1. 편의적 표본설계

2. 목적적 또는 판단적 표본설계

3. 할당적 표본설계

4. 누적 표본설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부분을 편의적 또는 목적적 표본 추출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이 표본추출 방법은 현지조사(field work)에서 엄격한 통제를 어렵게 하고 있다(C. A Moser and G. Kalton, 1971, P. 133).
4. 누적 표본설계(snowball sample design)
누적표본추출(눈명이표본추출)은 첫 단계에서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한 제한된 표본에 해당하는 사람으로부터 추천을 받아 다른 표본을 선정하는 과정을 되풀이하여 마치 눈덩이를 굴리듯이 표본을 누적해 가는 방법이다. 이 표집은 특정 모집단의 구성원을 찾기가 어려울 때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동성연애자나 약물 중독자와 같이 쉽게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는 대상자들의 경우에는 모집단의 구성원을 전부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조사를 한다고 할 때, 임의로 선정된 대상자로부터 또 다른 대상자를 소개받는 식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다.
누적표본추출의 장점으로는 첫째, 전문직업인들 간에 정보 확산과정을 추적하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면, 의사들 간에 의료에 관한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는 가를 연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소규모 사회조직의 연구에 유용하다. 셋째, 지역사회의 권력관계와 의사결정의 패턴, 정책이해 당사자 등의 구조와 행태를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누적표본추출의 단점으로는 첫째, 일반화의 가능성이 적다.
둘째, 계량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계량적 연구보다는 오히려 질적인 조사연구에 더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9.07
  • 저작시기2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55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